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현암유고 玄巖遺稿읊었다. 「별빈부(別貧賦)」에서는 스스로의 빈궁함을 노래하고 은근히 자기의 문장력을 자랑하였다. 이 글에서는 옛 양웅(揚雄)의 「축빈부(逐貧賦)」와 한유(韓愈)의 「송궁문(送窮文)」은 문(文)으로써 희롱한 것이라고 하면서, 만약 양자운과 한유가 빈천함을 괴롭게 여겨서 「축빈부」와 「송궁문」을 지었다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최유연(崔有淵)
- 창작/발표시기 :
- 167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1책
- 간행/발행 :
- 맹주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당송팔가문 唐宋八家文서지사항 6권 3책. 목판본. 『어정당송팔자백선』은 1781년(정조 5) 팔가문 가운데서 100편을 정선하여 출간한 것이다. 이 책에는 당나라 사람의 것으로 한유(韓愈)의 글이 30편, 유종원(柳宗元)의 글이 15편, 송나라 사람의 것으로 구양수(歐陽脩)의 글이 15편, 소순(蘇洵)의 글이 5편, 소식(蘇軾)의 글이 20편, 소철...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
실사구시 實事求是실사(實事)를 일삼지 않고 공소(空疎)한 학술만을 편하다고 여기고, 그 옳음은 구하지 아니하고 선인(先人)의 말만을 위주로 하면 그것은 성현의 도에 배치된다. 한유(漢儒)들은 경전을 훈고함에 실사구시하지 않음이 없었으나, 진(晉) 이후로 노장(老莊)과 불교가 극성함에 학술이 일변해 실사구시와는 상반되었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작문모범 作文模範사서(四書)는 의리의 근원이므로 필수서이다. 『순자(筍子)』와 『양자(楊子)』, 그리고 『주역』 「계사(繫辭)」 · 『좌전(左傳)』 · 『예기(禮記)』 등은 한유(韓愈)가 존숭한 것이다. 사마천(司馬遷)과 반고(班固)의 글은 기사체(記事體)가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선별해서 읽을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명(明)나라의...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한문학
-
영조의 비호 아래 노론 척신 정권을 지키다, 홍봉한 익익재(翼翼齋), 洪鳳漢부홍파의 본격적인 대립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노론의 주도권을 놓고 정면으로 대결했다. 도화선이 된 것은 1770년(영조 46)에 청주 유생 한유(韓愈)가 올린 상소문이었다. 한유는 자신의 팔뚝에 “죽음으로 나라에 보답한다.”는 내용을 새겨 넣고 도끼를 메고 상경해 궐 앞에 나아가 죽기를 각오하고 상소를 올렸다...
-
성정론 性情論성과 정을 연속적으로 토론하지는 않았으나 두 가지가 서로 대립적인 것이라고 여기지도 않았다. 한대(漢代)에 이르러 비로소 성과 정은 합론(合論)되었고, 한유(漢儒)들이 인성 문제를 토론할 때 주요한 관념으로 나타났다. 한유들은 음양가(陰陽家)의 영향을 받아 성과 정을 이원화하였고 성선·정악의 학설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변려문 사륙문, 騈儷文서경(敍景)의 문에는 적합하지만, 달의(達意)나 논리의론의 문에는 적합하지가 않다는 것이다. 당나라에 이르게 되면서 고문운동이 더욱 고조되었다. 특히, 한유(韓愈)는 공맹(孔孟)의 후계자로 자처하고 유교를 배경으로 하여 논문체의 고문을 많이 지었다. 친구 유종원(柳宗元)도 한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송대에...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한문학
-
조용숙 사흠(士欽), 趙鏞肅일찍이 할아버지 조성가(趙性家)에게 수학하였고, 이어서 송병선(宋秉璿)·기우만(奇宇萬)·김평묵(金平默)을 사사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정효기(鄭孝基)·한유(韓愉)·하겸진(河謙鎭)·권재규(權載奎) 등과 교유하여 학문에 조예가 깊었으며,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이듬해 지리산 밑으로 이사하여 석실정사...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67년(고종 4)
- 사망 :
- 1929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유학자
- 대표작 :
- 연부연연, 독서석의, 부정척사론, 복재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함안(咸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