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송고승전 宋高僧傳, Sung kaosengchuan
    도선의 〈속고승전〉에 이어 찬집된 것으로, 〈삼속고승전 三續高僧傳〉이라고도 불린다. 내용은 역경·의해·습선·명률·호법·감통·유신·독송·흥복·잡과의 10과로 분류되며, 각 과의 말미에 사론을 실었다. 정전 533인과 부록 130인이 실려 있다. 〈대정신수대장경 大正新修大藏經〉 50권에 수록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佛說大報父母恩重經
    저자 및 편자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권85에 수록된 ‘불설부모은중경(佛說父母恩重經)’이라는 제목의 돈황(敦煌) 출토 단권 경전(no. 2887)에는 번역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대주간정중경목록(大周刊定衆經目錄)』 권15나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권18 등은 이 경전을 위경(僞經)으로 취급하고...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佛說大報父母恩重經
    저자 및 편자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권85에 수록된 ‘불설부모은중경’이라는 제목의 돈황(敦煌) 출토 단권 경전(no. 2887)에는 번역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또한 『대주간정중경목록(大周刊定衆經目錄)』 권15나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권18 등에서는 “고래로 전하지만, 모두 가짜라고 한다...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묘법연화경 권2·4·5·6 법화경(法華經), 妙法蓮華經 卷二·四·五·六
    권4의 제8 「오백제자수기품(五百弟子受記品)」, 권6의 제19 「법사공덕품(法師功德品)」의 경문에 대응됨을 확인할 수 있다. 권, 품의 번호가 대체로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의 판본과 일치하므로 권5에는 제14 「안락행품(安樂行品)」 ~ 제17 「분별공덕품(分別功德品)」이 수록되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권2...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당대천복사고사주번경대덕법장화상전 법장화상전, 唐大薦福寺故寺主飜經大德法藏和尙傳
    화엄십찰(華嚴十刹)에 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 책은 1090년(선종 7)『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 수록되었고, 『속장경』의 일부로 조판되었으며, 1149년(의종 3) 의화(義和)에 의하여 재간행되었다. 현재 이 책은 『대일본속장경(大日本續藏經)』과 『대정신수대장경』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최치원
    창작/발표시기 :
    904년
    성격 :
    전기
    유형 :
    작품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덕연 德緣, Deokyeon
    즉위년인 1122년 6월 국사(國師)에 임명되었다. 왕사에 임명되기 전인 1115년(예종 10)에 『홍찬법화전(弘贊法華傳)』을 교감한 일이 있다. 이 사실은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권51에 수록된 『홍찬법화전』권10의 발문에 나와 있다. 교감 당시 덕연의 지위는 승통(僧統)이었고, 홍화사(弘化寺) 주지였다...
    시대 :
    고려전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왕사, 국사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아미타경소 阿彌陀經疏
    遊心安樂道)』와 함께 그의 미타정토왕생사상(彌陀淨土往生思想)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서지적 사항 1권 1책. 편찬 경위 등은 알 수 없다.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 제37권, 『만속장(卍續藏)』 제34함, 『원효대사전집(元曉大師全集)』 등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 책은 대의(大意)·종치(宗致...
    시대 :
    고대/삼국
    저작자 :
    원효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승대집지장십륜경서 大乘大集地藏十輪經序
    부분을 보충하고 첨가해서 번역하였음을 밝히고, 지장보살의 십륜이 중생의 열 가지 악업(惡業)을 전화시켜 삼보(三寶)를 보존하고 불법을 널리 전하게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현장의 『십륜경』 번역의 의의를 평가하고 있다. 이 서문은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 권13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신방
    창작/발표시기 :
    651년
    성격 :
    서문, 불교경전서문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화엄경종요 華嚴經宗要, Doctrinal Essentials of the Flower G..
    종요(華嚴經宗要)』는 전하지 않아 그 내용을 알 수 없다. 서지적 사항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권1 「해동유본견행록(海東有本見行錄)」(『대정신수대장경』 55)에는 『화엄경』에 대하여 “원효가 저술한 『소』가 10권 있는데, 원래는 8권이었고 다시 제5권을 분책하고 『종요』와 합쳐 10...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원효(元曉, 617∼686)
    성격 :
    해설서, 불교해설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열반경종요 涅槃經宗要
    내용 2권 1책.‘열반종요(涅槃宗要)’라고도 한다. 일본 닛코[日光]의 린노지[輪王寺]가 소장한 1124년본이 현존하고, 이 사본이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에 수록되어 있으며, 서문은 『동문선』 권83에 수록되어 있다. 처음에 『열반경』의 대의(大意)를 간략히 말하고, 다음에는 자세히 분별하여 조직적...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원효(元曉)
    창작/발표시기 :
    신라시대
    성격 :
    해설서, 불교해설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린오사(輪王寺), 규장각 도서
  • 율장 Vinaya Piṭaka, 律蔵
    범망경 《사분율비구계본》,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동국역경원. 2011년 4월 2일에 확인: 계본, 즉 바라제목차가 들어 있다. 《불설범망육십이견경》, 대정신수대장경, T22, No. 1428. CBETA. 2011년 4월 2일에 확인. 《오분율(五分律)》, 대정신수대장경, T22, No. 1421. CBETA. 2011년 4월 2일에 확인. 《십송율(十誦...
    도서 위키백과
  • 화엄경고적기 화엄고적(華嚴古迹), 華嚴經古迹記
    經古迹記)』는 전하지 않아 그 내용을 알 수 없다. 서지사항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教藏總錄)』 권1 「해동유본경행록(海東有本見行錄)」 상(『대정신수대장경』 55)에는 10권 혹은 5권으로 소개하고 있고, 『불전소초목록(佛典疏抄目錄)』 상(『대일본불교전서』 1)에는 ‘화엄고적 십권(華嚴古迹十卷)’으로...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대정신수대장경 제33권 경소부
대정신수대장경/불설인왕호국반야바라밀경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