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ㆍ 아래아개설 자음의 아래에 있는 ㅏ라는 뜻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ㆍ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고유한 음가를 가진 모음자의 역할을 하였으나, 그 모음의 발음이 ‘아’로 변하면서 ㅏ와 동일한 모음을 표기하기 위한 글자로 사용되었다. 제주 지역어에 모음 ‘ᄋᆞ’의 발음 흔적이 남아 있다. 내용 『훈민정음』 해례본(解例...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남양주시의 이색박물관 모음코스우리나라에는 정부운영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박물관들이 많다. 그 중에 남양주에는 일상과 예술을 아우르는 이색박물관이 곳곳에 둘러 있다. 생소하지만 유명하고 즐거운 박물관을 찾아 떠나보자. 아이와 함께도 좋지만 친구들, 연인끼리도 즐거운 여행이 될 것이다.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권선장단 신모음장단놓은 무명이나 명주를 풀어 내리는 것을 혼 내렸다고 한다. 혼을 내린 후에 화랭이가 「박물가」를 부르고 미지가 권선장단에 맞춰 「신모음」 무가를 부른다. 그렇기 때문에 신모음장단이라고도 한다. 2소박과 3소박이 3+2+2+3 등으로 혼합한 혼소박 4박 장단이다. 현황 요즘은 경기도에서 전통적인 성주굿을 거의 연행...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미국 특허 판례모음집 [미국] U.S.P.Q., 美国专利周刊The Bureau of National Affair에서 출판하는 미국 판례모음집으로, 1913년부터 현재까지 특허, 상표, 저작권 및 영업비밀 관련 판례가 수록됨.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이중모음이어지는 두 개의 모음 중 시작 모음과 끝 모음이 다른 소리를 내며 한 음절을 이루는 경우, 이 두 모음을 가리킨다. 시작 소리가 높은 것은 하강 이중 모음이라 하고, 끝 소리가 높은 것은 상승 이중 모음이라 한다.
-
모음의 표기①‘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다만, ‘게송(偈頌), 게시판, 휴게실’ 등은 본음대로 적는다. ②‘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
-
모음 체계 母音 體系[단모음 체계] 단모음은 지방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모음은 조음 특성상 특정한 조음점이 없고 상대적 높낮이나 개구도의 차이, 원순성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지역별로 조음점이 다르거나 분화되는 모음의 개수가 차이가 난다. 국어의 경우 [i], [u], [o], [a]의 극단점을 제외하고 각 모음의...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충청도방언 忠淸道方言ㅋ ; ㅅ, ㅆ ; ㅎ ; ㅈ, ㅉ, ㅊ ; ㅁ, ㄴ, ㅇ ; ㄹ)이다. 단모음은 10개(ㅣ, ㅔ, ㅐ ; ㅡ, ㅓ, ㅏ ; ㅜ, ㅗ ; ㅟ, ㅚ)로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 모음 모두가 변별되는 10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ㅔ’와 ‘ㅐ’의 대립이 소멸되기도 하며 ‘ㅟ’와 ‘ㅚ’는 단모음이 아닌 이중 모음으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