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구암살사건 金九暗殺事件
    1949년 6월 26일 백범(白凡) 김구(金九)가 서울 경교장에서 안두희(安斗熙)에게 암살당한 사건.|내용 1945년 8월 15일 해방 직전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으로서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백범 김구는, 해방 직후 중국에서 귀국하여 새로운 국가 건설에 앞장섰다. 특히 김구는 해방 이후 치열한 좌우대립의 과정에서 신...
    시대 :
    현대
    발생 :
    1949년 6월 26일
    성격 :
    암살사건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김구, 안두희, 한국독립당,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서북청년단
    관련 장소 :
    서울 경교장
  • 김구 암살 金九暗殺
    김구가 숙소인 경교장에서 육군 포병 소위 안두희가 쏜 총탄에 목숨을 잃었다. 안두희는 김구가 남북협상(남한 정부 수립 참조) 등을 통해 혼란을 조장해, 총을 쐈다고 밝혔다. 안두희는 단독 범행이라고 진술했으나,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것이 정설이다.
    시대 :
    1949년 6월 26일
    국가/대륙 :
    한국
  •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관련어 김구 암살사건)
    국제공산당 자금사건(國際共産黨資金事件)이란, 한인사회당이 코민테른(국제공산당)으로부터 받은 운동자금을 이르쿠츠크의 전러한인공산당(全露韓人共産黨)이 탈취하여 일어난 사건을 말한다. 이사건은 1차 사건과 이동휘의 측근인 한형권, 김립이 국제 공산당에서 받은 자금을 사회주의 운동가들에게 나눠준 2차 자금...
    도서 위키백과
  • 김구 연상, 金九
    체포되었다. 가혹한 고문을 당하고 15년 형을 선고받은데 이어, 1911년 9월 일제가 조작한 이른바 ‘데라우치 총독 암살음모사건(105인사건, 신민회사건)’으로 2년 형이 추가되었다. 감옥에서 김구의 ‘구(龜)’자를 ‘구(九)’자로 바꾸고, 호를 평민이라는 뜻으로 백정(白丁)의 ‘백’과 범부(凡夫)의 ‘범’을 따서...
    출생 :
    1876년 8월 29일, 황해 해주(海州)
    사망 :
    1949년 6월 26일
    본관 :
    안동(安東)
    주요활동 :
    동학농민운동에 황해도 팔봉 접주로 참가, 해외 김이언 의병부대 참가, 치하포에서 일제 밀정 처단, 신민회 황해도 총감, 애국계몽운동 황해도 지도자, 망명 후 임시정부 경무국장 ・ 내무총장 ・ 국무령에 취임,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봉창 의사의 동경 일왕에게 투탄,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홍구공원 의거 지도, 중경임시정부 주석, 한국광복군 창군, 임시정부의 좌 ・ 우연합정부로의 개편, 연합국 수뇌의 카이로회담에서 한국독립 약속받는 외교활동, 광복후 신탁통치 반대운동, 비상국민회의 조직, 민주의원 조직 총리 취임, 남북협상을 통한 통일대한민국 추구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임시정부, 한국노병회, 한인애국단, 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비상국민회의, 민주의원
  • 김구 독립운동가
    주의자들의 암살사건을 지휘했다.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의 의거가 대표적인 성공사례이다. 이 사건으로 일경의 탄압이 강화되자 상해를 탈출, 저장성(浙江省)으로 이동하여 광둥(廣東) 사람 행세를 하며 장진구(張震球), 장진(張震)이라는 가명으로 숨어 지냈다. 1933년 난징[南京] 에서 장제스[蔣介石]을...
