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은잡저 東隱雜著내용 1책. 필사본. 한독의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은 의약론·조리론(調理論)·신촬론(愼撮論)·수양론·이치론(異治論)·부인귀(附人鬼)로 되어 각각에 대하여 자기의 생각하는 바를 적고 있다. 의약론에서는 의자(醫者)를 명의(明醫)·양의(良醫)·예의(例醫)·편의(偏醫)·용의(庸醫)·행의(幸醫)·매의(魅醫...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형진
- 성격 :
- 의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과학/의약학
- 소장/전승 :
- 한독의약박물관
-
성학입문 聖學入門의성에서 간행되었다. 권말에 5대손 훈종(勳鍾)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전반부에는 사서 및 『시경』·『서경』 중 수양론에 관계되는 부분을 발췌하여 정주학적인 정통유학의 견지에서 풀이하였다. 후반부에는 선유들의 정주학에 관계되는 학문적인 논설이 담긴 서한과 문답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종덕
- 창작/발표시기 :
- 1937년
- 성격 :
- 수양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경상북도 의성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
후소유고 後巢遺稿방법에 관한 의견을 피력한 내용이 있으며, 「기김서문규(寄金壻文奎)」에는 사정(邪正)의 판단, 심신(心神)의 수렴(收斂) 등 주로 치심(治心)에 관한 수양론(修養論)이 언급되어 있다. 잡저의 「정순영문(呈巡營文)」은 효자의 포상(褒賞)을 청원하는 내용이며, 「금곡김씨통린향문(金谷金氏通隣鄕文)」은 열부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상우
- 창작/발표시기 :
- 192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김수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연세대학교 도서관
-
심경집의 心經集義심경부주』를 중시하거나 이에 관심을 가졌다는 점에서 같은 역사적 배경과 맥락을 가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심경집의』는 양명학자에 의해 기술된 유일한 『심경』 관련 주석서로, 주자학적인 심성론과 수양론의 책이었던 『심경부주』가 양명학자에 의해서 어떻게 재해석되는지를 잘 알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제두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상·하 2권(총82쪽)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칠실문집 漆室文集편지는 공부하는 도중 의문나는 내용에 대하여 질의한 것으로, 기질(氣質)의 편박(偏駁)과 연관된 존양성찰(存養省察)의 공부에서부터 내외교양(內外交養)의 수양론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토론하고 있어, 그의 학문적 성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족제 상룡(象龍)과는 『대학』의 몇 대목을 두고 문목...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최화진
- 창작/발표시기 :
- 1867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최종석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회산집 晦山集감회가 잘 묘사된 서정시이다. 잡저에는 「자경문(自警文)」·「몽양설(蒙養說)」·「정심설(正心說)」·「경인설시자(敬忍說示子)」 등이 있다. 모두 수양론(修養論)의 일종이다. 이 가운데 「자경문」은 제목 그대로 스스로를 경계하는 것으로, 길흉화복과 시비영욕(是非榮辱)이 모두 자신에게서 나오는 것이니 스스로...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양재팔
- 창작/발표시기 :
- 1933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2책
- 간행/발행 :
- 양창석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손괘 損卦것이 손괘이니 군자는 손괘의 상을 본받아 써서 분노를 그치게 하고 사사로운 욕망을 막는다.”고 했듯이 그릇된 감정과 지나친 욕구를 덜어내야 한다는 수양론적인 뜻을 갖고 있다. 괘사에서 “손은 믿음이 있으면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어 올바를 수가 있으며 일을 진행시켜 나가는 것이 이로우니 어디에 쓰겠는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만수일관 萬殊一貫개설 도학을 구성하는 핵심 분야인 이기론·심성론·수양론·천문·지리 등을 그림과 집약된 설명으로 표현하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본서의 편찬 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나중경(羅重慶)이 이재(李縡)의 문인이고 「비목헌집서(卑牧軒集序)」를 보면, 그가 봉암(鳳巖) 채지홍(蔡之洪: 1683∼1741)과 지기(知己)의 친구...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나중경(羅重慶)
- 창작/발표시기 :
- 1916년
- 성격 :
- 도설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첩(45절)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규장각
-
인도정종대전 人道正宗大傳개설 구한말 고종시기의 문신으로 광주군수(廣州郡守)를 역임했던 이증하가 성리학적 세계관과 수양론의 이론적 핵심을 성(誠)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인도(人道)의 요체를 설명한 저서이다. 편찬/발간 경위 경성(京城)의 송종주가(宋鍾洙家)가 소장한 필사본을 저본으로, 대정(大正) 3년(1914)에 간행하였다. 서지...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증하
- 창작/발표시기 :
- 大正3(1914)
- 성격 :
- 수양서, 수신서,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10장
- 간행/발행 :
- 경성(京城), 송종주가(宋鍾洙家)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장서각, 경희대도서관, 단국대율곡기념도서관
-
청초문집 聽蕉文集청초설」에서는 파초 잎에 빗물 구르는 소리를 들으며 은거하여 사는 자신의 삶의 모습을 적고 있다. 「도덕문장설」에서는 학문의 중심을 인간완성의 수양론에 두었던 장복추의 사상을 계승, 유년 시절 도덕 교육에 대한 관심을 잘 정리하고 있다. 도덕에 대한 이러한 생각은 「계아손」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가훈...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장석기
- 창작/발표시기 :
- 1937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장희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구인록 求仁錄箴)」, 여대림(呂大臨)의 「극기명(克己銘)」, 주자의 「경재잠(敬齋箴)」, 진덕수의 「사성재잠(思誠齋箴)」을 부기하였다. 이와 같은 명과 잠은 성리학의 수양론(修養論)으로서 수행(修行)을 통해 인을 구하는 데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견지에서 권말에 부연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인을 공자의 근본사상...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언적
- 창작/발표시기 :
- 1550년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신명사도 神明舍圖미발시의 경(敬)을 통한 존양(存養), 이발시의 의(義)를 척도로 하는 성찰(省察), 사욕의 기미가 발견되면 즉석에서 물리치는 극치(克治), 이렇게 삼단계 수양론을 통해 지선(至善)에 이르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곽내는 인간의 신체를 의미하는데, 주재자인 태일군이 머무는 집이 신명사이다. 그의 정사는 천덕과 왕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식
- 창작/발표시기 :
- 16세기 후반
- 성격 :
- 도설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