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진호

다른 표기 언어 金鎭浩

요약 목사·독립운동가.

고향에서 한학을 공부하다 1899년(광무 3) 서울로 올라와, 당시 세도가로 이름을 떨친 안국동 이용태(李容泰)의 문객으로 있으면서 말죽거리와 남대문 밖에서 훈장도 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에 이어 군대가 해산되고 고종의 양위 등으로 국운이 쇠잔해가던 무렵, 상동교회 목사 전덕기(全德基)의 설교에 감동하여 기독교에 입문했다. 1907년 신민회(新民會)가 조직되자, 전덕기의 지도로 즉시 가입하여 김구(金九)·양기탁(梁起鐸) 등과 함께 항일운동을 벌이는 한편, 상동교회에서 개설·운영하는 청년학원·공옥학교(攻玉學校) 등에서 성경·한문·역사 등을 가르쳤다.

1911년 상동교회 전도사로서 담임목사를 도우며 민족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했고, 이듬해 피어선성경학교(현 평택대학교)에 입학, 성경과 신학 등을 공부하였다.

1913년 감리교연회에서 정식으로 전도사 임명을 받고, 상동교회에서 병중에 있던 전덕기를 돕다가 1914년 협성신학교(協成神學校)에 입학했다. 그 해 3월 전덕기의 순직으로 상동청년학원이 문을 닫자 당시 황성기독교청년회연맹 총무였던 신흥우의 주선으로 황성기독교청년회연맹에서 한문과 역사를 가르쳤다. 1915년 신흥우가 배재학교 교장으로 부임하자 1916년부터 배재학교에 근무하며 성경과 한문 등을 가르치면서, 정동교회 전도사로서 배재학교 학생들로 전도대(傳道隊)를 조직하여 전국 순회 전도를 하면서 민족계몽 사업에 힘썼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감리교 출신 민족대표 및 목사 손정도(孫貞道)·이필주(李弼柱)·현순 들과 함께 참여하여 학생들을 동원하여 만세시위에 앞장서는 한편, 인쇄된 독립선언서를 서울시내 외국 영사관에 전달하는 일을 맡아서 수행했다. 이 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서울 서대문형무소에 구금되었고, 8개월의 실형을 언도 받고 복역 중 심한 고문으로 신장병을 얻어 9월에 병보석으로 석방되었다.

1920년 인천 내리교회에 부임, 목회활동을 하다가 그 해 10월 집사목사 안수를 받았다. 1921년 다시 배재교목으로 부임하여 1935년 은퇴할 때까지 학생들에게 신앙과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1940년 함경북도에서 교회간 분쟁이 일어나자 감독의 특별파송으로 청진·어항·경성·주을·생기령 등의 교회를 맡아서 목회했다. 8·15해방 후 공산당의 압박을 피해 1947년 6월 서울로 내려왔다. 한때 분쟁 중인 강릉 지역에 파송되어 이를 수습했고, 그 뒤 서울 궁정동교회 목사로 시무하다 1951년 부산 피난지에서 노령으로 은퇴한 뒤 1960년 9월에 죽었다. 장례는 배재고등학교장으로 거행되었다. 1998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진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