    출생 :
    1876. 8. 29, 황해도 해주
    사망 :
    1949. 6. 26, 서울
    국적 :
    한국
    본관 :
    안동(安東)
    자 :
    연상(蓮上)
    호 :
    백범(白凡)
  • 김구 김창암, 金九
    1895년 명성왕후 살해에 이어 단발령이 내려지자, 온 나라에서 의병항쟁이 거세게 일어났다. 이런 상황에서 만주를 다녀온 선생은 안악으로 되돌아오다가 한 사건과 마주쳤다. 1896년 2월 치하포 주막에서 일본인 스치다(土田讓亮)를 만난 것이다. 이때가 명성황후가 시해된 지 넉 달 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선생...
    출생 :
    1876년 8월 29일, 황해 해주(海州)
    사망 :
    1949년 6월 26일
    수상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년
  • 안두희 安斗熙
    사건은 안두희에 의한 우발적 단독범행이 아니라 면밀하게 준비, 모의되고 조직적으로 역할 분담된 정권적 차원의 범죄였다. 안두희는 거대한 조직과 역할에...이들은 모두 정권적 차원의 비호를 받았지만, 그 일차적 배후는 군부였다. 김구 암살에는 당시 장은산(張恩山) 포병사령관과 김창룡(金昌龍) 육군정보국 방첩...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김창룡 산남, 金昌龍
    조사했다. 특무대장으로 있으면서 '동해안 반란사건', '국가원수 암살미수사건' 등 각종 정치사건을 조작하여 정치에 깊이 관여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반대파를...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1992년 4월 12일 안두희(安斗熙)의 자백으로 김구 암살의 배후 인물로 밝혀졌다. 1956년 1월 31일 허태영(許泰榮) 대령 외 3...
    출생 :
    함북 영흥, 1916
    사망 :
    1956. 1. 31
    국적 :
    한국
  • 치하포 사건 鵄河浦 事件
    대한 헌신으로 인해 김구는 오늘날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정치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그런데 최근 학계와 네티즌 사이에서 그를 냉정하게 재평가해야 한다는...있을 때 일어난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김립 피살 사건, 해방 후 벌어진 장덕수 암살 사건 등에 연루되어 있다는 의혹 때문이다. 특히 그의 명성을...
  • 여운형 呂運亨
    김구(金九)·손정도(孫貞道) 등과 함께 한인노병회(韓人勞兵會)를 조직하여 노농병 양성과 군비 조달에 힘썼다. 1923년 임시정부의 진로를 비롯한 독립운동의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에 참석하여 임시정부의 개조를 주장하였으며, 1925년 쑨원(孫文)의 권유로 중국국민당에 가입하고...
    시대 :
    현대
    출생 :
    1886년
    사망 :
    1947년 7월 19일
    경력 :
    상해임시정부 의정원 의원, 조선건국동맹 위원장,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 조선인민당 당수, 대통령장(2005년), 대한민국장(2008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손기정 선수 일장기 말소사건, 여운형 암살사건
    직업 :
    독립운동가,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함양(咸陽)
  • 김구 Kim Ku, 金九
    박순천(朴順天)·이은상(李殷相) 등 각계의 인사들이었다. 1949년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육군포병소위 안두희(安斗熙)에게 권총으로 저격된 김구암살사건(金九暗殺事件)이 발생하였다. 건국실천원양성소의 본부였던 원효사는 김구암살된 후, 1949년 8월 23일 건국실천원양성소는 해체되고 건물은 1949...
    도서 위키백과
  • 사쿠라다문의거 일본천황암살미수사건, ─門義擧
    천황을 암살하는 대임을 맡겼다. 1931년 12월 13일, 김구는 이봉창을 정식으로 한인애국단에 입단시키면서 “나는 적성(赤誠)으로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어 적국의 수괴를 도륙하기로 맹세하나이다.”라는 선서를 하게 하였다. 이봉창은 상해(上海)를 출발해 12월 22일일본 고베...
    시대 :
    근대
    발생 :
    1932년 1월 8일 오전 11시
    성격 :
    독립운동, 투탄의거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한인애국단, 김구, 이봉창, 히로히토 일본천황
    관련 장소 :
    일본 궁성 사쿠라다문의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김구
김구 선생 장례식
김구 선생 저격 후
서울 경교장 정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