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창룡 金昌龍대거 색출 · 처벌케 함으로써 소령으로 특진했다.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도 이때 체포되었다. 1949년 6월 육군정보국 방첩 대장이 된 직후 벌어진 '김구 암살사건'에서 사건 당일 범인 안두희(安)를 특무대 영창으로 이감, 특별 배려하면서 배후 은폐에 가담했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한 직후 경남지구 방첩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의열투쟁의 선봉에 섰던 청년 지사들, 이종암 ・ 엄순봉 ・ 이강훈 李鐘巖 ・ 嚴舜奉 ・ 李康勳정치까지 은밀히 정탐한다는 소문이 나 있었다. 이에 김구 ・ 안공근(安恭根) ・ 정화암 3자가 대좌하여 옥관빈 제거에 합의하고 남한청맹에 실행을 맡기면서...을 행하고 후문으로 나오는 옥관빈을 권총으로 사살하였다. 1935년 봄에 벌어진 이용로(李容魯) 암살 사건도 악성 친일 분자 처단 활동의 일환이었다. 이용로...
- 출생 :
- 이종암 1896년엄순봉 1906년이강훈 1903년
- 사망 :
- 이종암 1930년엄순봉 1938년이강훈 2003년
- 포상훈격 :
- 이종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엄순봉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강훈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자주독립의 역량을 결집하다임시정부가 다시 국내외의 지지를 되찾기 시작한 것은 한인애국단의 의열 투쟁을 통해서였다. 한인애국단은 1931년 9월 일제의 만주 침공을 계기로 김구가 요인 암살을 위해 결성한 것으로, 1932년 의거를 일으킨 이봉창(李奉昌)과 윤봉길(尹奉吉) 모두 애국단 소속이었다. 일제는 의거 후 임시정부 요인에 대한 체포...
- 시대 :
- 1919년
-
이봉창 · 윤봉길 의거 일제를 정면으로 겨냥한 의열 투쟁1935년 김구, 한국국민당을 조직해 임시정부를 재정비하다. 설명 이봉창(李奉昌)은 1900년 8월 10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는 용산 문창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인이 경영하는 과자점 종업원을 거쳐 19세에 남만철도회사 용산정차장 고용원으로 일했다. 그 후 일본에서 6~7년 동안 노동 등 막일을 하기도 했다. 이봉창의...
- 시대 :
- 1932년
-
안악사건 安岳事件총독 암살을 위한 군자금으로 날조, 관련 인사들을 일제히 검거하였다. 이들 중에도 특히 김홍량(金鴻亮)·김구(金九)·최명식(崔明植)·이승길(李承吉)·도인권(都寅權)·김용제(金庸濟) 등은 주로 안악의 양산학교(楊山學校)와 면학회(勉學會)를 중심으로 애국적 문화운동에 종사하였던 명사들이었다. 일본경찰의 갖은...
- 시대 :
- 근대
- 발생 :
- 1910년 11월
- 성격 :
- 독립운동탄압
- 유형 :
- 사건
- 종결 :
- 1911년 8월(재판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안명근, 김구, 배경진, 박만준, 한순직
- 관련 장소 :
- 황해도 신천
-
-
국권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의 헌신, 안태국 신민회 주역으로 활약하다총감 김구, 강원도 총감 주진수와 이동녕, 김도희 등이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 각도 대표들은 자기 지구에 돌아가 서간도에 세울 독립군 기지 건설의 이주민 모집사업을 시작함과 동시에 그 군자금으로 평남 ・ 평북 ・ 황해는 각 15만원, 강원은 10만원, 경기와 충청 ・ 경상 ・ 전라는 20만원의 군자금을 15일 이내...
- 출생 :
- 1877년, 평양
- 사망 :
- 1920년 4월 11일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
간첩 間諜대북 공작과 테러는 물론 남한 지역의 테러와도 연관되었다. 즉 1946년 김일성(金日成), 강양욱(康良煜), 김책(金策) 암살 미수사건을 비롯해 1947년 여운형, 장덕수 암살과 1949년 김구 암살에도 깊숙하게 개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또한 정부수립 전에 성시백을 통한 정치공작 활동을 전개했는가 하면 1948년 초...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이승만 대한민국 제1·2·3대 대통령, 李承晩총독을 암살하려 했다는 혐의로 신민회 회원 105명을 검거하는 '105인 사건'이 벌어졌다. 이때 체포 대상에 올랐던 이승만은 미국 선교사들의 주선으로 1912년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기독교 감리회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한다는 명목으로 출국해 위기를 모면했다. 1913년 3월 옥중 동지이자 의형제를 맺은 박용만의...
- 출생 :
- 1875, 황해 평산
- 사망 :
- 1965. 7. 19, 미국 하와이
- 국적 :
- 한국
- 직업 :
- 정치인, 대한민국 제1·2·3대 대통령
- 호 :
- 우남(雩南)
-
광복을 눈앞에 두고 옥중 순국한 한인애국단원, 유상근 柳相根간에도 종종 충돌이 생기던 때라 나는 정부 국무회의에서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암살파괴 등 공작을 실행하되 여하 금전 여하 인물을 사용하든지 전권 판리(辦理)하되 성공 실패의 결과는 보고하라는 특권을 득하여 만보산사건과 9 ・ 18사변 등으로 악화된 한중 양 민족간의 감정을 풀고 항일독립운동의 새로운 활로를...
- 출생 :
- 미상
- 사망 :
- 1945. 8. 14. 강원 통천
- 수상 :
- 독립장 1968
-
청년시기 순국한 독립운동가들, 송몽규 ・ 안창남 ・ 김필순 宋夢奎 ・ 安昌男 ・ 金弼淳훈련소는 김구 선생이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에 입학시킬 청년들을 수용하기 위해 설립한 것이었다. 학생훈련소는 일제의 압력과 독립운동 진영의 내부적인 혼란으로 학생들의 군관학교 입학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1935년 10월 해산되었다. 송몽규는 독립운동을 계속 이어 가기 위해 제남의 이웅에게로 갔다. 하지만 독립...
- 출생 :
- 송몽규 1917년 9월 28일, 중국 용정안창남 1901년 1월 29일, 서울김필순 1878년 6월 25일, 황해도 장연
- 사망 :
- 송몽규 1945년안창남 1930년김필순 1919년
- 포상훈격 :
- 송몽규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안창남 2001년 건국훈장 애국장김필순 1997년 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