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화 圖畵圖畵臨本)』이 처음 발간되었는데, 그린 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도영(李道榮)이 원화를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일합방 이후 1911년에 조선총독부가 조선교육령을 발포함에 따라 도화는 초등과 및 중고등과에서 가르치는 교과목이 되었다. 이 교과명은 1945년 미군정청 학무국에 의해 미국식 교육제도가...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사학 私學조직적이고 첨예화되었다. 1922년 교육령을 전면 개정하여 제2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면서 일본식 교육의 정착에 광분하였다. 1938년 3월의 제3차 <조선교육령>에서는 사립중학교의 설립을 불허하고 사립학교를 공립으로 전환시키려는 의도가 노골화되었다. 동시에 신사참배를 강요하고 한글사용을 철저히 금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숙명여자고등학교 淑明女子高等學校자금을 지원하였고, 1911년 황실로부터 하사받은 재령군을 비롯한 황해도 일대와 전라남도 완도군의 농지를 기금으로 숙명재단을 설립하였다. 1911년 「조선교육령」에 의거해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칭한 데 이어 1936년에는 제3차 「조선교육령」에 의거 다시 숙명고등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광복 후...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91
- 설립 :
- 1906년 5월 22일
- 성격 :
- 고등학교, 사립고등학교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
- 분야 :
- 교육/교육
-
서당규칙 書堂規則제정 목적 일제강점자들은 1908년의 학부 훈령, 1911년의 「조선교육령」 시행에 관한 훈령 및 「사립학교규칙」 등을 통해 서당을 공립학교 교육의 보충수단으로 삼고자 하였다. 하지만 서당에서는 교수용어로 조선어가 사용되었고, 민영환, 최익현, 황현 등 애국적 유학자를 찬미하는 반일교육, 민족애국교육의 온상으로...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교육/학교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서상교 ・ 최낙철 ・ 신기철 徐尙敎 ・ 崔洛哲 ・ 申琦澈奉安殿)이라는 일본 신전을 교내에 건립하였으며, 학생들의 농촌계몽운동도 엄금하는 등 학생들의 민족정신고취와 민족운동 전개를 억압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을 반포하고 (1) 국체명징(國體明徵), (2) 내선일체(內鮮一體), (3) 인고단련(忍苦鍛鍊)이라는 3대 교육방침을 선포하였다. 1937...
- 출생 :
- 서상교 1923년최낙철 1921년신기철 1922년
- 사망 :
- 서상교 2018년최낙철 2005년신기철 2003년
- 포상훈격 :
- 서상교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최낙철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신기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중학교 中學校창가 및 외국어 등이었는데, 종전의 중학교에 비하여 실업과 외국어를 새로 과하게 된 점이 다르다. 이 「고등학교령」은 국권상실 다음해인 1911년에 「조선교육령」이 공포되면서 폐지되고, 고등학교는 고등보통학교로 개편되었다. 한편 실업학교는 농업학교 · 상업학교 · 공업학교 및 간이실업학교로 나누어 실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
-
배워야 산다 문화, 어디에서 왔나통하여 그들의 체제를 유지하였다. 일제는 ‘내선일체(內鮮一體)’의 식민정책 기조 위에서 교육목표를 조선인의 ‘황민화’에 두었다. 합방 직후 조선교육령에서는 조선에서의 교육목적을 ‘충량(忠良)한 국민’ 양성에 두었다. 이것은 일본 군국주의 교육정신이 담긴 ‘교육에 관한 칙어(勅語)’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