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방선주
    위원회 해외 자료 수집 위원. 그는 NARA에서 한국사 관련 자료를 많이 찾아낸 것은 맞지만, 논란이 되는 주장을 더러 내놓기도 했다. 2001년 9월 김구 암살범 안두희가 백의사와 미군 CIC 소속이라는 주장을 내놓았으나 반론이 많다. 또 6.25 전쟁 발발 당일 밤 해군 백두산함이 부산 앞바다에서 인민군 해군 육전대...
    도서 위키백과
  • 건국전쟁 The Birth of Korea
    낼 계획이었으나. 3월 3일 갑자기 들어온 신고들로 페이스북 계정을 일방적으로 삭제당했고, 때마침 당시 극장가에서는 '건국전쟁' 이 인기를 끌고 있어서. 항의의 의미로 "당신들이 빨갱이라고 죽인 사람들이 누구인지 봐라"라는 의미로 '빨갱이 무덤'으로 짓고 7개월 가량 앞당겨서 책을 냈다. 국부천대 안두희 KMDb 영화
    도서 위키백과
  • 김구 (드라마)
    역 한근욱 : 조소앙 역 이창환 : 엄항섭 역 김봉근 : 조완구 역 황준욱 : 장준하 역 조재훈 : 이풍식 역 김영석 : 선우진 역 김하균 : 옥관빈 역 정진각 : 안두희 역 이두섭 : 이승만 비서 역 서상익 : 김창룡 역 이인철 : 장은산 역 박영지 : 김지웅 역 김수일 : 원용덕 역 김윤형 : 채병덕 역 박영태 : 홍영기 역...
    도서 위키백과
  • 1949년 대한민국 1949 in South Korea
    윤기병이 지휘하는 무장경찰이 특경대원을 비롯해 반민특위 요원 35명을 체포해 수감하는 습격사건. 6월 26일 - 한국에서 미국군 철수. 김구가 육군 소위 안두희에게 살해되었다. 8월 4일 - 그리스가 대한민국을 승인. 8월 6일 장제스 중국 국민당 총재, 첫 대한민국 방문. 병역제도를 모병제에서 전시 징병제 (후에...
    도서 위키백과
  • 장은산 張銀山
    군법회의에 넘겨져 「적전비행」 등 죄목으로 사형을 언도받은 후 징역 10년으로 감형되어 군 형무소에서 복역 중 1951년 초 부산 육군 형무소로 이감된 후 병사했다. 부하 포병장교들에 의해 사살되었다는 설도 있다. 김구 암살 사건에 관련된 인물로, 암살범인 안두희가 자신에게 범행을 사주한 배후로 지목한 인물...
    도서 위키백과
  • 정진각
    역 2018년 《조선명탐정: 흡혈괴마의 비밀》 ... 좌의정 역 2020년 《강철비 2: 정상회담》 ... 총정치국장 역 1995년 KBS1 대하드라마 《김구》 ... 안두희 역 2001년 KBS2 특별기획드라마 《명성황후》 ... 천희연 역 2002년 KBS2 특별기획드라마 《장희빈》 ... 정강 역 2003년 KBS1 대하드라마 《무인시대...
    도서 위키백과
  • 이상기 (법조인)
    그러나 준법정신 준수를 강조하며 반민법 제5조에 따라 대법관 자리에서 물러나고 변호사를 개업했다. 1949년 발생한 김구 암살사건에서 암살범으로 체포된 안두희의 변호를 맡은 바 있다.뉴스 인용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 중 판사 부문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도서 위키백과
  • 듣고 보니 그럴싸
    5월 9일 한필화 한필성 남매 광복 해방 이후 전석호 9회 5월 16일 김수임 사건 1911~1950년 임주환 10회 5월 23일 뭄바이 연쇄 테러 2008년 김정태 11회 5월 30일 안두희 피살 사건 1996년 이문식 12회 6월 6일 응암동 지하실 살인 사건 1997년 ~ 2002년 김의성 SBS 프로듀서 출신인 김규형 PD는 JTBC로 이적한 뒤, 첫...
    도서 위키백과
  • 정병준
    자료 발굴과 이에 기초한 글쓰기가 주요 연구분야로, 50여권의 한국현대사 관련 자료집을 기획·해제했으며 여운형·박헌영·이승만·김구·김용중·김호·안두희·김계조·박순동·서태석·김성칠 등 근현대 인물과 정치사에 대해 글을 썼다. 2005년 독도가 일본령에서 배제되어 한국령임을 보여주는 영국 외무성 대일...
    도서 위키백과
  • 이창선 (군인)
    시절이던 1950년 6·25 한국 전쟁에 3년간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고 군무 이탈하여 일본으로 밀항하려 한 장은산 육군 대령을 체포하는 데에도 원용덕 장군, 안두희 중위 등과 함께 공을 세웠지만 훗날 1955년 9월 2일, 아버지 이응준 육군 중장이 대한민국 육군대학교 총장 재직 시기이던 대한민국 육군대학교에서 진급...
    도서 위키백과
  • 양국진 (1916년) 楊国鎮
    증언이 있다. 국방부는 1948년 12월 15일, 감찰총감이던 양국진 등 8명의 중령을 대령으로 특진발령하였다. 1949년에 김구가 암살되었을 때는 암살 혐의자인 안두희에 대한 군법회의 재판에 배심재판관에 참여하기도 했다. 당시 계급은 육군 대령이었으며, 재판의 주심재판관은 원용덕이었다. 이후 양국진은 3군단장과...
    도서 위키백과
  • 정태원
    반공법 위반 원심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하면서 외국환관리법 위반에 대해서는 정상을 참작하여 선고유예했다. 1966년 7월 30일에 있었던 백범 김구 살해범 안두희를 살해하려던 곽태영(30)에 대한 재판에서 "범행동기가 공분이었다"는 이유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3년 집행유예5년을 선고했다. 1968년 8월 24...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