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어학회사건 朝鮮語學會事件
    相)·서민호(徐珉濠)·정태진 등 24명은 기소, 신윤국(申允局)·김종철(金鍾哲)·이석린(李錫麟)·권승욱(權承昱)·서승효(徐承孝)·윤병호(尹炳浩) 등 6명은 기소유예, 안재홍(安在鴻)은 불기소, 권덕규(權悳奎)·안호상(安浩相)은 기소중지하자는 의견서를 담당검사에게 제출하였다. 검사에 의해 이극로·이윤재...
    시대 :
    근대
    발생 :
    1942년 10월
    성격 :
    독립운동탄압사건, 조작공안사건
    유형 :
    사건
    종결 :
    1945년 1월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조선어학회, 장지연, 최현배, 이희승, 이극로
    관련 장소 :
    함흥지방재판소
  • 국가소추주의
    고등검찰청 검사에 의하여 항고가 기각되었을 때 비로소 형사소송법에 의하여 대검찰청에 재항고를 하거나 고등법원에 재정신청을 할 수 있지만(예외적으로 기소유예 처분은 헌법재판소에 불기소처분 취소를 구하는 헌법소원 청구 가능) 대통령이 임명하는 검사의 판단을 대통령이 임명한 대법원장이 임명하는 판사라는...
    도서 위키백과
  • 수양동우회사건 修養同友會事件
    선천지회 관계자 93명, 안악지회 관계자 33명 등 모두 181명이 치안유지법위반으로 송치되었다. 그해 8월에는 49명이 정식으로 기소되었고 57명이 기소유예, 75명이 기소중지처분을 받았다. 기소된 49명 중 42명이 재판에 회부되었으나 안창호가 1938년 3월에 사망하여 실제 재판에는 41명이 회부되었다. 이들은 1939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조선어학회사건 朝鮮語學會事件
    뒤, 1943년 4월 1일까지 모두 33명이 검거되어 고문을 당했다. 사건을 취조한 홍원경찰서에서는 33명 모두 '치안유지법'의 내란죄로 기소했다. 이들 중 16명은 기소, 12명은 기소유예되었으며 기소자는 예심에 회부되고 나머지는 석방되었다. 함흥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이윤재가 1943년 12월 8일에, 1944년 2월 22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공소권 公訴權
    검사에게 독점되어 있는 결과 공소권의 적정한 행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검사가 충분한 혐의없이 공소를 제기하거나, 기소유예를 해야 할 상당한 정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소를 제기하거나, 공소제기 전의 수사절차에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공소권의 남용이라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형법
  • 갱생보호제도 更生保護制度
    내용 교도소·소년원 등 교정시설(矯正施設)의 출소자 및 형의 집행유예·선고유예 또는 기소유예 등으로 구금상태에서 풀려 나온 모든 출소자의 자활·갱생을 위한 보호제도이다. 좁은 의미로는 교도소·소년원 등 시설에서 일정기간 교정을 받고 출소한 자에 대한 사후지도적 성격을 갖는다. 종래는 ‘사법보호...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사회, 행정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서정주 미당, 徐廷柱
    어린시절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다가 부안 줄포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29년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30년 광주학생운동과 관련하여 구속되었다가 기소유예로 석방, 이로 인해 퇴학당했다. 1931년 고창고등보통학교에 편입했으나 곧 자퇴하고 박한영의 도움을 받아 대한불교전문강원에 입학하여 불교와 관련을...
    출생 :
    1915. 5. 18, 전북 고창
    사망 :
    2000. 12. 24,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집행유예 Suspended sentence, 執行猶予
    28.4%, 광주지법 28.1%, 수원지법 27.8%, 대구지법 27.7% 울산지법 26.7% 등의 집행유예율을 나타났다. 2013년부터 2016년 6월까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은 인원이 총 352명인데 이중에서 184명이 집행유예를 선고받아 집행유예율은 52.2%에 이르고 특히 광주고등법원 관할 지방법원은 실형을 선고...
    도서 위키백과
  • 수양동우회 修養同友會
    11월에 평양 · 선천지회 관계자 93명, 이듬해인 1938년 3월 안악지회 관계자 33명 등 모두 181명이 붙잡혔다. 이 가운데 49명이 기소, 57명이 기소유예, 75명이 기소중지처분을 받았고, 기소된 49명 중에서 1938년 3월 사망한 안창호를 제외한 41명이 재판에 회부되었다. 이들에 대한 예심이 1938년 8월에 끝나고...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이인정 ・ 한운석 ・ 송재만 민 ・ 관이 하나되어 저항한 만세운동
    23일 16명, 24일 28명, 25일 14명, 26일 4명으로 5일간에 72명이 태 90의 태형을 당했다. 또한 공주지방법원 검사국에서 5월 13일 면소 2명, 5월 21일 기소 유예 19명, 증거 불충분 18명, 불기소 1명, 6월 5일 불기소 1명, 6월 17일 기소 중지 1명, 증거 불충분 2명, 6월 30일 기소 중지 28명, 9월 8일 면소 2명이 처분...
    출생 :
    이인정 1859년한운석 1884년송재만 1891년
    사망 :
    이인정 1934년한운석 1950년송재만 1951년
    포상훈격 :
    이인정 1983년 대통령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한운석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송재만 1977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형사고소, 고소인이 알아야 할 몇 가지 진실 홧김에 했다가 큰코다친다
    말이다. 이 단계에서 비교적 가벼운 사건은 법정에 출석하지 않고 서류재판을 하는 약식기소를 할 수도 있고, 그보다 경미한 사건은 기소유예처분을 내리기도 한다. 법원은 검사가 기소한 내용(공소사실)과 증거를 토대로 피고인이 죄가 있는지를 가린다. 판사는 판결을 통해 유죄 피고인에겐 죄에 따른 형을 결정한다...
  • 체벌의 허용 범위와 기준 '사랑의 매'가 통하던 시절은 지났다
    요구로 자퇴 처리됐는데 나군의 어머니는 엄 교사를 고소하기에 이르렀다. 검찰은 수사 결과 엄 교사가 뺨을 때린 것은 폭행에 해당하나 정상을 참작해 기소유예 처분을 했다. 엄 교사는 2005년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자신의 체벌 행위가 징계권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정당행위로서 죄가 되지 않는데도 검찰이 혐의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기소유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