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영한 申寧漢, Shin Younghan
    생애 및 활동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하지 않다. 신영한(申寧漢)은 거란의 제2차 침입(1010(현종 1)∼1011(현종 2)) 때 크게 활약한 무신이다. 1010년(현종 원년) 11월 거란의 성종이 직접 4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입하였다. 이때 고려에서는 강조(康兆)가 30만 군사를 이끌고 통주(通州, 평안북도 선천군...
    시대 :
    고려전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좌우기군장군, 대장군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거란 제2차 침입
    직업 :
    관리,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이실춘 李實椿
    막혀 돌아온 적이 있으며, 1212년(강종 1) 7월 호부시랑(戶部侍郎)으로서 금나라의 만추절(萬秋節)을 축하하기 위하여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1216년(고종 3) 거란침입해오자 이를 방어하기 위하여 5군이 편성되면서 형부시랑(刑部侍郎)으로서 좌군병마부사로 임명되었다가, 다음 해 거란에 패배하여 5군이 재편성될...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하정사(賀正使), 호부시랑(戶部侍郎), 형부시랑(刑部侍郎), 중군지병마사(中軍知兵馬事), 위위경(衛尉卿)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거란의 침입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동국병감 東國兵鑑
    태종의 재침, 나·당연합군의 백제 침입, 나·당연합군의 고구려 침입, 나·당연합군에 의한 고구려 멸망, 당나라와 신라의 싸움, 세 차례에 걸친 거란의 고려 침입 등 총 20항목이 상권에 기록되어 있다. 하권는 고려의 여진 정벌, 거란의 고려 침입, 고려의 김희선(金希磾)이 동진(東晉)을 친 사건, 여섯 차례에 걸친...
    시대 :
    조선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2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고려 9대 왕, 덕종 고려 제9대 왕, 德宗
    거란의 사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삭주·영인진(지금의 함남 영흥군)·파천(지금의 함남 안변군)에 성을 쌓았다. 그리고 1033년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평장사 유소에게 명하여 압록강 어귀에서 동해안의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쌓았다. 천리장성은 서북면의 위원(지금의 평북 의주군...
    출생 :
    1016(현종 7)
    사망 :
    1034(덕종 3)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1031년∼1034년
    시호 :
    선효강명광장경강대왕(宣孝康明廣章敬康大王)
    능묘 :
    숙릉(肅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광군 光軍
    내용 947년(정종 2) 거란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설치한 지방호족의 지휘 아래 있던 농민예비군이다. 후진(後晉)에 유학하던 중 거란의 포로가 되었던 최광윤(崔光胤)이 거란의 고려침략계획을 감지한 뒤 이를 고려조정에 알려옴으로써 설치하였으며, 그 수는 약 30만에 달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광군은 상비군이라기...
    시대 :
    고려
    성격 :
    군대, 군사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947년(정종 2)
    폐지일 :
    1012년(1차), 1018년(2차)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평안도 平安道
    거란·여진 등의 거주지가 되었다. 후삼국을 통일한 후 고려 태조 왕건은 북진정책을 강행하여 청천강까지 영토를 회복했다. 이후에도 거란과의 충돌이 계속되었지만, 마침내 거란의 침입을 격퇴하고 압록강 유역까지 회복하여 강동6주를 설치하고 천리장성을 축조했다. 995년(성종 14) 때 패서도(浿西道)라고 했다가...
    위치 :
    지금의 평안남도와 평안북도 지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고려 10대 왕, 정종 요, 靖宗
    諸衛軍)에게 토지를 더 지급하여 변경의 방비를 굳게 했으며, 동서대비원을 수리하여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에게 의복과 옷을 주었다. 1037년 압록강 일대에서 거란의 침입을 받자 한동안 단절되었던 조공을 다시 바치기로 하여 거란과 화친을 맺었으며, 이듬해부터 거란의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1039년 책봉을 받았다...
    출생 :
    1018(현종 9)
    사망 :
    1046
    본명 :
    왕형(王亨)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1034년∼1046년
    시호 :
    홍효안의강헌영렬문경용혜대왕(弘孝安毅康獻英烈文敬容惠大王)
    능묘 :
    주릉(周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고종 왕진(王瞋), 高宗
    않는다는 철저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강화천도(江華遷都)는 고종은 원하지 않았으나 최우의 정치적 결정과 압박을 받아들인 결과였다. 잦은 민란과 거란 · 몽골의 침입으로 국가적 위기를 겪었다. 1216년(고종 3)부터 3년간 계속된 거란의 침입과 뒤이은 몽골의 장기적인 침입으로, 고종의 재위 기간은 고려 최대의...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하공진 河拱辰
    대량군 순(大良君詢 : 현종)을 옹립할 때 탁사정과 함께 강조의 군대에 참여했다. 그뒤 동서계(東西界)를 지킬 때 자의로 군대를 동원하여 동여진부락을 침입했다가 패한 일이 밝혀져 1010년(현종 1) 섬으로 유배되었다. 거란의 성종이 강조를 정벌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고려를 침입하여 이에 맞서 싸우던 강조가 통주...
    출생 :
    미상
    사망 :
    1011년(현종 2)
    국적 :
    고려, 한국
  • 최량 崔亮
    사위경이 되었다. 병으로 물러났다가 얼마 후 복직되어 문하시랑으로 임명되었고 이어 내사시랑 겸 민관어사 동내사문하평장사 감수국사가 되었다. 993년 거란침입해오자 하군사가 되어 상군사 박양유(朴良柔), 중군사 서희와 함께 거란의 침입을 막아냈다. 태자태사로 추증되었다. 후에 태위 태보 태사 내사령...
    출생 :
    미상
    사망 :
    995(성종 14). 4
    국적 :
    고려, 한국
  • 절도사 節度使
    성종 14)에 12절도사를 두었고, 7도단련사(都團練使) ·11단련사 ·21방어사 ·15자사(刺史)를 설치해 군사적인 절도사 체제로 개편하였다. 이것은 거란의 제1차 침입을 겪은 이후 지방 호족세력의 통제 강화와 거란의 침입을 대비하기 위한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서였다. 12주에는 절도사를 장관으로 하는 12군(軍)이...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와 호국 불교
    재난과 외침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하는 호국 불교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대장경 간행은 이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현종 2년인 1011년 거란의 침입으로 수도 개경이 무너지자 현종은 나주로 피란했고, 이때 조정에서는 불력(佛力)으로 거란을 물리치기를 염원하며 초조대장경을 만들었다. 당시 거란군...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거란의 침입 상황도
거란 3차 침입
거란 1차 침입
거란 2차 침입 지도
거란의 3차 침입(1018년)
거란의 2차 침입(1010년)
거란의 1차 침입(993년)
거란의 1차 침입과 강동 6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