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송범 宋范
    추었고, 피난시절 부산과 대구에서 한국무용단 이름으로 다수 공연했다. 서울 환도 후 1953년 첫 발표회를 했고, 1955년 코리아발레단을 결성했다. 1962년국립무용단 창립시 부단장을 맡았고, 1968년 멕시코올림픽, 1972년 뮌헨올림픽에 파견된 한국민속예술단에서 안무를 했다. 이 시기에 자기 춤의 중심을 한국무용...
    시대 :
    현대
    출생 :
    1926년
    사망 :
    2007년
    경력 :
    한국무용협회 이사장, 국립무용단장, 중앙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유형 :
    인물
    직업 :
    무용가
    대표작 :
    불의 희생, 사사의 춤, 무용극 멍든 산하, 은하수, 왕자 호동, 꿈·꿈·꿈, 도미부인
    성별 :
    분야 :
    예술·체육/무용
  • 국립중앙극장 National Theater of Korea, 韓国国立劇場
    1952년 12월 15일: 한국 전쟁 중 대구문화극장(현 한일극장)으로 이전. 1957년 6월 1일: 서울로 이전(구 명동예술극장). 1962년 1월 15일: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오페라단 창단. 1964년 9월 21일: 중앙국립극장으로 개편. 1969년 3월 8일: KBS로부터 교향악단 인수(국립교향악단으로 개칭). 1973년 5월 1일: 국립...
    도서 위키백과
  • 국립현대미술관 國立現代美術館
    도록』 · 『국립현대미술관소장품도록』(1986년) 등을 간행하였다. 그리고 미술관의 학예연구직이 중심 필진이 되어 미술관학과 현대미술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전문 학술지인 『현대미술관연구』(1989년부터 연간) · 미술관이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간행물로서는 미술관의 각종 전시행사, 교육문화 사업 그리고...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국립남도국악원 國立南道國樂院, Jindo National Gugak Center
    조직되어있다. 국악연주단은 기악단ㆍ성악단ㆍ무용단 3개 부문으로 구성되어있고, 예술감독은 심상남이다. 주요시설로는 600여석 규모의 국악전용극장 ‘진악당...지상 3층 규모의 ‘국악연수관’을 통해 국악교육을 위한 완벽한 제반시설을 확보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국립남도국악원은 국립국악원(서울)과 국립민속...
    시대 :
    현대
    위치 :
    전라남도 진도군 임화면 진도대로 3818 (상만리 373)
    설립 :
    2004년 7월 7일
    성격 :
    관청, 국립예술기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문화관광부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국립창극단
    1999.12) 8대 최종민 (2000.01-2001.12) 9대 정회천 (2002.01-2003.12) 10대 안숙선 (2004.01-2005.12) 11,12대 유영대 (2006.01-2011.12) 13,14대 김성녀 (2012.01-2019.03) 15대 유수정 (2019.04-2022.03) 16대 유은선 (2023.04- ) 국립극장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무용단 국립극장 국립창극단 공식 홈페이지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국립국악원
    음악기관이 해체된 후 구왕궁아악부로 존속하다가 1951년 이후 국립국악원으로 이어졌다. 국립국악원의 직제는 1950년에 공표되었으나, 전쟁으로 인하여 1951년...관리과·장악과·국악진흥과·무대과를 두고, 정악단·민속악단·무용단·창작악단 등 네 개의 연주단을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 http://www.gugak.go.kr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설립자 :
    문화관광부 장관
  • 무용극 舞踊劇, a dance drama
    등장인물의 묘사가 설명적인 점이 공통적이다. 그리고 서양의 고전 발레처럼 대작 지향의 장막 무용극인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는 국립무용단·국립발레단·서울시립무용단등 관립무용단이 재정적으로 안정되고 극장 설비와 많은 무용수를 확보한 여건도 작용했다. 대부분의 한국 무용극은 구체적인 현실세계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진수방 陳壽芳
    활동했다. 1956년에는 한국무용가협회장이 되었고, 1959년에는 한국무용협회를 새로 발족하여 회장을 역임했다. 국립발레단의 창설을 역설하여 1962년 국립무용단이 설립되었지만 내부적 갈등으로 무용단 임원직을 사퇴했다. 1963년 3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제세버 발레스쿨’ 원장의 초청으로 발레 공부를 계속하기...
    시대 :
    현대
    출생 :
    1921년
    사망 :
    1995년
    경력 :
    한국무용가협회장, 한국무용협회장
    유형 :
    인물
    직업 :
    무용가
    대표작 :
    「물긷는 아가씨」(1947년 초연), 「그랜드코리안발레」(1961년 초연, 지영희·조병학 편곡)
    성별 :
    분야 :
    예술·체육/무용
  • 모이세예프 Igor Aleksandrovich Moiseyev
    러시아의 안무가. 소련 국립 아카데미 민속무용단(흔히 모이세예프 무용단이라고 함)의 설립자이며 소련의 수많은 민속무용들을 무대공연용으로 재구성했다. 모스크바 볼쇼이 발레 학교에서 무용 수업을 하고 1924년 졸업한 뒤 볼쇼이 극장의 대표적인 무용수이자 안무가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1936년 당시 새로 건립된...
    출생 :
    1906. 1. 21, 우크라이나 키예프
    사망 :
    2007. 11. 2, 러시아 모스크바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국립국악관현악단 National Orchestra Company of Korea
    콘서트-베트남 하노이 책임PD 기획홍보 총무 악기계 악보계 피리(수석1, 부수석1, 단원6) 대금(수석1, 부수석1, 단원6) 해금(수석1, 부수석1, 단원 아쟁(수석1, 부수석1, 단원8) 타악(수석1, 부수석1, 단원2)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합창단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극장 국립국악관현악단 소개 웹페이지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음악제 大韓民國音樂祭
    기념음악제'가 성공한 것에서 창안하여 실시하게 되었다. 제1회 음악제는 1976년 9월 8~20일 문화공보부 주최 한국음악협회 주관으로 국립극장에서 개최되었는데 국립국악원과 국립무용단의 아악과 민속무용을 비롯해서 서울시립교향악단·국립교향악단·국립합창단 등이 협연하고 이경숙·정찬우 등이 독주회를 가졌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화관무 花冠舞
    圓覺寺) 공연에서는 ‘한삼(汗衫)에의 회정(懷情)’으로, 1970년 5월의 오사카 엑스포70 공연에서는 ‘수연(壽宴)’ 등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이 밖에 국립국악원무용단공연을 위하여 김천흥(金千興)이, 국립무용단 · 한국민속예술단해외공연을 위하여 송범(宋范)이 각각 안무, 발표한 바 있다. 반주로 쓰이는 음악은...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국립무용단 / 도미부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