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단논법 三段論法, syllogism
    논리학에서 2개의 전제와 1개의 결론을 가진 타당한 연역 논증.|전통적인 유형은 단순히 서술하는 진술로만 이루어진 정언적 삼단논법이다. 정언적 삼단논법에는 주어나 술어로 사용되는 3개의 명사만 있고, 각 명사는 2번씩 사용되는데, "모든 사람은 죽는다. 어떤 신도 죽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도 신이 아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삼단논법 (관련어 삼단 논법) Syllogism, 三段論法
    삼단논법(三段論法, syllogism)은 미리 알려진 두 판단에서 그것들과는 다른 하나의 새로운 판단으로 이끄는 추론 방법이다. 2개의 명제를 전제로 결론을 내는 대표적인 간접추론 형식이자 연역추론이다.같은 추리가 대표적인 것이다. 결론에서 주어 '인간'을 소개념, 술어 '죽어야만 하는 것'을 대개념이라 하고, 소개...
    도서 위키백과
  • 연역 (관련어 삼단논법) 演繹, deduction
    엄밀한 증명방식, 즉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술들(전제들)에서 어떤 진술(결론)을 도출하는 추론방식을 가리키는 논리학의 용어. 따라서 연역은 일련의 진술들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진술은 전제이거나 증명과정에서 이전에 나타난 어떤 진술의 귀결이다. 이러한 용법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삼단논법이라고 불렀던 것을 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삼단논법의 연구
    기초 삼단논법에서는 '정언 명제'라고 하는 일정한 형식을 갖춘 명제들만을 다루는데, 이 명제들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① A 명제(전칭 긍정):모든 _는 _이다. ② E 명제(전칭 부정):어느 _도 _이 아니다. ③ I 명제(특칭 긍정):어떤 _은 _이다. ④ O 명제(특칭 부정):어떤 _은 _이 아니다. 여기서 변량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Syllogism 삼단논법, 三段論法
    A syllogism ( syllogismos, "conclusion, inference") is a kind of logical argument that applies deductive reasoning to arrive at a conclusion based on two or more propositions that are asserted or assumed to be true.In its earliest form, defined by Aristotle, from the combination of a general stat...
  •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동물학은 이제 낡은 것이 되었지만, 19세기까지는 관찰과 이론 면에서 그의 연구를 넘어선 사람이 없었다. 철학 분야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직도 살아 있다. 삼단논법론은 이제 형식논리학의 작은 부분일 뿐이지만, 그의 윤리학·정치학·형이상학·과학철학 등은 현대 철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의되고 있다...
    출생 :
    BC 384, 마케도니아 근처 칼키디케 스타기로스
    국적 :
    그리스
  • 삼단논법을 분석하는 방식을 발명한 사람은?
    1880년, 영국의 논리학자인 존 벤(John Venn, 1834~1923)은 삼단논법을 분석하기 위해 오늘날 벤다이어그램으로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였다. 처음에 벤은 동시대 사람들, 특히 영국의 수학자 조지 불(1815~1864)과 아우구스투스 드모르간(1806~1871)이 자신들의 연구에서 그런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
  • 생략삼단논법 省略三段論法, enthymeme
    극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 종종 명제 중의 하나를 의도적으로 생략한다. 이러한 용법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가르침보다는 설득에 쓰이는 수사학적 삼단논법에 적용한 원래의 용법(〈분석론전서 Prior Analytics〉)과는 다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수사학적 삼단논법은 '개연성 또는 기호' 즉, 일반적으로 타당한 명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이란?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론적 기초를 세운 삼단논법은 논리학에서 최초의 형식적인 연역 규칙의 언어 형식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들 표준 형식에 따라 어떤 논리적인 논증도 설명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2개의 전제, 즉 대전제(“모든 다람쥐는 견과류를 먹는다”)와 소전제(“프레드는 다람쥐다”)의 논리 규칙에...
  • 아리스토텔레스의 원전
    뒷받침하는 논증) 등이 있다. 〈분석론 전서〉의 가장 큰 업적은 오늘날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론이라고 알려진 논리학 체계를 발달시킨 점이다. 삼단논법이란 세 명제(두 전제와 한 결론)로 구성된 논증형식이며, 타당한 삼단논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모든 그리스인은 사람이다·모든 사람은 죽는다·모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고대의 논리학
    이론(換位理論), 셋째, 타당한 삼단논법 형식에 대한 이론을 포함한다. 아리스토텔레스 삼단논법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리학 역사상 처음으로 변항, 즉 명사표현을 대신하는 문자를 이용함으로써 삼단논법을 추론도식이 아니라 논리학의 직접적 원리로 만들었다. 둘째, 대당관계이론과 환위이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연역과 귀납이란 무엇이며, 수학에서는 어떻게 사용될까?
    논리학에서 연역(deduction)은 전제와 삼단논법에서 새로운 명제를 결론으로 이끌어내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연역은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참이 되는 추리 또는 추론의 한 형식으로 일반적인 원리, 특히 도출된 여러 가지 사실과 관계들을 바탕으로 한다. 연역적 논리는 공리계에서 참인 명제(정리)를 증명하는 과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벤 다이어그램
대당 사각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