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치헌예고 致軒讛稿
    다같이 보유하고 있으나, 중인은 주관이 약하여 바람에 휩쓸리고, 성인은 잠심역행(潛心力行)하였기 때문에 적연부동(寂然不動)하다고 주장하였다. 잡저의 「동자소한설(董子蘇漢說)」은 한무제(漢武帝)가 동중서(董仲舒)를 기용하여 나라를 중흥시켰으나 재지(才智)만 이용하여 함부로 전란을 일으킨 결과 그 화가 천하...
    시대 :
    근대
    저작자 :
    전렬
    창작/발표시기 :
    1969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권 4책
    간행/발행 :
    전중근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동해집 東海集
    그밖에 「신후사예시(身後死豫示)」와 의병관계의 「병신의소초(丙申義所抄)」가 있다. 「팔유록」 등은 자신의 견문과 소감을 적은 글이며, 「개차」는 일명 「소한쇄필(消閒瑣筆)」이라고 한 것으로, 마음에 느껴지는 대로 기록한 것이다. 「곡구문답」은 당시 개화 문제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문답식으로 적은 글이며...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훈
    창작/발표시기 :
    1911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 7책
    간행/발행 :
    김상휴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신체시 작가와 작품
    를 신체시의 기원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박종화(朴鍾和)는 1905년경에 지은이를 알 수 없는 〈아양구첩 峨洋九疊〉·〈원백설 怨白雪〉·〈충혼소한 忠魂訴恨〉이 발표된 바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신체시의 효시로 이해했다. 그리고 김윤식(金允植)은 엄격한 의미에서의 신체시란 존속한 바도 없고 그럴 필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소리의 근원은 무엇인가?
    주변의 공기 분자들을 같은 진동수로 앞뒤로 진동하게 한다. 분자들이 진동함에 따라 밀한 부분(공기 분자들이 더 많이 모여 압력이 약간 높아지는 부분)과 소한 부분(공기 분자들이 흩어져 공기의 압력이 약간 낮아지는 부분)이 생긴다. 압력의 이러한 변화가 소리굽쇠의 다리에서 멀리 퍼져나가는 종파를 만들어낸다.
  • 윤법 閏法
    동지를 기점으로 하고, 황도를 24등분하여 그 각 등분점을 태양이 통과할 때를 절기(節氣) 또는 중기(中氣)로 하였다. 예컨대, 동지는 11월 중기, 소한은 12월 절기, 대한은 12월 중기, 입춘은 정월 절기 등이다. 이와 같이 동지점부터 중기와 절기를 번갈아 매겨 가는데, 태양이 이들 각 절을 지날 때의 날짜와 시각이...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고영창 高永昌
    조차 광주(廣州: 현 심양 서남 창역참)에서 이 거사에 가담하게 할 정도였다. 그러나 심주(瀋州: 현 심양)를 사이에 두고 요나라 재상(宰相) 장림(張琳)과 소한가노(蕭韓家奴) 등이 요동에서 모병한 병사 2만을 상대로 공방전을 되풀이하면서부터는 고전하였다. 이에 금나라와 교섭을 시도하였으나 황제의 칭호를 고집...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음파는 어떤 종류의 파동인가?
    음파와 같이 밀한 부분과 소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파동을 종파라고 한다. 파동이 전파되는 매질은 파원에서 관측자에게로 이동하지 않는다. 분자들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앞뒤로 진동할 뿐이다. 파동을 통해 파원으로부터 관측자에게까지 전달되는 것은 에너지다.
  • 소양(霄壤) : 하늘과 땅. 격차가 심함의 비유. 천지(天地). 소한(霄漢) : 하늘. 창천(蒼天), 창공(蒼空). 운소(雲霄) : 구름이 낀 하늘. 높은 지위를 비유한다.
    유형 :
    하늘과 땅에 관련된 한자
  • 생산력 生産曆
    청명 · 곡우 · 입하 · 소만 · 망종 · 하지 · 소서 · 대서 · 입추 · 처서 · 백로 · 추분 · 한로 · 상강 · 입동 · 소설 · 대설 · 동지 · 소한 · 대한의 날짜를 정하는 것도 각 시기에 태양의 궤도에서 지구가 차지하는 정확한 위치에 따른 것이다. 이처럼 양력은 계절적인 기후의 변화에 바탕을 두고...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촌락
  • 풍등놀이 등싸움, 風燈놀이
    민속놀이로 서당의 아이들이 이웃 다른 서당의 아이들과 등불을 가지고 싸움하는 놀이로서 등싸움 또는 초롱쌈이라고 한다. 동지는 24절기의 하나로 대설과 소한 사이에 있으며, 음력 11월 중이거나 양력 12월 22일경이다. 연원 및 변천 등쌈(싸움)은 서당의 생도들이 이웃 서당의 생도들과 등(燈)을 가지고 싸움하는...
    시대 :
    현대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동지 팥죽 드셨나요?
    것이다. 음력으로는 11월 중기(24절기 가운데의 양력으로 달마다 중순부터 드는 절기)이며, 양력으로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을 가리킨다. 대설의 다음이며 소한의 앞이다. 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께 들면 노동지라고 하는데, 이는 동지가 드는 시기에 따라 달리 부르는 말이다. 동지는...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음식 , 문화 일반
  • 내부 전반사 內部全反射, total internal reflection
    빛이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진행할 때 임계각보다 큰 각으로 입사하면 빛의 전부가 원래의 매질로 반사되어 돌아오는 현상.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보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