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모양은 달라도 같은 함수가 있나요?를 쓰기 시작했는데, 함수가 여러 개일 때는 처럼 여러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면 함수를 나타내는 f(x)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을까요? f(x)는 x를 독립변수로 하는 함수(x에 관한 함수)라는 뜻이 강합니다. 다음의 두 함수식을 살펴봅시다. f(x) = x2 + a2 g(a) = x2 + a2 두 함수식은 꼭 같은 모양이지만...
- 분야 :
- 함수와 규칙성
- 교과단원 :
- 중등 1학년 〈함수〉, 중등 3학년 〈이차함수〉, 고등 1학년 〈함수〉
-
다른 유형의 해석학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복소함수로 미분이 가능하다. 복소다변수해석학은 미분방정식과 복소수를 통합하여 복소변수함수의 미적분학을 다룬다. 일반적으로 복소함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모두 복소수인 함수를 말한다. 즉 복소함수는 정의역과 치역이 복소평면의 부분집합인 함수다. 복소함수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
미분방정식과 상미분방정식이란?일계 또는 그 이상의 편미분방정식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미분방정식은 독립변수에 관한 도함수와 종속변수를 포함한다. 그런 방정식을 푼다는 것은 도함수와 함께 그 방정식을 만족하는 독립변수의 연속함수를 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미분방정식은 단지 1개의 독립변수를 포함한 방정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