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무용극

다른 표기 언어 a dance drama , 舞踊劇

요약 극적 구성과 연출방식을 취한 춤 양식.

무용극의 전형은 발레에서 찾을 수 있으며, 한국에서도 무용극은 발레에서 많은 착상을 얻었다. 무용극의 요소는 극적 줄거리, 등장인물, 배역진, 연출진, 보조장치 등인데 이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것은 극적 줄거리이다.

극적 줄거리를 기준으로 무용극의 영역을 설정할 경우, 극장춤의 일부뿐만 아니라 가면극이나 심지어 팬터마임도 무용극에 속할 수 있다. 이는 무용극을 몸의 움직임으로 전개되는 극적 양식으로 해석함으로써 춤의 최소단위인 몸 움직임을 춤으로 여겨 몸 움직임이 대사를 대신하는 극적 활동을 모두 무용극에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무용극은 몸 움직임을 능가하는 춤에 플롯·등장인물·보조장치가 덧붙여진 무대예술 양식을 의미한다.

한국에서 무용극은 서양의 근대 무대춤 양식이 들어온 뒤 성립된 개념으로, 양식적 바탕의 형성에 서양 고전 발레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한국춤). 한국에서 공연되는 무용극은 서양 고전 발레를 그대로 받아들인 작품, 서양 고전 발레 양식의 기법을 응용하여 한국적 소재·정서·기법을 곁들인 작품, 한국형의 무용극 창작단체에서 한국고전무용 양식을 바탕으로 하되 서양 고전 발레의 연출방식을 덧붙여 만든 작품으로 대별된다. 이밖에 현대무용 양식을 응용한 무용극도 있다.

무용극에 수반되는 요소들 가운데 춤은 무대춤을 의미하고 보조장치는 주로 실내의 극장설비와 효과를 뜻하므로, 한국의 무용극은 실내 무대춤이 보편화된 신무용시대 이후 등장한 춤 양식이다. 그런데 무용극 양식의 자유로운 창작을 위해 극장설비는 필수적 선행요건이므로 한국에서 예술양식으로서의 무용극은 춤 전용 극장설비가 갖춰지는 1970년대부터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신무용시대 이후의 무용시와 무용조곡은 무용극의 선행단계에 해당한다.

한국의 무용극은 양식적으로 막과 장(場)의 구분이 명확하고 주로 정면 액자무대에서 펼쳐지며 줄거리와 등장인물의 묘사가 설명적인 점이 공통적이다. 그리고 서양의 고전 발레처럼 대작 지향의 장막 무용극인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는 국립무용단·국립발레단·서울시립무용단등 관립무용단이 재정적으로 안정되고 극장 설비와 많은 무용수를 확보한 여건도 작용했다.

대부분의 한국 무용극은 구체적인 현실세계보다 낭만주의적인 환상의 세계와 설화의 세계에 몰입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무용극이 신무용시대에 출발하여 신무용을 선호하던 무용가들에 의해 이끌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의 무용극은 기승전결의 구조 내에서 줄거리와 등장인물의 신원을 지나칠 정도로 정확히 묘사하려고 했기 때문에 이러한 설명적 방식으로 인해 춤의 독자적 특성을 잃어버렸다. 또한 연극식의 연출과 춤 안무 사이에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결과를 빚었다. 일반적으로 작품 소재 면에서는 현실감이 떨어져 극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용어상으로 1970년대까지 무용극은 극장춤·무대춤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현실감있는 소재를 담은 무용극이 늘어나면서 신무용풍의 무용극은 퇴조하는 추세이다. 이는 극무용·소극장춤·민족춤·민중춤 등이 출현하여 춤 소재와 양식이 다변화되는 현상을 반영한 결과이다. → 극무용, 신무용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연극

연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무용극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