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원시불교의 기원과 역사불교 출현의 역사적 배경 불교가 출현한 때인 BC 6세기경에는 당시 인도의 기성종교였던 브라만교에 커다란 변화가 일고 있었다. BC 1500년경부터 인도 서북부를 침공하여 원주민들을 지배하기 시작한 아리아인들은 4성 계급(varṇa) 제도를 중심으로 한 사회질서를 구축했다. 브라만교는 4계급 가운데서 가장 신성한...
-
-
근본불교 초기불교, 根本佛敎개설 근본불교(Fundamental Buddhism)는 원시불교(Primitive Buddhism) 혹은 초기불교(Early Buddhism)라고도 하는데, 한국에서는 이 중 근본불교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원시불교란 용어는 붓다와 붓다의 직제자 시대의 불교가 아직까지 완전한 모습을 갖추지 못한 원시적인 형태의 불교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선호...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밀교 진언문(眞言門), 密敎개설 밀교는 비밀 불교(秘密佛敎)의 줄임말로 현교(顯敎)의 상대 개념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현교는 석가모니의 설법이나 경전을 통해 드러나 있는 가르침이라는 의미이다. 이에 반해 밀교는 언어나 문자에 의해서만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직관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밀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철학으로서의 인도 불교개요 불교는 인도종교사 가운데 완전히 새로운 현상은 아니었다. 이미 현존하고 있는 브라만 또는 비아리안적인 관념들을 토대로 해서 성립되었기 때문이다. 석가모니 이전 BC 6세기경에는 아트만·카르마·목샤(해탈)라는 브라만적인 이론들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들이 있었다. 푸라나 카샤파류의 자연주의자, 아지비카...
-
-
-
대승불교 大乘佛敎내용 대승(大乘)이란 ‘큰 수레’를 뜻하는 범어 마하야나(Mahāyāna)의 한역어로 소승(小乘), 즉 히나야나(H○nayāna)에 맞서는 말이다. 대승불교운동이 일어났을 때 대승교도들은 스스로를 대승이라고 부르고, 그 이전의 부파 불교교단들을 가리켜 소승이라고 낮추어 불렀는데 ‘대승’이란 말은 여기서 유래한 것...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팔상도 八相圖탄생·성도·초전법륜·사위성신변·33천강하·취상조복(醉象調伏)·원후봉밀·열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에서 팔상은 불전의 번역에 따라 이해되어 불교의 전파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상으로 전개되었다. 기록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 팔상은 『화엄경』의 「십지품」이나 『기신론』 등에서 하천(下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