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일본 국회 개설 조서 발표10년 뒤에 국회를 개설하겠다는 천황 명의의 조서를 발표했다. 7월 개척사 관유물 불하 사건이 터져 국민 여론이 극도로 악화되자, 위기 돌파를 위해 자유민권운동 세력이 꾸준히 제기해 온 국회 개설 요구를 받아들인 것이었다. 이후 자유민권운동 세력은 자유당과 입헌개진당 등의 정당을 결성해 정치 참여에 나서지만...
- 시대 :
- 1881년 10월 12일
- 국가/대륙 :
- 아시아
-
메이지 시대 문학의 세계正岡子規]도 이 무렵의 사람이었다. 고요와 로한이 문단에서 활약하고 있던 1890년에 기타무라 도코쿠[北村透谷]가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일찍부터 자유민권 운동에도 참가한 바 있었으나 정치의 추태에 환멸을 느껴 인간 정신의 오묘한 문제를 규명하려 하였다. 그는 켄유사 등의 낡은 면을 비판하였다. 시인이며...
-
극우주의자인가 사회주의 혁명가인가, 기타 잇키 北一輝근대적 사고방식에 눈뜨게 되었다. 그러면서 근대 교육을 받은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천황제라는 전제 정치에 대항해 민중의 권리 신장을 요구하는 자유민권 운동이 대두되었다. 기타는 소학교를 다닐 때 의학자였던 와카바야시 겐에키가 세운 사숙에서 한문과 중국 고전, 그림을 배웠는데, 무엇보다 이곳에서 자유민권...
- 출생 :
- 1883년
- 사망 :
- 1937년
- 국적 :
- 일본
- 대표작 :
- 《일본 개조법안 대강》, 《국체론과 순정사회주의》, 《중국혁명외사》, 《국가개조안원리대강》
-
간토 대학살사상자 10만 명, 부상자 20만 명, 10억 엔의 경제 손실을 유발한 엄청난 재난이었다. 당시 일본은 경제 불황으로 인한 실업자 증가, 쌀값 폭등, 자유민권 운동, 공산주의 운동 등으로 국내 정세가 불안했다. 또한 그 전부터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조선인이 조선청년독립단을 조직하여 1919년 2월 8일 〈2·8자유독립...
-
애국계몽운동 愛國啓蒙運動결사의 자유를 더욱 제한하였다. 뒤이어 8월 1일에는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시켜 한국을 전적으로 무방비 상태에 두었다. 대한자강회는 고종 양위와 정미칠조약에...19일 강제해산당하였다. 그러나 대한자강회가 전국 규모로 애국계몽운동을 시작한 사실은 참으로 큰 업적을 남긴 것이었다. 대한자강회가 강제해산되고...
- 시대 :
- 근대
- 성격 :
- 사회운동, 국권회복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찬양회 양성원, 贊襄會약속하였으나, 보수 유생층의 반대와 재정부족을 이유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 단체는 여학교설립운동 이외에 독립협회 등이 중심이 된 만민공동회의 자유민권운동에 참여하였다. 『제국신문』을 간행한 이종일(李鍾一)은 찬양회운동을 우리나라의 여성해방운동으로 간주하여 『제국신문』은 찬양회의 홍보기관지라고...
- 시대 :
- 근대/개항기
- 설립 :
- 1898년 9월 12일
- 성격 :
- 여성단체, 사회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
메이지 일본의 상징, 메이지 천황 사치노미야(祐宮), 明治天皇촉발되기에 이르렀다. 이 전쟁은 다카모리를 비롯하여 쿠데타군의 지도자들이 자결함으로써 진압되었으나 이후 신정부의 정치 독점에 대한 불만은 자유민권 운동으로 발전했다. 자유민권론자들에 의해 내각의 중심 인물이던 오쿠보 도시미치까지 암살되자, 메이지 천황은 자유민권 운동이 격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 출생 :
- 1852년
- 사망 :
- 1912년
- 본명 :
- 무쓰히토(睦仁)
- 국적 :
-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