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12. 7. 11, 충북 진천 |
---|---|
사망 | 1974. 12. 25 |
국적 | 한국 |
요약
이재수는 고전문학, 특히 고대소설과 가사 및 시조 연구에 주력했다.
1938년에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를 졸업했다. 1950년 4월 지금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인 대구사범대학 교수로 취임하여 1974년 12월까지 25년간 재직했다. 약 40여 년 동안 고전문학 연구에 주력했다. 첫 번째 저서 <윤고산 연구>(1956)를 간행한 이후 <한국소설발달단계에 있어서 중국 소설의 영향>, <면앙정 송순─그의 문학시고>. <박혁거세전설논고> 등의 중요 논문을 발표했다. 2번째 저서 <한국소설연구>(1969)는 한국 소설의 비교문학적 고찰로 근 20년간에 걸쳐 심혈을 기울인 역저이다. 유고집으로는 〈내방가사 연구〉가 있다.
본관은 경주. 호는 상산(常山). 봉섭(鳳燮)의 넷째 아들이다.
어려서 한문을 공부하다 진천보통학교를 거쳐 1933년에 청주고등보통학교, 1938년에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한국 고전문학 전공)를 졸업했다. 그뒤 1945년 8·15해방이 될 때까지 황해도 재령 명신중학교(明信中學校)와 배재중학교(培材中學校) 교유를 지냈으며, 1946년 국학대학 교수, 다음해 연희대학교 조교수로 취임했으나 9월에 사임했다. 숙명여자대학과 중앙대학 강사를 거쳐 1948년 대구대학(지금의 영남대학교)에 2년간 재직하다가 1950년 4월 대구사범대학(지금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수로 취임한 이래 1974년 12월까지 25년간 재직했다.
1961년부터 10여 년 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장 겸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장으로 재직했으며, 1962년 경북문화상을 수상했고, 1965년 경북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약 40여 년 동안 고전문학, 특히 고대소설과 가사·시조 등의 연구에 주력했다.
첫번째 저서 〈윤고산 연구 尹孤山硏究〉(1956)를 간행한 이후 〈한국소설발달단계에 있어서 중국 소설의 영향〉(경북대학교논문집 1집, 1956. 10)·〈면앙정 송순(晩仰亭宋純)─그의 문학시고(文學試考)〉(사상계, 1959. 8)·〈박혁거세전설논고 朴赫居世傳說論攷〉(고집간박사영수기념논, 1960. 1. 7) 등의 중요 논문을 발표했다. 2번째 저서 〈한국소설연구〉(宜明文化史, 1969)는 한국 소설의 비교문학적(比較文學的) 고찰로 근 20년간에 걸쳐 심혈을 기울인 역저이다. 유고집으로는 〈내방가사 연구〉가 있으며 1976년 제자들에 의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냉천성결교회 묘지에 묘비가 세워졌으며, 비명은 서수생이 짓고 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