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산정현교회 山亭峴敎會
    1906년 1월 평양 장대현교회(章臺峴敎會)에서 분립하여 평양의 닭골[鷄洞]산정현에 세워진 장로교회.|내용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번하이슬(Bernheisel, C.F., 片夏薛)과 연수 계택선(桂澤宣) 및 이신행(李信行)·정이도(鄭利道) 등이 교회설립에 큰 소임을 하였다. 1917년 11월 제4대목사로 강규찬(姜奎燦)이 부임하...
    시대 :
    근대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3동 1494-3
    설립 :
    1906년 1월
    성격 :
    교회, 장로교회
    유형 :
    단체
    설립자 :
    번하이슬, 계택선, 이신행, 정이도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산정현교회 山亭峴敎會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소속 교회.|[설립 목적] 산정현교회는 부산 지역에서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실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06년 1월 7일 평양 장대현교회서 분립하여 창설된 산정현교회는 1932년 송창근 목사가 목사를 받았고, 1936년 주기철 목사가 담임하였던 ...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 평양장대현교회 平壤章臺峴敎會
    1901년에는 길선주와 방기창을 장로로 장립했다. 이후 교세는 날로 번창해서 1901년에는 18개의 예배처소가 설치되었으며, 1903년 남문밖교회, 1907년 산정현교회, 1909년 서문밖교회를 분립할 정도에 이르렀다. 1905년부터는 길선주를 중심으로 새벽기도회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1907년의 대부흥회를 준비하는 계기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제일문창교회 마산포교회, 第一文昌敎會
    추산동의 옛 지명)에 석조예배당을 건축하면서 이사했고, 이때 교회 이름을 문창교회로 개칭했다. 1931년 7월 부임하여 1936년 7월 평양산정현교회로 이임할 때까지 문창교회에서 목회한 주기철 목사의 사역 장소는 바로 이곳 문창리였다. 1919년 3·1운동 당시 마산 지역의 3·22만세운동의 주역은 바로 문창교회 교인...
    시대 :
    현대
    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노산남1길 7(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상남동 87-1)
    설립 :
    마산포교회(1901년), 문창교회(1919년), 제일문창교회(1977년)
    성격 :
    개신교 교회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승규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대한예수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독노회), 大韓←Jesus敎長老會
    설립 목적 1948년 5월 평양 산정현교회에서 조직된 독노회의 전통을 이어받아 1967년 4월 정대신(鄭大信)을 중심으로 예수교 장로회 독노회를 재조직하여 출범한 교단이다. 칼뱅주의 장로교 헌법의 신조를 신앙 고백과 교리 선언으로 하고, 1938년 이전의 조선예수교장로회헌법을 사용하고 있다. 변천 및 현황 일제...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오정모 吳貞模
    의신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교사 시절 마산 문창교회를 다녔는데, 이곳에서 주기철(朱基徹) 목사를 만나 결혼하였다. 주기철 목사가 1936년 여름 평양 산정현교회(山亭峴敎會)에 부임하자 오정모도 평양으로 이주하였다. 부부가 모두 신사참배거부운동을 하였으며, 주기철 목사는 1944년 4월 21일 감옥에서 순교하였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사망 :
    1947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사참배거부운동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주기철 주기복(朱基福), 朱基徹
    5월 부인이 34세에 병사하였고, 이듬해 8월 부친도 세상을 떠났다. 1935년에 그가 담임하던 마산교회의 집사 오정모와 재혼하였다. 그후 1936년 7월 평양 산정현교회의 초청을 받고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신사 참배 거부 항쟁과 순교 기독교 학교에 대한 일제의 신사 참배 강요로 인해 당시 평양에서는 전통 깊은...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조만식 曺晩植
    평양 실업저금조합 등을 설립하였고, 1922년 6월 창립된 평양조선물산장려회 회장에 취임하였다. 이 무렵부터 '조선의 간디'라 불렸다고 하며, 12월 평양 산정현교회(山亭峴敎會) 장로가 되었다. 1923년 3월 서울에서 개최된 조선민립대학기성회 발기총회에서 중앙집행위원 겸 지방순회위원으로 선임되어 이후 전국 각지...
    출생 :
    1883년 2월 1일, 평남 평양(平壤)
    사망 :
    1950년 10월 18일
    관련 사건 :
    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신간회운동, 동우회사건, 모스크바 3상회의, 신탁통치 반대운동
    본관 :
    창녕(昌寧)
    주요활동 :
    1921년 평양기독교청년회 총무, 1922년 평양조선물산장려회 회장, 1923년 조선민립대학기성회 발기총회 중앙집행위원 겸 지방순회위원, 1927년 신간회 평양지회장, 1929년 조선어사전편찬회 설립 발기인, 1931년 관서체육회 회장, 1932년 조선기독교절제 운동회 부회장, 조선일보사 사장, 1937년 동우회사건에 연루 체포
    포상훈격 :
    1970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평양조선물산장려회, 신간회, 동우회
  • 송창근 宋昌根
    흥사단에 가입하였다. 1932년 1월 귀국하였다. 이는 한국교회 역사상 최초로 외국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고 온 인물의 등장이었다. 같은 해 4월 평양 산정현교회의 조사로 부임한 후 1933년 10월에 당회장으로 취임했다. 1936년 4월 산정현교회를 사임하고 부산에서 성빈사상을 실천하기 위해 ‘성빈학사’를 설립...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주남선 주남고(朱南皐), 朱南善
    옥중에서 종래의 남고라는 이름을 남선(南善)으로 바꾸었다. 8·15광복 직후인 1945년 8월 17일 석방된 뒤, 이기선·한상동 목사 등과 함께 평양 산정현교회에서 1개월 가량 부흥집회를 개최하면서 한국교회의 회개를 촉구하였다. 같은 해 9월 거창으로 돌아와 11월 제47회 경남 노회장에 피선되었다. 그 뒤, 옥중에서...
    시대 :
    근대
    출생 :
    1888년(고종 25)
    사망 :
    1951년
    경력 :
    거창읍교회 목사, 경남노회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사참배 거부운동
    직업 :
    목사
    성별 :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김정준 金正俊
    배경에는 만우 송창근 목사의 영향이 컸다. 숭실중학교에서 성경 교사로 처음 만난 송창근 목사에게서 개인 지도를 받았으며 송창근 목사가 목회하던 산정현 교회의 새벽 기도에도 참석했다. 이후 1937년 송창근 목사의 부름을 받고 부산으로 내려와 『성빈』이라는 월간 잡지의 편집을 맡기도 하였다. 1945...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조만식 曺晩植
    같은 해 5월에 숭실전문학교 강사로 2년간 봉직하는 동시에 평양 기독교청년회(YMCA) 총무로 취임해 1932년까지 활발한 사회운동을 전개했으며 그해 산정현교회의 장로가 되었다. 1922년 오윤선과 함께 조선물산장려회를 조직하고 회장이 되어 국산품 장려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이때부터 그는 '조선의 간디'로 불렸다...
    출생 :
    1883. 2. 1, 평남 강서
    사망 :
    1950. 10. 18, 평양(?)
    국적 :
    한국
    호 :
    고당(古堂)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평양 산정현교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