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출산 D-30 행동 지침
    어려울 것을 감안해 출산 후 한두 달 정도 쓸 수 있는 양을 준비한다. 또 집 안에 아이용품을 놓을 공간과 아이를 재울 공간을 미리 마련해둔다. 육아 공부를 해둔다 임신 마지막 달에는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하지만 태어날 아이를 생각하며 앞으로 어떻게 키울지 미리 공부하다 보면 심리적 부담이 훨씬...
  • 김기형 해악, 金基瀅
    호는 해악(海岳). 이명은 현구(鉉九·玄九·玄狗). 고향에서 한학을 공부하다 1914년 가족을 이끌고 동삼성으로 이주하였다. 동삼성에서 이동녕(李東寧)·이시영·김창환(金昌煥)·이천민(李天民)·임의탁(林義鐸) 등과 독립운동 및 문화사업에 힘썼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온 뒤 문신소학교(文新小學校)를 설립하고 육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박낙종 朴洛鍾
    생애 및 활동사항 경상남도 사천 출신. 한학을 수학한 후 서울 중동학교에서 2년간 공부하다 1922년 일본으로 유학갔다. 동경(東京)에 있는 세이소쿠[正則]영어학교에서 2년간 수학한 뒤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전문부 정치경제과에 입학, 1926년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중 구월회(九月會)를 조직하고, 북성회(北星會)와...
    시대 :
    근대
    출생 :
    1899년(고종 36)
    사망 :
    1950년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김진호 金鎭浩
    고향에서 한학을 공부하다 1899년(광무 3) 서울로 올라와, 당시 세도가로 이름을 떨친 안국동 이용태(李容泰)의 문객으로 있으면서 말죽거리와 남대문 밖에서 훈장도 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에 이어 군대가 해산되고 고종의 양위 등으로 국운이 쇠잔해가던 무렵, 상동교회 목사 전덕기(全德基)의 설교에 감동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변수 한명(漢明), 邊燧
    강위가 김옥균(金玉均)과 절친한 사이여서, 김옥균이 1882년 일본을 시찰할 때 수행하였다. 이 때 일본 경도(京都)에서 양잠술과 화학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다 그 해 7월 임오군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귀국하였다. 군란이 진압되고 제물포조약이 체결되자 수신사절인 박영효(朴泳孝)의 수행원으로 김옥균...
    시대 :
    근대
    출생 :
    1861년(철종 12)
    사망 :
    1891년(고종 28)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원주(原州)
  • 김정련 진혼, 金正連
    본관은 안산, 호는 진혼(震魂). 고향에 있는 오암서원(梧岩書院)에서 7년 동안 한학을 공부하다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숭실전문학교에 들어갔다. 숭실전문학교에 재학 중 김화촌(金花村)과 함께 평남 대동군에서 항일 독립사상을 고취하는 연설을 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고, 3학년 때는 상하이[上海]에 거주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이재수 李在秀
    본관은 경주. 호는 상산(常山). 봉섭(鳳燮)의 넷째 아들이다. 어려서 한문을 공부하다 진천보통학교를 거쳐 1933년에 청주고등보통학교, 1938년에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한국 고전문학 전공)를 졸업했다. 그뒤 1945년 8·15해방이 될 때까지 황해도 재령 명신중학교(明信中學校)와 배재중학교(培材中學校) 교유를...
    출생 :
    1912. 7. 11, 충북 진천
    사망 :
    1974. 12. 25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유만겸 兪萬兼
    졸업했다. 유학 중 일본의 대륙침략 논리였던 아시아주의를 찬동하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문명화라고 주장했다. 도쿄제국대학 대학원에 진학해 경제학을 공부하다 1918년 귀국했고, 그 해 4월부터 조선총독부 속(屬)으로 농상공부 농무과에서 근무했다. 1920년 경상북도 문경군수, 1921년 경상북도 내무부 서무과장...
    시대 :
    근대
    출생 :
    1889년 7월 13일
    사망 :
    1944년 12월 13일
    경력 :
    군수, 이사관, 참여관, 사무관, 도지사,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 조선유도연합회 부회장, 경학원 부제학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한일강제병합
    직업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기계(杞溪)
  • 장도 張燾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서울 출신. 무관 장후근(張厚根)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집에서 한학(漢學)을 공부하다 1895년(고종 32) 3월 정부에서 파견하는 관비유학생으로 일본에 건너갔다. 동경에서 게이오의숙[慶應義塾]에 입학, 1년 3개월간 보통과(普通科)에서 수학하다 이듬해 7월 졸업하였다. 이어서 9월에...
    시대 :
    근대
    출생 :
    1876년(고종 13)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법조인, 법학자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덕수(德水)
  • 서암 홍근(鴻根), 西庵
    1948년까지 서암은 금오 화상과의 인연으로 지리산 칠불암, 광양 상백운암, 보길도 남은암, 계룡산 사자암 등지에서 정진하였다. 특히 칠불암에서는 공부하다 죽을 각오로 수행에 임하였다고 하는 일화가 남아 있다. 서암은 6 · 25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부터는 비어 있던 문경 원적사(圓寂寺)로 가서 수행을 하였다...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사동 使動, causative
    시키다’ 사동형은 이른바 ‘-하다’라는 파생접미사가 붙은 동사에만 적용되는데, 그 ‘-하다’를 ‘-시키다’로 대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를테면 ‘공부하다공부시키다’, ‘선동하다→선동시키다’ 따위이다. 넓은 의미에서 ‘-시키다’ 사동형은 접미사 사동형에 포함된다. ‘시키다’가 단독으로 서술어로 쓰이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장 클로드 드 루카 Jean Claude de Luca
    프랑스 파리 출생으로 스위스와 이탈리아에서 법률을 공부하다 밀라노의 니트 메이커의 스타일리스트로 일하였다. 파리의 지방시에서 디자이너로서의 기본적인 기술을 익힌 후 1972년 도로시 비스로 옮겨 프리랜서로 일했고, 1976년 자신의 컬렉션을 이탈리아에서 가졌다. 보디 콘셔스 라인을 추구하면서도 화려하고...
    출생 :
    1947년
    국적 :
    프랑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