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악상어 Salmon shark, ネズミザメ
    생물 분류 악상어와 동종으로 여겨지다가 최근에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다. 난폭해 보이는 외모를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사람을 공격한 보고는 없다. 연승 어업으로 어획되는데, 고기와 기름은 식용한다. 일본에서는 악상어의 심장을 회로 먹기도 한다. 위키생물종-줄 분류군 식별자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미인주 Kuchikamizake, 口噛み酒
    미인주는 쌀과 같은 곡물 등을 입에 넣고 씹은 뒤 도로 뱉어내서 모은 것을 발효시켜 만드는 술을 말한다. 음식 치차 작품 너의 이름은. 모야시몬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부르키나파소의 역사
    되었다. 1960년에는 독립을 획득한 뒤, 새 헌법에 의해 초대 대통령으로 모리스 야메오고를 선출했다. 야메오고 대통령은 1966년 육군 중령 상굴레 라미자나가 주도한 쿠테타에 의해 실각되었고, 1970년에는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었다. 라미자나는 훗날 자신의 군사정부를 해체하고 1976년 민간인이 다수 의석을 차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이창동 李滄東, Lee Chang-dong
    시>는 15년 만에 영화에 출연하는 영화배우 윤정희를 주인공으로 생전 처음 ‘시’를 쓰게 된 60대 중반의 여인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영화이다. 주인공 미자(윤정희)는 국가 보조금을 받아 생활하며 중풍에 걸린 강노인의 수발을 들어주며 돈을 벌고 있다. 어느 날 미자는 자신의 외손자 종욱이 같은 학교 여학생 성...
    출생 :
    1954년 대구
    수상 :
    2011년 미국 시카고 트리뷴 올해 최고의 영화
    데뷔 :
    1997년 <초록물고기>
  • 붓순나무목 Illiciales
    주홍색의 열매를 얻기 위해 심는 남오미자(Kadsura japonica)가 있다. 한국에는 붓순나무과의 붓순나무(Illicium religiosum)와 오미자나무과의 오미자·흑오미자(Schisandra nigra)·남오미자가 자라고 있다. 이중 오미자를 가장 흔히 볼 수 있으며 붓순나무·흑오미자·남오미자는 남쪽 섬이나 제주도에서 자란다...
  • 오미자나무 북미(北味), 五味子나무
    줄기가 구불구불 길게 뻗어 자라면서 다른 나무를 기어오른다. 어린가지는 갈색, 큰 가지는 회갈색이다. 잎의 뒷면에 처음부터 털이 없는 유사종을 개오미자라고 한다. 또한 남오미자나무는 남쪽 지방에서만 자라는 늘푸른나무인 점이 다르다. 흑오미자는 열매가 검고 자르면 솔 냄새가 나는데 제주도에서 자란다. 생약...
    분류 :
    낙엽 활엽 덩굴나무
    학명 :
    Schisandra chinensi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기슭의 돌 많은 비탈
    번식 :
    약효 부위 :
    열매
    생약명 :
    오미자(五味子)
    키 :
    6~8m
    과 :
    목련과
    채취기간 :
    10~11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시고 맵고 쓰고 달고 떫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열매 5~7g
    주의사항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동래 금강원」 東來 金剛園
    금강원」은 1969년 『신동아』에 발표되었으며, 1973년에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한 『풍마(風魔)-이주홍 단편집』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동래 금강원」은 미자라는 밤 색시의 자살을 목격한 후 그간에 벌어진 일을 거슬러 올라가 회상하는 형식을 통해 소설을 전개하는 역순행적 구성을 취하고 있다. [내용] 소설가인...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 초중력이론 超重力理論, supergravity theory
    기술되며, 양자장론에 의하면 스핀이 2인 중력자(gravition)에 의해 힘이 매개되는 것으로 표현된다. 이 이론을 초대칭적으로 확장하면 스핀이 3/2인 중력미자(gravitino)의 도입이 필요하다. 초중력이론은 보손인 중력자와 페르미온인 중력미자 사이에 초대칭이 성립되도록 확장한 이론이다. 이것은 초대칭의 특이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오미자 五味子, Korean schizandra
    끓여 차를 만들거나 술을 담근다. 관상용으로는 덩굴로 잘자라기 때문에 남부지역에서 생울타리용으로도 좋다. 기르기 남부지역에 자생하는 남오미자나 흑오미자는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약용으로 주로 쓰이는 것은 오미자(북오미자)이다. 덩굴이 시계방향으로 감고 올라가는 습성이 있다. 꽃은 5월에 새로 나온...
    학명 :
    Schisandra chinensis
    꽃말 :
    다시 만납시다.
  • 집 이야기
    영화 정보 "집 이야기"는 201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이유영 : 은서 역 강신일 : 진철 역 서영화 : 미자 역 황은후 : 은주 역 조현식 : 경식 역 공민정 : 경란 역 신황철 : 만석 역 전석찬 : 상진 역 이남경 : 가람 역 장우서 : 민호 역 한동완 : 박 선배 역 남문철 : 오 부장 역 김병순 : 배씨 역 정대복...
    도서 위키백과
  • 가지 eggplant
    활용 식용하는 열매를 얻기 위해서는 보통 일년생으로 기른다. 지중해지역 요리의 주원료인 가지는 그리스의 무사카(moussaka)나 이탈리아의 가지 파르미자나(eggplant parmigiana), 중동지역의 양념인 바바 가노우시(baba ganoush) 등과 같은 고전요리에 많이 쓰인다. 종종 오븐이나 석쇠에 굽거나 튀겨서 또는 삶아서...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가지과 > 가지속
    원산지 :
    아시아 (인도)
    서식지 :
    밭에서 재배(원산지는 인도)
    크기 :
    약 60cm ~ 1m
    학명 :
    Solanum melongena L.
    꽃말 :
    진실
  • 시 (영화) Poetry (film), ポエトリー アグネスの詩
    국가 보조금을 받아 생활하고 있을 정도로 형편이 어려우며, 중풍이 걸린 강 노인의 수발을 들어주는 것으로 돈을 벌고 있는 것이 수입의 전부이다. 미자는 근처 문화센터에서 시를 쓰는 수업을 모집하는 것을 보고 수업을 듣기 시작한다. 강사인 시인 김용탁은 시를 쓰는 것은 사물을 제대로 보는 것이라면서, 수강자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알렉산더, 미자
흑오미자
흑오미자
줄무늬실꽃말미잘
실꽃말미잘
툰쿠 미잔 자이날 아비딘 모스크(Tuanku Mizan Zainal Abidin Mosqu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