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표트르 바그라티온 Pyotr Bagration, ピョートル・バグラチオン
    넘는 적군과 전투를 벌여 휘하 장병 절반을 잃는 가운데에서 쿠투조프 장군의 본진 퇴각을 엄호해 적군을 퇴각시키는데 성공했다. 1805년 12월 2일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바그라티온은 뮈라와 장 란이 이끄는 프랑스군 좌익과 대치했다. 아우스터리츠 전투 패배후에도 1807년 2월 아일라우 전투, 같은해 6월 프리틀란트...
    도서 위키백과
  • 프랑수아 에티엔 켈레르만 François Étienne de Kellermann, フラン..
    François Étienne Kellermann, 1770년 8월 4일 ~ 1835년 6월 2일)은 프랑스의 군인이다. 나폴레옹 전쟁기의 기병 지휘관으로 마렝고 전투, 아우스터리츠 전투, 워털루 전투 등의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1820년 아버지 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 원수의 뒤를 이어 2대 발미 공작이 되었다. 프랑수아 에티엔 켈레르...
    도서 위키백과
  • 장드디외 술트 Jean-de-Dieu Soult, ニコラ=ジャン・ド・デュ・スールト
    라바스티드(현 타른 주 생타망술트)에서 태어나 1851년 11월 26일 사망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1804년 5월 19일 제국 원수에 임명된 술트는 아우스터리츠 전투(1805)에서 결정적 기여를 하였으며 나폴레옹은 술트를 두고 “유럽 제일가는 책사”라고 평했다. 술트는 다부, 란, 마세나, 쉬셰와 더불어 황제가...
    도서 위키백과
  • Michel Ney
    나폴레옹은 아우스터리츠에서 러시아-오스트리아 연합군을 무찔렀다. 네는 1806년 예나에서 프로이센군을, 1807년에는 아일라우와 프리틀란트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하는 데 주동적 역할을 했다. 1808년 스페인 출병 때도 용감한 사람이라는 그의 명성은 변함이 없었으나, 전술을 구상할 때 참모들과 협조하기 힘든 성미...
    출생 :
    1769. 1. 10, 프랑스 사를루이
    사망 :
    1815. 12. 7,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미하일 쿠투조프 Mikhail Kutuzov, ミハイル・クトゥーゾフ
    전술가 펠트조이크마이스터 베이로데르(Feldzeugmeister Weyrother)는 이 전투에서 패한것은 쿠투조프의 책임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러나 아우스터리츠 전투가 벌어진 1805년 11월 2일 쿠투조프는 전장에서 일군을 지휘하다가 부상을 입었다. 1806년~ 1812년 쿠투조프는 리투아니아(Lithuania)와 키에프(Kiev)의 군정관...
    도서 위키백과
  • 한스 카를 폰 디비치 Johann (Karl Friedrich Anton) Graf Di..
    승리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독일 태생으로 베를린 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1801년 러시아군에 입대했다. 나폴레옹 전쟁중에 아우스터리츠·아일라우·프리틀란트·스몰렌스크 전투에 참가한 뒤 육군 소장이 되었다. 서유럽에서 일어난 전쟁을 통하여 탁월한 군사적·외교적 능력을 발휘했고(1812~14), 1815년...
    출생 :
    1785년 5월 13일, 프로이센 슐레지엔 그로슬라이페
    사망 :
    1831년 6월 10일, 폴란드 푸투스크 근처 클레체보
    국적 :
    독일/러시아
  • 베시에르 Jean-Baptiste Bessières, duc d'Istrie
    대위로 복무한 뒤 1796년에 이탈리아의 나폴레옹 경호대 사령관으로 선발되었다. 1798년에 이집트 아부키르 만에서 용감하게 싸웠고, 2년 뒤에는 마렝고 전투(6. 14)에서 영사관 수비대 800명을 지휘했으며, 1805년에는 9,000명의 근위병을 이끌고 아우스터리츠에서 러시아 근위 기병대에 대한 유명한 돌격 작전(12. 2...
    출생 :
    1768년 8월 6일, 프랑스 프레사크
    사망 :
    1813년 5월 1일, 독일 작센 리파흐
    국적 :
    프랑스
  • 에투알 개선문 Arc de Triomphe, エトワール凱旋門
    건축의 대표작이다. 파리의 에투알 개선문은 센 강의 우편, 12개의 거리가 서로 만나는 광장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다. 개선문은 나폴레옹 1세가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승리한 직후, 그의 권세가 정점에 이르렀을 때에 건설이 시작되었다. 기초를 놓는 작업 자체만으로도 약 2년에 달하는 시간이 소요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오스테를리츠교 Pont d'Austerlitz, オステルリッツ橋
    교량 정보 오스테를리츠교는 프랑스 파리의 센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이다. 이 이름은 아우스터리츠 전투(1805)에서 유래되었다. 이 다리는 파리 12구의 르드뤼-롤랭 거리와 5구와 13구의 파리 식물원을 연결한다. 오스테를리츠교는 오른쪽 강둑에 있는 포부르 생앙투안과 왼쪽 강둑에 있는 파리 식물원을 연결해야 한다는...
    도서 위키백과
  • 표트르 비트겐슈타인 Peter Wittgenstein, ピョートル・ヴィトゲンシュテイン
    진급한 후 코시치우슈코 봉기에 참여했다. 1798년 대령으로, 1799년 소장으로 진급한 그는 1800년 마리우폴스키 후사르 여단을 지휘했다. 1805년 그는 아우스터리츠 전투에 참여했으며, 1806년에는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했고, 1807년에는 나폴레옹에 맞서 프리틀란트 전투를 치렀다. 같은 해에는 핀란드 전쟁에...
    도서 위키백과
  • 미셸 네 Michel Ney, ミシェル・ネイ
    빅토르 마리 모로 장군이 나폴레옹 암살설에 의심되자 나폴레옹은 모로를 추방하고 네를 그 자리에 앉혔다. 1805년 10월에 엘힝겔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두달도 되지 않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무찔렀다. 1806년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는 프로이센군을, 1807년 아일라우 전투와 프리틀란트 전투...
    도서 위키백과
  • 프랑스 혁명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French revolutionary and Napole..
    간섭 위협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1800년 마렝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에 거둔 승리와 뒤이은 뤼네빌 조약으로 프랑스는 유럽 대륙의 지배세력이 되었다. 그...중심으로 제3차 대 프랑스 동맹이 형성되었다(제3차 동맹). 나폴레옹은 1805년 울름과 아우스터리츠에서 대대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1806년에는 예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전쟁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나폴레옹의 아우스터리츠 전투를 묘사한 앙투안 장 그로의 그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