항목
-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힉스 입자 Higgs boson물이라든가 하는 특별한 물질이 세상을 이루는 근본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근대에 들어오면서 자연과학이 발전하고 각 물질의 근본이 되는 원소가 존재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를 원자라고 불렀다. 원자는 고대 그리스 시대의 데모크리토스란 철학자가 기본입자라는 개념을 고안하면서 만든 이름이다. 20세기...
-
존재유고 存齋遺稿내용 3책. 필사본. 책마다 표지 이면에 같은 필체의 초록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저자 자신이 편사한 듯하다. 권두에 저자가 1800년(정조 24)에 쓴 것으로 보이는 자서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2책은 차의(箚疑)로, 1책에는 태극(太極)·음양(陰陽)·오행(五行)·성(性)·성정(性情)·중화이발미발(中和已發未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신동영
- 창작/발표시기 :
- 1800년(정조 24)
- 성격 :
- 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존재가첩 삼족당가첩, 存齋歌帖씨 문중의 전래 가첩을 「위문가첩」(세로 17㎝, 가로 20.5㎝)이라 하며, 이와 별도로 21개의 사강회문서를 모아놓은 것을「사강회문서첩」이라 한다. 이들 ‘존재가첩’은 국문학계에 위세보의 가사 「금당별곡」과 위백규의 가사 「자회가」 및 시조 「농가」(9장), 이상계의 「초당곡」과 「인일가」, 박이화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위백규, 위세보
- 성격 :
- 가집, 첩, 가곡류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종(사강회문서첩, 위문가첩)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소장/전승 :
- 전라남도 장흥군 완산면 방촌리 장흥위씨 종택
-
존재문집 存齋文集내용 8권 3책. 목판본. 1694년(숙종 20) 아우 현일(玄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해(權瑎)의 서문이, 권말에 임원구(任元耉)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사(辭) 1편, 시 110수, 권2·3에 서(書) 51편, 권4에 서(序) 1편, 기(記) 2편, 잡저 10편, 권5에 제문 5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휘일
- 창작/발표시기 :
- 1694년(숙종 20)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3책
- 간행/발행 :
- 이현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규장각 도서
-
오늘날에도 황열병은 존재하는가?황열병은 오늘날에도 일부 존재한다. 주로 정글 지역에서 발생하는 이 병은 한때는 널리 퍼져, 중남미 지역과 아프리카 및 아시아의 열대 지방 사람들을 괴롭혔다. 또한 1500년대와 1600년대에 걸친 탐험과, 1700년대에 새로 생겨난 무역로 등을 통해서도 퍼져나갔다. 그로 인해 1699년 북아메리카의 사우스캐롤라이나와...
-
유대교 · 기독교 · 이슬람교의 차이점지 얼마 되지 않아 요람에서 말을 했고, 죽은 자를 살렸으며, 흙으로 새를 빚어 숨결을 불어넣는 기적을 행했다. 예수는 ‘하느님 이외에는 숭배를 받을 존재가 없다’는 유일신 사상을 사람들에게 설파했다”고 가르친다. 하지만 《코란》에 보면 예수는 십자가에 죽은 사실이 없다고 되어 있다. “그들이 예수를...
-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천체들현재 지구 외에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천체들은 다음과 같다. 화성 박테리아의 화석이 표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표면 아래에 액체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깊숙한 곳이라면 생명의 발자취가 발견될 가능성도 있다. 지구의 경우로 미루어보았을 때 비슷한 환경에서 박테리아가 자랄 가능성이...
-
기대승 명언(明彦), 奇大升개설 전라남도 나주 출신.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峯) · 존재(存齋). 아버지는 기진(奇進)이고, 어머니는 강영수(姜永壽)의 딸이며,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기준(奇遵)이 그의 계부(季父)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이황과의 서신 교환을 통하여 조선유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초월수 초월하여 존재하는 수무리수 중 일부도 대수적 수에 포함된답니다. 그러면 모든 수는 대수적 수일까요? 놀랍게도, 대수적 수의 영역 너머에는 ‘좀 더 다루기 어려운 무리수’가 존재해요. 이런 수들은 어떤 대수 방정식의 해도 되지 않는데,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오일러는 이것을 ‘초월수’라고 불렀어요. 초월수는 ‘대수학을...
- 연대 :
- 19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