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양도논법
    양도논법(兩刀論法)은 논리학에서 대전제가 두 개의 가언적 명제의 연언(連言) 명제로 되어 있고, 소전제가 대전제의 두 전건을 긍정하든가 혹은 두 후건을 부정하는 선언적 명제의 형태로 되어 있는 삼단 논법이다. 고대로부터 딜레마을 얻어내기위한 형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대전제) 가언 명제의 연언 명제 (소전제...
    도서 위키백과
  • 김수현 시대의 개막
    일거에 고취시켰다는 점에서 진취적인 여성 사회극이 되었다. 복잡하고 말도 많은 대가족 식구 속에 후취로 들어간 여자는 일단 편치 못할 것이라는 대전제가 도마 위에 오른 음식처럼 시청욕을 돋구었다." 안방 관객의 사랑을 듬뿍 받았지만 〈새엄마〉는 사실 모험이었다. PD 김포천은 "〈새엄마〉를 기획 확정하기...
  • 이탈리아의 초기 방언 문학
    이탈리아 문학이란 오늘날 표준어가 된 토스카나 방언으로 씌어진 문학을 대전제로 한다. 라틴어의 영향권에서 독립해 방언으로 본격적인 작품들이 창작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13세기부터라고 할 수 있다. 찬란한 로마 문학의 전통을 이어받고 프로방스 지방의 아름다운 서정시로부터 영향을 받아 태동된 이탈리아 초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17세기 이후의 기호학파
    김창흡의 문인인 어유봉·이재·김원행·오희상(吳熙常)·홍직필(洪直弼)이 동조했다. 논쟁 자체는 주자학의 이론범주 내에서 진행되었고, 양자 모두 율곡의 대전제를 수용하는 입장이었다. 그럼에도 양측이 격렬하게 대립했던 것은 당시의 시대변화에 따라 인간세계의 원리만이 아니라 물질세계의 원리도 해명해야 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역사 일반
  • 모더스 포넌스 분리규칙, modus ponens
    한다. 명제논리 및 술어논리에 있어서의 추론규칙의 하나. 2개의 논리식 A⊃B(A이면 B)와 A에서, 논리식 B를 도입하는 추론을 말한다. 전통적으로는, A⊃B를 대전제, A를 소전제, B를 결론이라고 한다. 모더스 포넌스는 히르베르트 스타일의 형식적 체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추론규칙이다. 〈참조어〉 모더스 톨렌스...
  • 선건설·후통일론 先建設·後統一論
    보낸 대통령 연두교서에서 박정희 대통령은 “우리의 지상명제는 바로 조국통일”이라고 전제했지만, “우리가 지향하는 조국 근대화야말로 남북통일을 위한 대전제요, 중간목표이다. 통일의 길이 근대화에 있고, 근대화의 길이 경제자립에 있는 것이라면 경제자립은 통일의 첫 단계가 된다”고 강조했다. 연원 및 변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현대사
  • 수권자본제도
    있으나, 회사의 재산적 기초가 위태롭게 되기 쉽고 따라서 채권자의 보호도 소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의 「상법」은 기업경영의 합리화라는 대전제하에 영미의 이사회제도를 충분히 활용하되, 경제적 ・ 사회적 현실과 과거의 제도적 배경을 고려하여 수권자본제도와 확정자본제도의 절충 ・ 조화를 시도...
  • 수권자본제도 授權資本制度, authorized capital system
    있으나, 회사의 재산적 기초가 위태롭게 되기 쉽고 따라서 채권자의 보호도 소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의 「상법」은 기업경영의 합리화라는 대전제하에 영미의 이사회제도를 충분히 활용하되, 경제적 ・ 사회적 현실과 과거의 제도적 배경을 고려하여 수권자본제도와 확정자본제도의 절충 ・ 조화를 시도...
  • 딜레마 Dilemma, ジレンマ
    선택하는 순간 동시에 다른 한쪽은 포기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둘다 선택하거나 둘다 포기할수도 없는 곤란한 상황이다. 이러한 딜레마는 논리학에서 대전제가 두 개의 가언적 명제의 연언(連言) 명제로 되어 있고, 소전제가 대전제의 두 전건을 선언적으로 긍정하든가 혹은 두 후건을 선언적으로 부정하는 선언지...
    도서 위키백과
  • 이중부정 Double negative, 二重否定 (言語学)
    기호로는 Double Negation의 약자인 DN 이다 예 다음은 'A이면 B이다' 의 추론형식을 사용하기 위해 이중부정 논리기호를 도입하는 유도과정이다. (대전제) A이면 B가 아니다. ( A \to \neg B ) (소전제) B이다. ( B ) (대전제) A이면 B가 아니다. ( A \to \neg B ) (소전제) B가 아니지 않다. ( \neg\neg B ) (대전제...
    도서 위키백과
  • 추론 규칙 Rule of inference, 推論規則
    R 도출: l \lor P, \ \neg \, l \lor Q \ \vdash \ P \lor Q 형식 구조 F1 전가언 삼단논법 (세 명제 전부가 가언명제) F2 혼합가언 전건긍정 삼단논법 (대전제 가언 · 소전제 정언명제) F3 혼합가언 후건부정 삼단논법 (대전제 가언 · 소전제 정언) F4 혼합선언 부정 삼단논법 (대전제 선언 명제 · 소전제 정언) F5...
    도서 위키백과
  • 논식
    예 예를 들면 식(mode)이 AA\Box의 배열순서에서 격이 타당하게 유지되는 중명사의 배열순서는 오직 제1격만이 성립한다는 교차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는 대전제가 전칭이면서 소전제가 긍정이라면 결론이 항상 타당하기 위해서는 제1격 또는 제3격이어야 한다는 정보들의 순서의 중요성을 보여주는것과 같은 맥락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