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관세칙 海關細則관세를 징수하기 시작했다. 이에 일본은 군대를 파견하여 협박하였으며 결국 무관세 상태가 유지되었다. 두모진 사건 이후 조선은 1880년 5월에 김홍집을 수신사로 파견하고, 제2차로 1881년 11월에 조병호를 수신사로 파견하여 새로운 통상 조약과 관세 교섭을 시도하였으나 일본이 응하지 않았다. 조선이 1882년 5월의...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이용숙 경지(敬之), 李容肅號)가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황주 삼전면 송산리 앞에 정박하자, 역관으로 황주목사 정대식(丁大植)을 수행하여 접견하고 입국 사유를 물었다. 1876년 4월 수신사(修信使) 김기수(金綺秀)를 수행, 별견당상역관(別遣堂上譯官)으로 20일간 일본에 머물며 일본의 신식기관과 시설을 돌아보고 돌아왔다. 1879년 음력 7월...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18년(순조 18)
- 사망 :
- 미상
- 경력 :
- 역관, 헌서재자관(憲書賫咨官), 재자관(賫咨官)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오군란
- 직업 :
- 역관, 외교가
- 대표작 :
- 전주이씨세보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전주
-
박유굉 朴裕宏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반남(潘南). 1882년 여름 조선 정부에서 임오군란에 대한 사과의 뜻으로 일본에 박영효(朴泳孝)를 수반으로 하는 수신사를 파견할 때 박영효의 수행원으로 따라갔다. 그후 수신사 일행이 귀국한 뒤 일본에 남아 학업을 계속하였다. 1882년 12월 게이오의숙[慶應義塾]에 입학하여 일본어를...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67년(고종 4)
- 사망 :
- 1888년(고종 25)
- 유형 :
- 인물
- 직업 :
- 군인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반남(潘南)
-
조일통상장정 朝日通商章程내국통과세(內國通過稅)조차 내국인에 부과할 수 없다. 이에 조선 정부는 외교적 절충에 의해 새로운 통상장정의 체결을 모색하게 되었다. 같은 해 11월에 수신사 조병호(趙秉鎬)가 35개 조의 통상장정안(通商章程案)을 가지고 일본 정부와 접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조선 국왕이 통상장정협상을 위해 조병호를...
- 시대 :
- 현대
- 성격 :
- 조약, 회담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83년 7월 25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조선의 마지막 구국 혼을 불태우다, 김홍집 도원(道園), 金弘集1868년(고종 5) 승정원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에 임명되면서 벼슬길에 나갔다. 그가 본격적으로 조정에서 활약하기 시작한 것은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로 일본을 방문하면서부터이다. 이때부터 그는 개화정책을 추진하며 조선 외교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 1884년(고종 21) 김옥균(金玉均), 박영효...
-
국용상하책 局用上下冊신문 및 잡지 등을 편찬 · 인쇄하던 출판 기관으로, 신문을 발행했다는 점에서는 한국 최초의 신문사로 평가하기도 한다. 박문국은 조선 말기인 1876년 수신사 김기수(金綺秀)가 일본에서 서양의 과학 기술 중 인쇄소에서 책을 출판하는 모습을 보고 서적 보급에 유용함을 인식한 것이 설치 배경이 되었다. 이후 1882년...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도서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지석영 종두법 보급에 힘쓴 조선 말기의 학자많이 읽었는데, 특히 E. 제너가 발견한 우두접종법(牛痘接種法, 천연두 예방법)에 큰 관심을 가졌다. 주요 활동과 업적 우두법의 보급 1876년(고종 13) 수신사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파견된 한의(漢醫) 박영선(朴永善)이 오다키(大瀧富川)로부터 종두법을 배우고 구가(久我克明)가 지은 〈종두귀감(種痘龜鑑)〉을 얻어...
- 출생 :
- 1855(철종 6). 5. 15, 서울
- 사망 :
- 1935. 2. 1
- 국적 :
- 한말, 한국
- 본관 :
- 충주(忠州)
- 자 :
- 공윤(公胤)
- 호 :
- 송촌(松村)
-
조선책략 사의조선책략, 朝鮮策略개설 원명은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 1책. 편찬/발간 경위 1880년(고종 17)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 초명은 宏集)에 의해서 당시 청국 주일공사관 참찬관(參贊官)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을 기증받아 귀국해 고종(高宗)에게 복명과 동시에 바쳤다. 내용 이 책략의 내용 가운데...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황준헌
- 창작/발표시기 :
- 1880년(고종 17) 공개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일한 교섭 약사』 日韓 交涉 略史형태] 1면 15행의 활자본이다. [구성/내용] 1894년(명치 27) 당시까지의 교섭을 30항목으로 선정하여 정리한 것이다. 운양함 포격, 일한 수호 조약 체결, 수신사 김기수(金綺秀), 수호 조규 부록 및 통상 장정 체결, 부산에 일본 관리관을 둔 일, 두모진(豆毛鎭)의 과세 정지 사건, 원산, 인천 개항 담판, 수신사 김홍집...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지석영 공윤(公胤), 池錫永영국인 제너(Jenner,E.)의 종두법(種痘法: 천연두 예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76년(고종 13) 병자수호조약이 일본과 체결되면서 그 해 수신사로 지석영의 스승인 박영선(朴永善)이 가게 되었는데, 그는 오다키[大瀧富川]에게 우두법을 배우고 구가[久我克明]의 『종두귀감(種痘龜鑑)』을 얻어다 전해...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과학/의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