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북공정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 東北工程
    동북공정은 이때부터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연구센터는 2003년 7월 지린성 사회과학원과 연합하여 ‘제2회 동북변강역사와현상및고구려학술연구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는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열린 최초의 대형 학술회의였다. 특히 토론회에서는 고구려가 중국의 고대 지방민족정권이라는데 합의하는 등 고구려사...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존 스튜어트 밀 John Stuart Mill
    Review〉가 창간됨으로써 밀은 또다른 의견표현의 장을 얻었다. 밀은 아버지 집에 초대된 저명인사들의 토론모임에 열심히 참석했으며 1825년 런던 토론회에도 참석했다. 공직생활과 저술활동 밀은 1826년부터 런던 토론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해 독특한 음을 내는 지적 기계라고 불릴 정도로 호기심섞인 주목을...
    출생 :
    1806. 5. 20, 런던
    사망 :
    1873. 5. 8, 프랑스 아비뇽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한국언론학회 韓國言論學會,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Comm..
    총회원이 700여 명에 이른다. 매년 봄·가을 학술발표대회 및 강연회, 국제 심포지엄을 열고 수시로 학문적 이슈를 설정하여 그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학술토론회 '쟁점과 토론' 등을 가진다. 1968년부터 〈한국언론학보〉(발간 당시 〈신문학보〉)를 연 4회 발행하고 학술토론회를 전후해서 학술책자, 저널리즘 비평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경성청년구락부 京城靑年俱樂部
    활동 경성청년구락부(京城靑年俱樂部)는 주로 강연회와 토론회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1년 4월 ‘신청년이란’(강매), ‘하나’(박일병) , 6월 15일 ‘벽력과 춘풍’(박일병), ‘시대의 요구’(심정신) 등의 강연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외에도 ‘현재 우리 사회를 속히 발전시키는 힘은 교육이냐 실업이냐’, ‘우리...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영국의회 英國議會, Parliament
    연석회의를 소집했는데, 소집통고를 받은 사람만이 참가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관행은 14세기초에 종교 귀족들과 세속 귀족 사이의 토론회와, 기사들과 자치도시 주민들의 토론회로 발전하게 되었다. 엄격히 말해서 의회는 왕과 자문회의, 종교 귀족과 세속 귀족의 모임, 평민들이라는 3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방한덕 方漢德
    생애 및 활동사항 1864년(고종 1) 증광시(增廣試) 역과에 급제하였다. 1896년 창립된 독립협회의 회원으로 그 이듬해 8월부터 34회에 걸친 토론회에 여러 차례 대표토론자로서 토론회를 지도하였다. 1898년에는 독립협회의 임시 서리 부회장에 선출되었고, 8월 임원개선 때에는 평위원이 되었다. 이해 10월 중추원 1...
    시대 :
    근대
    출생 :
    1846년(헌종 12)
    사망 :
    1913년
    경력 :
    농상공부 광산국장, 남양군수, 독립협회 총대위원 및 대표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온양(溫陽)
  • 노병선 노광옥, 盧炳善
    힘을 합해 국가에 봉사하며 배운 것을 전국 동포에게 전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를 위해 매주 토요일 오후에 배재학당에 모여 공개토론회를 진행했는데, 노병선은 이 토론회의 주요 연사로 활약하였다. 1897년 5월 5일 설립된 한국기독교 최초의 청년조직인 웹윗청년회 창립위원으로 중앙본부 임원을 맡아 각 교회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71년
    사망 :
    1941년
    경력 :
    협성회 부회장, 웹윗청년회 창립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개신교인
    대표작 :
    파혹진션론
    성별 :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박세환 朴世煥
    창립된 독립협회에 참가, 고급관료들을 중심으로 한 초기 독립협회활동에 중견관료로서 가담하였다. 1897년 독립협회가 조직의 활성화를 위하여 토론회를 구성할 때 토론회를 계획, 조직하기 위한 3인위원회의 한 사람으로 지명되어 활동하였다. 독립협회가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할...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인천부관찰사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무티 리더십 Mutti Leadership
    라고 혹평했다. 무티 리더십은 2015년 7월 16일 독일 NDR방송 주최로 동북부 로스토크의 한 김나지움(중 · 고교)에서 열린 ‘독일에서 잘 살기’ 토론회에서 보인 언행으로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이 토론회에서 팔레스타인 출신으로 레바논 난민캠프를 거쳐 4년 전 독일에 왔다는 한 소녀는 “나 역시 다른 친구들...
  • 대한유학생회 大韓留學生會
    목적은 회원상호간의 친목도모와 학식의 교환은 물론, 서양문물의 수용을 통한 국가실력의 향상에 있었다. 기능과 역할 주요 활동으로는 학보발간·추도회·토론회·연설회·조대모의국회사건항의(早大模擬國會事件抗議)·단지동맹후원(斷指同盟後援)·국채보상운동·유학생단체통합운동 등을 들 수 있다. 1907년 3월...
    시대 :
    근대
    설립 :
    1906년 7월
    성격 :
    사회운동단체, 친목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08년 1월
    설립자 :
    최석하, 최린, 박승빈, 최남선, 유승흠 외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통사 朝鮮通史
    및 조선봉건사회의 토지소유구조에 관한 토론이 역사학계 내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과학원 역사연구소는 1957년 5월부터 '조선근세사 시기구분에 관한 토론회'를 10여 차례 개최하여 근현대사의 기준과 시점 논쟁을 전개했다. 이런 일련의 작업 후 1958년 근대 이후를 다룬 하권이 편찬되었는데, 북한은 이를 '과학...
    도서 다음백과
  • 서재필 개화기 독립운동가
    남궁억·이완용·김가진·안경수 등과 함께 1896년 7월 2일 독립협회를 창설하고 고문이 되었다. 초기에 고급관료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독립협회는 이후 토론회·구국상소·만민공동회 등을 통해 민중의 계몽과 근대화에 노력했다. 또 서재필은 배재학당에 강사로 나가면서 1896년 11월 13명의 회원으로 협성회(協成會...
    출생 :
    1864(고종 1), 전남 보성
    사망 :
    1951
    국적 :
    한국
    본관 :
    대구(大丘)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여성 관계 토론회
가족법 개정 토론회
대통령 후보 토론회 / 관훈클럽
김해교육포럼 정책토론회
소비자보호법 개정 공개토론회
소비자보호법 개정 공개토론회
바른정당정치개혁 토론회
가짜뉴스 토론회에서 발제하는 최진봉 교수
은산분리 규제완화의 문제점 진단 토론회
전기안전기본법 시행 관련 이해관계자 토론회
2019년 10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개최한 ‘전파법 개정을 위한 공개토론회’에서 참석자가 토론하고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