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숭실고등학교 崇實高等學校, Soongsil High School
    진실 숭상’을 의미하는 교명 ‘숭실’의 정신대로 을사조약 체결되자 반대시위를 벌였다. 일제강점기에는 105인사건, 3·1운동, 광주학생운동, 신사참배 거부 등 항일운동과 구국운동에 앞장서 105인사건에서는 졸업생인 차이석·변인서·곽태종·김두화·길진형·윤원삼·안세환 등이 검거되어 대거 실형을 선고받기도...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2동 300-88
    설립 :
    1897년 10월
    성격 :
    중등교육기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배위량(裵緯良, W. M. Baird)
    분야 :
    교육/교육
  • 조만식 曺晩植
    일제가 신사참배(神社參拜)와 창씨개명(創氏改名) 등을 강요하자 1939년 10월 김동원 ・ 오윤선 등과 함께 산정현교회 장로를 사퇴하였다. 1940년 3월 교회는...지부 고문을 제의하자 이를 거절하였다. 1943년 지원병제에 대한 협조도 거부하였고, 1944년 학병 권유 시국강연을 강요받자 평양기독병원에 입원하였다고...
    출생 :
    1883년 2월 1일, 평남 평양(平壤)
    사망 :
    1950년 10월 18일
    관련 사건 :
    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신간회운동, 동우회사건, 모스크바 3상회의, 신탁통치 반대운동
    본관 :
    창녕(昌寧)
    주요활동 :
    1921년 평양기독교청년회 총무, 1922년 평양조선물산장려회 회장, 1923년 조선민립대학기성회 발기총회 중앙집행위원 겸 지방순회위원, 1927년 신간회 평양지회장, 1929년 조선어사전편찬회 설립 발기인, 1931년 관서체육회 회장, 1932년 조선기독교절제 운동회 부회장, 조선일보사 사장, 1937년 동우회사건에 연루 체포
    포상훈격 :
    1970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평양조선물산장려회, 신간회, 동우회
  • 박관준
    인물 정보 박관준(朴寬俊, 1875년 4월 13일-1945년 3월 13일)은 일제강점기 신사 참배 거부 운동을 전개한 개신교의 장로이며 독립운동가였다. 신사참배거부운동을 전개하다 검속되어 6년간의 옥고 끝에 사망하였다.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평안북도 영변에서 대부호 박치환의 넷째 아들로 1875...
    도서 위키백과
  • 하와이 한인단체 합성협회 성립의 주역, 안원규 ・ 정원명 安元奎 ・ 鄭元明
    장류 거부운동이 일어났는데, 한인들과 중국인들이 1919년 9월 일본제품 장류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중한장유회사(Chinese Korea Sauce Company)’를 설립하게 되었다. 중한장유회사는 간장 ・ 된장 ・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해 자본금 1만 달러로 정하고, 주식금 1매에 10달러로 하였다. 이 회사의 임시 이사원에는...
    출생 :
    안원규 1877년 8월 30일, 서울정원명 1881년 11월 20일, 평안남도 평양
    사망 :
    안원규 1947년 5월 22일정원명 1942년 6월 23일
    포상훈격 :
    안원규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정원명 2014년 건국훈장 애국장
  • 한상동
    1월 6일)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 출신으로 고신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 설립자이자 장로교 목사, 신학자이다. 주기철 목사와 더불어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거부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애국지사이다. 한학 수학 1910년 다대포실용학교(多大浦實用學校)입학 1916년에 졸업. 1927년 피어선성서학원에서 1년간 신학...
    도서 위키백과
  • 야스쿠니 신사 Yasukuni Shrine, 靖国神社
    참배거부하였다. A급 전범의 합사 사실은 1979년에 대중들에게 알려졌으나, 이에 대한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975년 이후 천황 부부는 단 한번도 야스쿠니 신사참배한 적이 없다. 이후 혼덴지의 주지승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게 A, B, C급 전범들 1,618명들을 위해 미사를 열어달라고 말했고...
    도서 위키백과
  • 양주삼 백사당(白沙堂), 梁柱三
    참배거부 문제가 일어나자 1936년 1월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윤치호(尹致昊) 등 기독교계 지도자들에게 신사참배가 국가의 제사의식이라고 설명하자 이를 수용하였다. 그 해 4월 『감리회보』에 「신사문제에 대한 통첩」을 번역하여 공포하여 감리교회가 신사참배를 받아들이게 하였다. 중일전쟁 발발직후인 1937...
    시대 :
    근대/개항기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대한예수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독노회), 大韓←Jesus敎長老會
    못하고 이행하는 측과 거부하는 측이 나누어져 교회를 갈라놓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946년 11월 북한의 총선거 이후 공산당이 김익두 목사를 내세워 조선...이르렀다. 평안도와 황해도 등지의 30여 교회가 이에 가담하였는데 평양 산정현교회가 구심적 역할을 하였다. 독노회는 조선예수교장로회가 신사참배를 가결...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주기철 주기복, 朱基徹
    마산 문창교회에 부임해서는 신앙운동과 계몽운동을 벌였다. 1936년 10월에는 평양 산정현교회에 부임하여 재직하던 중 일제가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이를 결사적으로 거부하며 신사참배 반대운동에 앞장섰다. 이로 인해 1938년 체포되어 황실불경죄·치안유지법 위반이란 죄목으로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평양형무소...
    출생 :
    1897. 11. 25, 경남 창원
    사망 :
    1944. 4. 21, 평남 평양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대한예수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大韓←Jesus敎長老會
    도 한때 정간된 적이 있었으나 1989년 복간되어 주간으로 발행되고 있다. 인터넷 시대를 맞이하여 '고신TV'도 운영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항거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장로 교단의 하나로서 교회사적으로는 교단 분열의 계기를 제공한 반면, 민족운동사적으로는 항일운동에 간접적으로 기여하였다...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박형룡 죽산(竹山), 朴亨龍
    진보적인 신학의 도전을 막아 내었다. 같은 해 장로회 총회의 표준 성경주석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9권의 성경주석을 편찬, 발간하였다. 1938년 6월 신사참배 거부운동으로 평양신학교가 폐쇄되자 일본 동경으로 피신하여 성경주석의 집필에 전념하다가 1942년 만주 봉천(奉天)으로 옮겨가 동북신학교의 교수와 교장직을...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정신여자고등학교 貞信女子高等學校
    보통학교로 인가 해주지 않고 탄압하였으므로 동문(同門) 등에서 구명운동을 벌인 끝에 1928년 지정학교로 지정받아 선교부에서 학교의 운영을 맡게 되었다...일제의 탄압은 극에 달하였다. 1939년 국어말살정책과 신사참배에 대한 거부로 교장이 해직되고 재단법인은 해체되어 이후 친일 한인에게 경영권이 형식적...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7동 50-4(올림픽로 4길 16)
    설립 :
    1887년 6월
    성격 :
    중등교육기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엘러스(A. J. Ellers)
    분야 :
    교육/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신사참배 거부운동
신사참배 거부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