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정기 구파(鷗波), 白貞基
    일제강점기 때, 무정부주의에 입각하여 자유혁명자연맹, 흑색공포단, 남화한인청년연맹 등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개설 호는 구파(鷗波).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읍 신운리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서울에 올라와 3 · 1운동을 목격하고, 고향에 돌아가 동지를 규합해 ...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백정기 구파, 白貞基
    어려서부터 한학과 신학문을 배운 그는 1919년 서울에 올라와 3·1운동을 목격하고, 급히 고향으로 돌아가 만세운동을 전개했다. 1922년 베이징으로 탈출했다. 1924년 여름 도쿄에 잠입해 수력공사장과 주요건물을 폭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베이징으로 귀환했다. 9월에는 상하이의 철공장에 들어갔다. 1925년 신채호 ...
    출생 :
    1896(건양 1), 전북 부안 신운리
    사망 :
    1934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백정기 Baek Jeong-gi, 白貞基
    1896년 1월 19일 ∼ 1934년 6월 5일)서적 인용는 전북 부안 출신의 일제강점기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다. 호는 구파(鷗波)이다. 1896년 1월 19일 전북 부안군 동진면 하장리(현재 부안읍 신운리)에서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02년 7세때 정읍군 영원면 갈선리(현재 영원면 은선리)로 이사하여 이곳에서 성장했...
    도서 위키백과
  • 구파 백정기 의사 고택지
    문화재 정보 구파 백정기 의사 고택지(鷗波 白貞基 義士 古宅址)는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구파 백정기(1896∼1934) 의사가 어렸을 적 살았던 곳이다. 1999년 11월 19일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03호로 지정되었다. 구파 백정기(1896∼1934) 의사가 어렸을 적 살았던 곳이다...
    도서 위키백과
  •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
    백정기의사기념관은 항일 독립운동가 구파 백정기 의사의 조국 광복을 위한 희생과 고귀한 뜻을 새기고 독립 정신을 기리기 위한 사당과 기념관이다. 이곳은 총 부지면적 20,850㎡으로 백정기의사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는 의열사, 구파 기념관, 청의당, 의열문, 숭의문, 백정기의사 동상 등이 자리하고 있다. 구파...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영원로 1049
    설립자 :
    정읍시
  • 의열투쟁의 선봉에 섰던 청년 지사들, 이종암 ・ 엄순봉 ・ 이강훈 李鐘巖 ・ 嚴舜奉 ・ 李康勳
    받음을 기대했는데, 가보니 거길 떠나고 없었다. 그래서 만주 시절의 인연을 따라 프랑스조계 복이리로 정원방(亭元坊)의 아나키스트 집거지로 가서 이달 ・ 백정기(白貞基) ・ 엄순봉 등 8인의 동지와 합숙하며 지냈다. 앞서 1930년 4월 상해에서 류기석(柳基錫) ・ 류자명(柳子明) 등의 주도로 아나키스트 비밀결사...
    출생 :
    이종암 1896년엄순봉 1906년이강훈 1903년
    사망 :
    이종암 1930년엄순봉 1938년이강훈 2003년
    포상훈격 :
    이종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엄순봉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강훈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정화암 鄭華岩
    구성원으로 흑색공포단(B.T.P)을 조직하여 일본영사관과 병영에 폭탄을 던지는 등 무력항쟁을 계속했다. 1933년에는 이강훈(李康勳)·원심창·백정기·유기문(柳基文)·이용준(李容俊)·진수방(陳樹芳)·전화민(田華民) 등 간부들을 규합하여 상해해방연맹을 결성하여 활동했다. 이해 3월에는 중국 주재 일본 상해공사인...
    출생 :
    1896(건양 1), 전북 김제
    사망 :
    1981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남화한인청년연맹 南華韓人靑年聯盟
    善)·정해리(鄭海理)·정화암(鄭華巖)·안공근(安恭根)·오면직(吳冕稙)·이현근(李炫謹) 등이었다. 활동은 일본침략세력의 저지작전으로 1933년 3월 17일백정기(白貞基)·원심창(元心昌)·이강훈(李康勳) 등이 주중 일본대사 아리요시[有吉明] 암살미수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백정기와 원심창은 무기징역을...
    시대 :
    근대
    설립 :
    1930년 4월 20일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유자명(柳子明), 유기석(柳基石), 장도선(張道善), 정해리(鄭海理), 정화암(鄭華巖), 안공근(安恭根), 오면직(吳冕稙), 이현근(李炫謹)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朝鮮無政府主義者聯盟
    점차 잠잠해지고 고명복의 집에서 가지고 나왔던 물건을 처분해서 돈이 생기자, 정화암(鄭華岩) · 이회영(李會榮) · 이을규(李乙奎) · 이정규(李正奎) · 백정기(白貞基) · 유자명(柳子明) 등이 북경(北京)에서 독립운동을 체계화시킬 목적으로 1924년 4월 조직하였다. 기능과 역할 1923년 9월 일본의 관동대진재...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박기성 구양군, 朴基成
    도쿄[東京]에서 정찬진(丁贊鎭)·홍영유 등과 같이 자유청년연맹을 조직하여 한인유학생들과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1926년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무정부주의자 백정기·엄순봉(嚴舜鳳) 등 10여 명과 함께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을 조직하고 일제의 밀정제거에 주력하는 한편, 일본공사 아리요시[有吉]를...
    출생 :
    1907. 6. 1, 충북 진천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在中國朝鮮無政府主義者聯盟
    재중국한인 아나키스트 연맹이라고도 한다. 이회영(李會榮)·이을규(李乙奎)·이정규(李丁奎)·백정기·유자명(柳子明)·정현섭(鄭賢燮) 등이 창립맹원이며, 기관지로서 〈정의공보 正義公報〉를 발행했다. 순간으로 총 9호가 발행된 기관지를 통해 중앙집권적 공산주의와 파벌주의적 독립운동자들을 비판하면서 자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원심창 元心昌
    聯盟)을 결사했다. 1929년 4월 동경유학생학우회 폭력사건으로 징역 3개월형을 언도받고 복역했다. 출옥 후 중국으로 건너가 정화암(鄭華岩)·주열(朱烈)·백정기·이회영 등과 한인무정부주의자 상해연맹을 조직했으며, 1931년 6월 흑색공포단(黑色恐怖團)이 조직되자 이에 가입했다. 1932년 11월 톈진[天津] 일본...
    출생 :
    1906. 12. 1, 경기 평택
    사망 :
    1973. 7. 4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백정기
백정기
백정기
정읍 구파 백정기 의사 고택지 정측면
일본 신문에 실린 백정기(白貞基) 사진과 기사
영원면 백정기 의사 의열사
구파백정기의사고택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