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세춘 李世春
    조선 영조 때의 가객.|본명은 응태. 신광수와 동시대인으로 시조창의 창시자로 추측된다. 신광수가 여주에 있는 영릉참봉으로 재직할 무렵 자주 왕래하면서 교류했다. 신광수는 〈증 가객 이응태 贈歌客李應泰〉라는 시에서 "당세의 명창 이세춘이 10년 동안 한양사람들을 경도시키네"라고 하여 그의 명성을 짐작하게 ...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이세춘 자원(子元), 李世春
    조선후기 최초로 시조에 장단을 배열한 가객.|내용 자는 자원(子元). 『해동가요(海東歌謠)』고금창가제씨조(古今唱歌諸氏條)에 허정(許珽)·장현(張炫)·탁주한(卓柱漢)·박대길(朴大吉)·김유기(金裕器)·박후웅(朴厚雄)·김수장(金壽長)·김천택(金天澤) 등 56명의 명창과 함께 나오는 인물이다. 1774년(영조 50) ...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가객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이세춘
    이세춘(李世春)은 조선 영조 때의 가인(歌人)이다. 일명 응태(應泰)이다. 삼국시대 이후 전해 내려온 가곡류의 창사를 시조 형식으로 고쳐 부른 최초의 인물이었다. 시절가조 또는 시조라는 명칭도 이 때부터 생긴 것으로 추정하는데, 신광수가 지은 《관서악부》를 보면 "일반적으로 시조는 장단을 배제한 노래로 장안(...
    도서 위키백과
  • 가단 歌壇
    이들 사이에는 동질성이 있었으리라 짐작된다. 논자에 따라서는 이들을 경정산가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격적인 가단활동은 18세기 중반부터인데, 이때는 이세춘가단이 활동했다. 노가재란 호를 가진 김수장을 중심으로 모인 노가재가단은 가창뿐 아니라 가집편찬과 창작활동에 힘썼고, 이세춘가단은 가창에만 힘썼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노랫가락
    생겨난 것이라고들 알아 왔다. 그러나 〈육자배기〉나 〈수심가〉말고도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형식으로 된 민요가 많고, 시조의 장단법이 근세의 이세춘(1)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다면, 시조로부터 〈노랫가락〉이 파생된 것이 아니라 〈노랫가락〉이 시조의 원형이라는 의견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요
  • 가객 선가, 歌客
    발달을 촉진하고 향유층을 넓히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18세기 초반의 선구적 가객에 김천택·김유기·김성기 등이 있고, 18세기 후반의 가객에는 김수장·김우규·박문욱·김묵수·김진태 등과 같은 노가재가단의 가객 및 이세춘·송실솔 등이 유명하다. 19세기 후반에 박효관·안민영·안경지 등이 그 뒤를 이어 활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기녀시조시인 妓女時調詩人
    차리고 찾아오는 고객을 상대로 술과 가무를 파는 경우이다. 조선 후기로 올수록 2번째와 3번째의 활동형태가 주목된다. 영조 때의 가객(歌客)으로 유명했던 이세춘(李世春)의 집단이 가무에 능한 기녀와 함께 민간의 초청에 의해 영업을 했던 것이 그 적절한 예가 될 것이다. 조선시대의 시조는 주로 연회에서 불렸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가객 가악, 歌客
    오른 허정(許珽)은 효종 때 승지를 지냈고, 장현(張炫)은 숙종 때 지사(知事)를 역임한 명사임이 분명하다. 또한 김천택(金天澤)은 『청구영언』을 편찬하였고, 이세춘(李世春)은 시조창법(時調唱法)을 개발한 잘 알려진 가객의 한 사람이다. 조선 말기 고종 때는 박효관(朴孝寬), 안민영(安玟英) 등 일세를 진동한 가객...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내포제시조(아랫내포제)
    하여 노래 부르는 것을 말하며, 시절가, 시절단가, 단가라고도 한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영조(재위 1724∼1776)때 학자 신광수의『석북집』관서악부로 이세춘이 시조에 장단을 붙였다는 시가 나온다. 순조(재위 1800∼1834) 때 간행된『유예지』와『구라철사금자보』에서는 시조의 악보가 처음으로 나타난다. 그후 가곡...
    도서 위키백과
  • 가객
    가객(歌客)은 한국의 전통 가악 중 가곡, 가사, 시조를 직접 창작하거나 부르는 것을 직업으로 삼았던 사람. 《해동가요》를 편찬한 김수장,《청구영언》을 편찬한 김천택, 시조 창법을 개발한 이세춘,《가곡원류》를 편찬한 박효관, 안민영 등이 대표적인 가객이다. 한국음악
    도서 위키백과
  • 시조 Sijo, 時調
    형식적 특징으로 구별되는 엇시조, 사설시조 등이 있다. 시조(時調)란 이름은 시절가조(時節歌調)를 줄인 것이다. 조선 영조대의 유명한 가객(歌客)인 이세춘(李世春)이란 사람이 만든 말로 그 시절에 유행하는 노래곡조란 뜻이다. 고려 중엽 한시와 향가의 영향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시조의 주제는 시대별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