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응상 송월(宋月), 應祥文化) 출신. 어머니 노씨(盧氏)가 구슬을 얻는 태몽을 꾸고 낳았다. 어려서부터 지극히 총명하여 사서(四書)를 익혔으나, 부모가 일찍 죽자 출가하여 구월산 성연(性衍)의 제자가 되었다. 뒤에 사명당(泗溟堂) 밑에서 공부하여 법맥(法脈)을 이었다. 사명당은 그가 큰 인물이 될 것임을 알고 금란가사와 전조심인원상...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72년(선조 5)
- 사망 :
- 1654년(인조 23)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대표작 :
- 송월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관서악부 관서백사시행락사, 關西樂府저자 신광수(申光洙, 1712~1775)의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이다. 39세에 진사에 합격하였으며 서화(書畫)에 뛰어났다. 구성 및 형식 108수로 구성되어 있다. 일정한 기준 하에 정교하게 배치하지 않고 뒤로 갈수록 시간적인 구획이나 장면의 구획이 모호해져 연작시를 구성하는 선명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한문학
-
적색농민조합 赤色農民組合창조파(創造派)와 개조파(改造派)가 각각 자기 측의 이익 대변에만 급급하다 보니 본래의 목표인 임시정부의 개편에는 손도 못대고 말[言語]의 성연(盛宴)으로 끝낸 셈이 되었다. 특히 김정하는 적색농민조합을 대표하여 농부의 권익옹호와 공산주의 이념 전파에 전심전력하였으나 민족계의 공격과 정면대결 때문에...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설립 :
- 1921년 5월 20일
- 성격 :
- 노동조합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정하, 박종근, 강경선, 서영완
- 분야 :
- 역사/근대사
-
사미인곡 思美人曲이들 작품은 모두 정철의 전후사미인곡과 같이 충군(忠君)의 지극한 정을 읊은 것으로 정철의 작품을 모방하여 지어진 것이다. 한역시로는 김상숙(金相肅)이 소체(騷體)로 번역한 것이 이병기(李秉岐) 소장의 ≪사미인곡첩≫에 전하고 있고, 성연경재(成硏經齋)의 오언시인 <사미인곡역>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철
- 창작/발표시기 :
- 1588년(선조 21)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대구 동화사 대웅전 석가영산회상도 大邱 桐華寺 大雄殿 釋迦靈山會上圖이용하여 사실적인 표현을 강조하였다. 이 그림은 19세기 말인 1896년(건양 1)에 동호 진철(東昊震徹)을 수화사로 하여 봉화(奉華), 상조(尙祚), 용주(用周), 성연(性演) 등이 함께 조성하였다. 진철은 19세기 후반 경기도와 경상도에서 활동한 화승으로, 1880년(고종 17) 대에는 경기도에 머무르면서 경선 응석(慶船...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카타러정 250mg Katare Tab. 250mg성분/함량 1정 중 메토카르바몰 250 mg (KP) 효능효과 근골격계질환에 수반하는 동통성연축 : 요배통증, 경건완증후군, 견관절주위염, 변형성척추증. 용법용량 성인: 메토카르바몰로서 1일 1.5~2.5g(6~9정)을 분할 경구투여한다. 소아에는 1일 체중 kg당 60밀리그람을 초과하지 말 것.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 식약처 분류 :
- [01220]골격근이완제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근골격계 작용약 > 근이완제 > 중추성 근이완제 > Centrally acting muscle relaxant
- 제조/수입사 :
- 오스틴제약(주)
- 급여정보 :
- 삭제
- 성상 :
- 백색의 장방형 필름제피정
- 제형 :
- 정제, 저작정
- 모양 :
- 장방형
- 색상 :
- 하양
- 식별표기 :
- WK19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밀폐용기, 실온(1~30℃)
- FDA 임산부 금기 :
- C - 해당 약물이 임부에게 투여될 경우 태아에게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나, 약물투여로 인한 치료적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
서산대산리유적 瑞山大山里遺蹟내용 서산시 북쪽으로 성연·지곡·대산 등 3개 면으로 된 해안선의 출입이 다양한 반도가 뻗어 있으며, 대산리는 이 반도 중간위치에 해당한다. 유적은 주로 이 촌락 뒤에 있는 연소산(燕巢山)에 분포되어 있다. 1961년 3월경에 있었던 홍수 뒤에 연소산 서남 경사면에서 당시 대산고등공민학교 학생에 의해 석기(石器...
- 시대 :
- 선사/석기
- 건립시기 :
-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 성격 :
- 선사유적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면 대산리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지방도 제634호선도로 정보 지방도 제634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방갈리 학암포와 서산시 성연면 명천리 성연 교차로를 잇는 충청남도의 지방도이다. 서산시 성연면 면소재지를 통과한다. 고남리 ~ 오사리 구간 약 1.4km에서 국도 제29호선과 중첩되며, 태안군 태안읍 무내삼거리부터 원북면 반계삼거리 구간 약 6km는 지방도 제...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