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016(현종 7) |
---|---|
사망 | 1034(덕종 3) |
국적 | 고려, 한국 |
종교 | 불교 |
재위 | 1031년∼1034년 |
시호 | 선효강명광장경강대왕(宣孝康明廣章敬康大王) |
능묘 | 숙릉(肅陵) |
요약 천리장성을 축조하여 거란의 침입에 대비한 고려 제 9대 왕. 현종의 장남으로 이름은 흠, 자는 원량이며 1020년 연경군에 봉해지고 1022년 태자에 책봉된 후 선대왕 현종이 서거하자, 1031년 16세의 어린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재위 동안 국자감시를 신설하여 인재 등용의 폭을 넓혔고, 현종 때 착수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수했다. 대외적으로는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압록강 어귀에서 동해안의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쌓게 했다. 재위 3년만에 19세의 나이로 병사했으며 동생 평양군이 왕위를 이었다.
이름은 흠(欽). 자는 원량. 현종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원성태후 김씨이다. 왕비는 현종의 딸 경성왕후(敬成王后)와 효사왕후, 왕가도의 딸 경목현비이다.
1020년(현종 11) 연경군에 봉해지고, 1022년 태자가 되어 1031년 즉위했다. 즉위 후 국자감시를 신설했다. 1032년(덕종 1) 당시 왕의 생일을 인수절이라 하던 것을 응천절이라 고쳤다. 왕가도를 감수국사, 황주량을 수국사로 삼아 현종 때 착수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수했다. 1034년에는 양반 및 군한인 전시과를 개정했다.
대외적으로는 1032년 거란에 억류된 고려인의 송환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정조사의 파견을 중지했으며 거란의 사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삭주·영인진(지금의 함남 영흥군)·파천(지금의 함남 안변군)에 성을 쌓았다. 그리고 1033년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평장사 유소에게 명하여 압록강 어귀에서 동해안의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쌓았다.
천리장성은 서북면의 위원(지금의 평북 의주군)·정주(지금의 평북 의주)·운주(지금의 평북 희천)·영원·맹주(지금의 평남 맹산)·삭주 등의 13성과 동북면의 요덕(지금의 함남 영흥)·정변·화주 등의 3성을 연결한 것이다. 능은 숙릉으로 개성에 있다. 시호는 경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