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간소비 intermediate consumption기업주가 공장이나 사무실에서 근로자들이 사용할 목적으로 구매하였다면 중간소비로 계상되나 근로자가 가정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구매하였다면 최종소비지출로 처리된다. 한편, 중간소비와 자본형성은 생산자가 구매한 재화가 회계기간 중에 소진 되는가 혹은 회계기간 이후에도 이익의 원천이 되는가에 따라 구분된다...
-
실업률갭실업률갭이 양(+)인 경우에는 노동공급 여력이 양호한 상황으로 인플레이션압력이 높지 않음을 나타내며, 실업률갭이 음(-)인 경우에는 노동공급 여력이 소진된 상황으로 노동력 확보경쟁 등으로 인한 임금상승이 인플레이션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물가안정을 주된 정책목표로 하는 중앙...
-
춘추전국시대, 전국시대 합종과 연횡진나라가 이들 여섯 나라의 동맹을 분쇄하고 그들 나라와 각각 화친해야 한다는 이른바 연횡설(連衡說)이 중원의 정치 무대에 등장하였다. 합종설의 추진자는 소진(蘇秦)이고, 연횡설의 추진자는 장의(張儀)였다. 소진은 낙양 출신이고 장의는 위나라 사람인데 둘 다 귀곡(鬼谷) 선생에게 사사하였다. 귀곡 선생은 그...
-
왜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바쁜 척하는가?, 보어아웃 boreout오늘도 피로한 당신, 번아웃〉이 번아웃에 대한 적잖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번아웃(burnout)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극도의 피로, (로켓의) 연료 소진”이란 뜻인데, 심리학적 유행어가 되면서 이른바 ‘번아웃 신드롬(burnout syndrome)’이 이처럼 언론 매체의 주목을 받고 있다. 번아웃 신드롬은 한 가지 일에...
-
-
으름난초 개천마매년 같은 장소에서 나오지 않고 수년이 지난 후 다시 그 자리에서 올라오곤 한다. 이유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꽃송이가 많이 달려, 가지고 있는 양분을 모두 소진해버리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꽃이 뭉쳐서 피는 곳에서는 많게는 20~30개체가 한꺼번에 꽃대를 올리고 한 줄기에서 수백 송이의 꽃이 피고...
- 학명 :
- Galeola septentrionalis Reichb. f.
- 분포지역 :
- 충남 태안군과 전라북도 진안, 전라남도 보성, 영암군, 제주도 일원
- 종류 :
- 부생란류
- 개화기 :
- 6~7월
-
근로시간·휴일·휴가 관련 노무상담, 결근일이나 병가를 연차휴가로 대체할 수 있나요휴가와 대체하면 급여를 받으면서 휴가를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회사는 아예 취업규칙에서 병가를 무급휴가로 정해놓고 병가를 쓸 때 연차휴가부터 소진하도록 정하고 있기도 합니다. 만약 취업규칙상 병가가 유급으로 돼 있다면 병가와 연차휴가를 각각 따로 쓰는 것이 당연히 유리합니다. 유급이기는 하지만...
-
서비스 품질 QoS, Quality of Service사용자가 과도하게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과다 트래픽 사용자의 속도를 제한하고 있다. 약관에 과다 트래픽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용량의 데이터 소진 시 낮아진 속도로 데이터가 제공된다”라고 명시했다. 유선 네트워크도 비슷하다. 기가 인터넷을 제공하는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는 상품에 일일 용량...
-
언택트 플랜 요금제전용 ‘5G 언택트 플랜’은 약정 ・ 결합 조건 등 부가혜택을 없앤 대신 기존 대비 약 30%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요금제다. 월 3만4000원에 데이터 8GB(소진 시 최대 400kbps)를 제공하는 ‘5G 언택트 34’, 월 4만2000원에 데이터 24GB(소진 시 최대 1Mbps)를 제공하는 ‘5G 언택트 42’ 등 2종이 출시된다. 이번...
-
박주운 목경(穆卿), 朴周雲철종 3)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를 역임하였다. 1864년(고종 1)에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으로서 일강구목(一綱九目)을 소진(疏陳)하였으며, 이듬해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이 되었다. 이듬해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을 역임한 뒤 비어책(備禦策)을 소진하였다. 1867년 칠곡부사...
- 시대 :
- 조선
- 출생 :
- 1820년(순조 20)
- 사망 :
- 미상
- 경력 :
- 성균관직강, 홍문관부수찬, 칠곡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역학연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함양(咸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