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배추속대장과 배추속대장아찌
    썬 다음 채반에 살짝 말려 물기를 없앤다. 3. 쇠고기는 가늘게 채 썰고 미나리도 4cm 길이로 썬다. 4. 1과 2에 간장을 부어 간이 고루 배도록 절인 후 물기를 꼭 짠다. 5. 쇠고기는 양념에 재웠다가 볶은 후 4의 절인 무와 배추를 넣고 볶다가 미나리 데친 것과 함께 무친 다음 오지그릇에 꾹꾹 눌러 담았다가 꺼내...
    분류 :
    부식류 > 장아찌류
    성격 :
    가열하지 않는 음식 > 소금이나 장류에 절이는 음식
  • 소줏고리
    오지(도자기의 한 종류로 만듦새가 투박하고 불투명한 자갈색인 신라 토기)로 만든 토고리, 쇠로 만든 쇠고리, 동으로 만든 동고리 등이 있다. 허리 부분이 잘록하게 들어간 장구 모양의 그릇으로 아래 그릇은 뻥 뚫려 있고, 위 그릇은 찬 물을 담을 수 있게 움푹 패여 있다. 쇠나 동으로 만든 고리는 위와 아래를 떼어...
    도서 다음백과
  • 굴뚝
    서민주택), ② 통나무 속을 파내어 만든 것(삼림지대), ③ 널빤지로 만든 것(평야지대나 도회지), ④ 오지토관을 만들어 여러 개를 이어 완성시킨 굴뚝(옻그릇 · 오지굴뚝 등으로도 만듦.), ⑤ 빚은 흙덩이를 말려서 쌓은 것(평야지대, 서해안 도서지방에서는 그 위에 짚으로 도롱이처럼 만들어 씌웠다.), ⑥ 돌과 흙...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주생활
  • 담고, 술이나 간장·된장을 담아 햇볕이 잘드는 장독대에 둔다. 장독대의 청결유지는 가정주부가 정성을 다해야 할 일이었으며, 집을 지키는 토지신을 이 장독대에 모셔두기도 하여 그 중요성을 짐작케 한다. 오지나 질그릇 외에 굵은 피나무의 속을 파내어 독으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주로 산간지방에서 볼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돌확
    내용 ‘확독’이라고도 한다.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보통 자연석을 우묵하게 파거나 번번하고 넓적하게 판 것 등이 있는가 하면, 오지로 되어 버치(너럭지) 형태의 그릇 안쪽에 우툴두툴하게 구워낸 것도 있다. 돌로 만든 것에는 손에 쥘만한 둥근 돌로 곡식을 으깨며, 오지로 된 자배기에는 흙으로 구워낸, 허리...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옹기 Onggi
    옹기(甕器)는 질그릇과 오지그릇의 통칭으로서, 보통 가정에서 쓰는 옹기로는 독·항아리·뚝배기·자배기·푼주·동이·방구리 등이 있다. 주로 한국에서 사용되는 그릇이며 간장, 된장, 고추장 등 장류를 저장할 때나 삭힐 때 사용한다. 옹기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지역별로 특색에 따라 또는 기후에 따라 다르게...
    도서 위키백과
  • 뚝배기 Ttukbaegi
    뚝배기는 찌개, 지짐이, 조림 등을 끓이거나 설렁탕 등을 담을 때 쓰는 오지그릇이다. 대한민국 재래의 토속적인 그릇으로, 아가리가 넓고 속이 조금 깊으며, 크기는 대, 중, 소의 여러가지가 있다. 뚝배기는 지방에 따라 툭배기, 툭수리, 툭박이, 투가리, 둑수리 등으로 불린다. 그 중에서 물 한 컵이나 반 컵 정도...
    도서 위키백과
  • 옹기말
    영등포구 영등포동8가에 있던 마을로서, 옛날에 이곳에서 오지그릇을 구웠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엎지른 물은 다시 담기 어렵다고 누가 처음 말했을까
    강상은 그릇을 뒤집어 물을 땅에 쏟아버렸습니다. 그리고는 그 물을 주워 담으면 다시 아내로 맞겠다고 말하지요. 아내가 안타까운 마음에 땅에 쏟아진 물을 아무리 주워 담으려 해도 그건 물이 아니라 물기 묻은 흙이었습니다. 그 모습을 쳐다보며 강상이 한 말이 ‘엎지른 물은 다시 담기 어렵다’입니다. 그는 오랜...
  • 소주고리 소주고수리, 燒酒─
    내용 고리라고도 하며, 제주도에서는 소주고수리라고 부른다. 대개 오지로 만들지만 간혹 구리나 놋쇠로 만든 것도 있다. 구리나 놋쇠 제품은 위아래가 따로...오지제품은 한데 붙여 만든 것이 대부분이다. 허리가 잘록한 눈사람같이 생긴 그릇의 위·아래·중간이 모두 뚫어졌으며 허리 위에 긴 코 같은 대롱이 달려...
    성격 :
    생활용품, 증류기
    유형 :
    물품
    재질 :
    오지, 구리, 놋쇠
    용도 :
    소주 증류
    분야 :
    과학/의약학
  • 항아리 Jar, 罐子
    항아리(缸―)는 오지그릇이나 질그릇의 한 종류이다. 항아리보다는 큰 그릇을 독, 항아리보다는 작은 그릇을 단지라고 한다. 항아리는 그릇의 입구가 짧고 배가 부르며, 운두가 높고 원통형이다. 항아리는 주로 흙으로 만들지만 그 지역과 민족에 따라 나무, 금, 은, 구리, 유리 등 갖가지 재료를 이용하며, 주로 물건...
    도서 위키백과
  • 약탕기 藥湯器
    썼던 그릇으로 보이는 것들이 있지만, 꼭 약탕기라고 하기는 어렵다. 이 때에는 끓이거나 삶는 것보다 한 단계 앞선 시기의 시루도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상당수의 청동제 초두(鐎斗:발이 셋 달리고 자루가 있는 남비)가 현존하고 있는데, 이는 약탕기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삼국시대 후기에는 일본 등지에서 삼국...
    유형 :
    물품
    분야 :
    과학/의약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오지그릇
오지그릇
오지그릇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