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크라이나 문학 Ukrainian literature
    미케 요한센, 유머 작가 오스타프 비슈니아 등이며 뛰어난 극작가로는 미콜라 쿨리슈를 들 수 있다. 1932년 소련 공산당은 필수적인 문학 기법으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강요했다. 이러한 공식 문학을 전형적으로 대표하는 작가로는 극작가 올렉산드르 코르니추크와 소설가 미하일로 스텔마흐를 들 수 있다. 스탈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세계문학
  • 문학사조 文學思潮
    소설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naturalism)의 혼류·교착 현상은 전자의 경우와 다를 바 없고, 이러한 혼란 현상은 그 후의 비판적 리얼리즘과 변증법적 리얼리즘, 그 뒤의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ist realism)의 수용 논의에도 계속된다. 자연주의를 본격 도입하기 시작한 백대진이 ‘사실주의 곧 자연주의’로 간주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유고슬라비아 문학 Yugoslav literature
    역사적 유산과 대결을 벌인 시기였다. 1948년에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 소련 중심의 코민포름에서 제명당한 뒤 문학을 비롯한 모든 예술에서 공식적인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요는 약해지기 시작했고, 1950년대 중반부터 작가들은 서구 문학의 경향과 표현양식을 반영했다. 당대 유고슬라비아의 이러한 세계주의적 측면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주체문학론
    민요, 시조, '궁중예술'까지 실학파 문학과 함께 문학사에서 공정하게 처리해야 하며, 근현대문학사에서도 1927년 방향 전환 이후의 카프문학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이나 20세기 초엽의 이해조·이인직·이광수·최남선 등도 응당한 수준에서 취급해야 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김우철 金友哲
    등이 바로 이에 해당한다. 1934년 ‘신건설사(新建設社)’ 사건에 연류가 되어 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그 뒤 그는 계급문학의 새로운 창작방법론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논의되자, 낭만성을 실질적인 기반으로 하여 리얼리즘론을 타개하고자 하는 「낭만적 인간탐조」(조선중앙일보, 1936.4.)라는 글을 발표하고 있다...
    시대 :
    근대
    출생 :
    1915년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평론가
    성별 :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소설개조론 小說改造論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김남천은 역사 발전의 불균등성과 문학예술에 대한 마르크스의 견해와 루카치의 장편소설 장르에 대한 연구에 힘입어 조선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원리에 입각한 장편소설의 양식을 탐색하려는 것이었다. ‘개인적 행동의 사회적 근인(根因)’을 구명하려는 노력이 그의 고발문학론이며, 그...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크리스티안 문쥬 Cristian Mungiu
    대한 애증의 시선을 던지고 있다. 미국의 대중문화 권위지 『빌리지 보이스』(Village Voice)의 영화평론가 짐 호버만(Jim Hoberman)은 “고전적인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마찬가지로 그 영화는 권위에 의해 휩쓸려간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진실한 재현이다”라고 평가했다. 크리스티안 문쥬의 저력을 재확인시킨 영화는...
    출생 :
    1968년 4월 27일, 루마니아 이아시
    수상 :
    2007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4개월, 3주, 그리고 2일>), 2012년 칸영화제 각본상(<신의 소녀들>), 2016년 칸영화제 감독상(<바칼로레아>)
    데뷔 :
    2002년 <내겐 너무 멋진 서쪽 나라>(Occident, 루마니아)
  •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비톨드 루토스와프스키, Concerto for Orchestra
    음악이 양차 세계대전 이후 거둔 위대한 승리처럼 여겨지는 곡이다. 구소련의 문화적 영향권에 속해있던 폴란드는 이 영향권의 다른 나라들처럼 ‘사회주의리얼리즘’이라는 문화적 도그마(dogma)에 큰 지배를 받았다. 그러나 루토스와프스키는 이미 1957년에 사회주의리얼리즘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는...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50년~1954년
    작곡가 :
    비톨드 루토스와프스키(Witold Lutosławski, 1913~1994)
    초연 :
    1954년 11월 26일 바르샤바
    헌정 :
    비톨드 로비츠키(Witold Rowicki, 1914~1989)
    구성 :
    3악장
    편성 :
    플루트 3(두 개의 플루트는 피콜로로 더블링), 오보에 3(하나의 오보에는 잉글리시 호른으로 더블링), 클라리넷 3(하나의 클라리넷은 베이스 클라리넷으로 더블링), 호른 4, 트럼펫 4, 트롬본 4, 튜바, 팀파니, 스네어/테너/베이스 드럼, 심벌즈, 탬버린, 탐탐, 실로폰, 벨, 첼레스타, 하프 2, 피아노, 현악기
  • 자본주의 사실주의 Capitalist realism
    에서 열린 전시회를 조직했다. 그 전시회는 "팝과 함께 하는 삶-자본주의적 사실주의를 위한 예시"라는 두 예술가가 행한 행위 예술로 막을 열었다. 사회주의 사실주의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선택된 이 용어는 50년대와 60년대에 소비와 여가 시간으로 특징을 이루고 있는 서독의 '실제' 자본주의의 모습을 반어적으로...
    도서 위키백과
  • 비슬라바 쉼보르스카 마리아 비스와바 안나 심보르스카, 심보르스카
    그녀의 시는 1945년에 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다. 1952년에 첫 시집이 나온 데 이어 1954년에 2번째 시집이 나왔지만, 심보르스카는 이 두 시집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맹목적으로 헌신했다는 이유로 이 시집들을 자신의 작품 목록에서 줄곧 제외해왔다. 소련이 검열을 완화한 뒤에 처음 출간된 시집 〈예티에게 외치다 Wo...
    출생 :
    1923. 7. 2, 폴란드 포즈나인 브닌
    국적 :
    폴란드
  • 러시아 영화 러시아 映畵, Russian cinema
    운동성은 몽타주 형식의 진수였다. 1930년대를 경계로 러시아 영화도 유성 영화 시대로 접어들었다. 때마침 이 무렵은 예술 활동 전 분야에 걸쳐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ist realism) 미학이 지배한 시기였다. 영화 제작 역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예술 창작의 원리로 삼았다. 하지만 스탈린주의(Stalinism)에 의해...
    도서 영화사전 | 태그 영화
  • 안함광 안종언, 安含光
    방법문제 재검토를 위하여〉(조선중앙일보, 1935. 6. 30~7. 4)·〈창작방법론 문제 논의의 발전과정과 그 전개〉(조선일보, 1936. 5. 30~6. 6) 등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받아들여 창작방법론에 대해 논의했다. 이 글에서 그는 한국과 소련의 현실이 다르므로 소련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출생 :
    1910. 5. 18, 황해 신천
    사망 :
    1982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념에 근접한 작품으로 평가되는 강경애의 역작 〈인간 문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