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드라마는 외제차 전시장
    MBC 〈귀여운 여인〉에서는 폭스바겐(정보석 '투아렉', 이지훈 '뉴비틀 카브리올레')이 흔하다. 그 이유는 수입차 업체들이 같은 브랜드의 자동차를 통째로 PPL(특정 상품을 드라마 소품으로 활용하는 것) 협찬하고 있기 때문이다. 드라마 속 노출 빈도를 높여 호감을 사는 마케팅 전략의 하나인 것이다. 이들은 계약할...
  • 언박싱 채널 Unboxing Channel
    채널을 좋아한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언박싱 채널이 장난감 구매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보니, 완구 업체들로부터 촬영용 장난감을 협찬하겠다는 간접광고(PPL) 제의도 쏟아진다고 한다. 요리 · 뷰티 분야에서도 인기 유튜브 채널들은 이미 PPL을 많이 한다." 유튜브가 아이들의 놀이터로 진화하면서 유튜브는 2015...
  • 대공황과 고의적 진부화
    가운데, 지엠에 이어 다른 자동차 회사들 그리고 다른 산업으로까지 파급되었다. 지엠은 1935년 10편의 워너브라더스 영화와 자동차 뷰익을 묶은 대대적인 PPL(Product Placement: 상품 간접 광고) 캠페인을 전개했는데, PPL 캠페인이야말로 소비자들로 하여금 고의적 진부화를 받아들이게 하는 최상의 방법이었다...
    시대 :
    1929년
  • 티파니의 브랜딩 티파니 블루의 판타지
    한 번 각인되었으며, 티파니 주얼리는 상류사회와 행복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은 영화 제목에 브랜드 이름이 들어간 최고의 PPL 사례로 기억되고 있다. 스위트 알라바마 2002년, 로맨틱 코미디 영화 〈스위트 알라바마〉에 티파니가 등장했다. 남자 주인공이 티파니 매장에서 프러포즈하는...
    시리즈 브랜드 뮤지엄 101 | 태그 기업
  • 왜 PD는 쓸개가 없어야 성공할 수 있나
    회당 제작비 3분의 1이상을 차지하게 된다"며 "결국 정해진 제작비를 맞추기 위해 다른 배우를 적게 쓰거나 미술 등 드라마 제작 비용을 줄이고 과도한 PPL(간접광고)로 제작비를 맞추는 악순환이 이어져 작품 질이 떨어질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스타 연기자와 더불어 스타 작가들의 원고료도 치솟아 2010년 방송...
  • 에펠탑 효과 단순노출효과, Eiffel Tower effect
    에펠탑에 있는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할 정도였다. 하지만 시간이 오래 지나고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함께 겪으면서 에펠탑은 어느덧 시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게 됐다. 방송에서 지속적으로 내보내는 간접광고(PPL, Product in Placement) 역시 에펠탑 효과를 염두에 두고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사려 하는 것이다. 참고
  • 코디션 co-dition
    코디션 마케팅은 오디션 형식의 TV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며 등장했다. 오디션 참가자가 곧 브랜드의 콘텐츠가 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제품을 직접 노출하는 PPL보다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와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C세대가 급증하며 코디션 마케팅도 급증했다. C세대는 Connection(접속), Creation(창조), Community...
  • 모델테이너
    요즘 대중문화계의 분위기에 부합하는 비주얼이 강점이다. 이른바 '옷걸이'가 좋다는 것으로, 김형석은 "모델 출신 배우가 입고 나오는 옷이나 사용한 상품은 PPL에도 유리하다"고 말한다. 모델테이너의 인기가 상승하면서 엔터테인먼트 업계 관계자들도 모델에 주목하고 있다. 배우 매니지먼트사인 나무액터스와 HB...
  • 간접 광고 間接廣告, indirect action advertising
    광고는 아니지만 광고효과를 일으키는 유사 광고. 대표적인 것이 이른바 피피엘(PPL: product placement)로 영화나 드라마에 상품이나 로고를 삽입하는 것이다. 주인공이 타고 다니는 자동차, 휴대전화, 의복 등은 물론 그의 애인이 다니는 회사, 그들이 놀러가는 리조트와 영화관, 주인공이 선물하는 물건, 그들이 이용...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웹드라마 Web Drama
    앱 장터와 포털사이트를 통해 방영된 웹드라마 <방과후 복불복>은 중국의 포털사이트 '소후닷컴'에 공개된 지 한 달 만에 조회 수 1,000만 건을 돌파했다. PPL(간접광고)이나 소재에서 자유롭다는 것도 강점으로 꼽힌다. 바로 그런 다양한 장점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기업 홍보와 마케팅 차원에서 경쟁적으로 웹드라마를...
  • 마이너리티 리포트 Minority Report
    추세이기도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모노톤의 침착함 사이에서 강렬한 인상을 주었던 새빨간 자동차와, 귓속에 쏙 들어가는 소형 무선전화 등 몇 가지 간접광고(PPL : Product Placement)가 두드러졌다. 영화 내내 등장한 무선전화는 실제로는 전화가 아니라 유명한 오디오 회사의 하이엔드 이어폰에서 전선을 잘라내 사용...
    창작/발표시기 :
    2002년
    감독 :
    스티븐 스필버그
  • 펭귄효과 penguin effect
    펭귄의 습성에서 따온 이 용어는 신제품을 소비자가 선뜻 구매하지 않을 때 누군가를 내세워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된다. 드라마 속 PPL(간접광고)이나 SNS를 통한 마케팅 기법이 펭귄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2018년 초 거품이 터졌던 비트코인에 대한 광풍도 펭귄효과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본인의...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