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선진유학 先秦儒學
    가 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확정되고, 공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의 학통이 정통으로 규정된 것은 이 시기이다. 한국에는 삼국시대에 유학이 전래되었으며, 고려시대에도 유용한 통치수단으로 이용되었다. 한편 고려말에 수용된 송대 성리학이 조선시대에는 다른 사상을 용납하지 않는 절대적 사상체계로 자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국가 정통 이념으로 자리 잡은 성리학, 신유학 정립
    10세부터 유학 경전을 읽었으며, 19세에 진사에 급제하였다. 22세에 이부(吏部) 임관시험에 합격하여 동안현 주부(문서처리담당직)로 임명되었으며, 동안현의 학교 행정도 담당했다. 이후 71세로 생을 마칠 때까지 대부분 실권 없는 관직에서 50여 년간 후진들의 교육에 힘썼으며,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 악록서원...
    시대 :
    1162년
  • 유교문화와 교육제도
    설치해 서적 간행을 활성시켰으며, 궁중에는 도서관 겸 학문연구소를 두었다. 지방에서는 향교가 지방 관리와 서민 자제 교육을 담당했다. 이처럼 고려의 유학이 나날이 발전하자 송나라에서는 자국에 없는 서적을 요청하기도 했다. 12세기 문인 진화는 “송은 이미 쇠퇴하고, 북방 오랑캐는 아직 미개하니 앉아서...
    시대 :
    918년~1392년
  • 최승로 고려 초기의 문신
    유교적 정치이념을 체계화하여 개혁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성종대의 새로운 국가체제 정비에 크게 기여했다(→ 고려의 유학). 아버지는 신라 6두품인 은함(殷含)이다. 신라말 경주에서 태어나 935년(태조 18) 경순왕이 고려에 투항할 때 아버지를 따라 고려에 왔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했으며 글을 잘 지었다. 12세 때...
    출생 :
    927(태조 10)
    사망 :
    989(성종 8)
    국적 :
    고려, 한국
    본관 :
    경주(慶州)
    시호 :
    문정(文貞)
  • 철학 哲學, philosophy
    한다. 또한 예종(睿宗)이 궁중에서 한안인(韓安仁)에게 『도덕경』을 강론하게 했다는 것으로 보아, 사상적 연구는 지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3.2.3. 고려의 유학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주도적 지위를 유지했지만, 정치제도나 정치원리에서의 유교의 영향력도 상당히 컸다. 고려 초의 유학자 최승로(崔承老)는 상소문...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고려 高麗
    복고했지만, 원의 간섭을 받아 자주성이 크게 제약당했다. 공민왕 이후 개혁세력과 보수세력 간에 갈등이 심해졌고 마침내 멸망했다. 고려는 불교를 통해 사상적인 지배를 이루었고, 유학으로 중앙집권적 체제를 실현했다. 성리학과 풍수도참사상도 널리 퍼졌고, 인쇄술의 발달로 대장경 등을 간행했으며, 의학도 발전...
  • 유학경위 儒學經緯
    내용 1책. 활자본. 1896년에 학부도서(學部圖書)에서 출간하였다. 권두에 이경직(李庚稙)과 김택영(金澤榮)의 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그리고 양의사상팔괘도(兩儀四象八卦圖)를 수록한 이기론(理氣論)과 천지형체론·인도론·학술·우주술찬(宇宙述贊)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대 :
    근대
    저작자 :
    신기선
    창작/발표시기 :
    1896년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학부도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 고려의 문화
    하였다. 주자학은 충렬왕 때 안향(安珦)이 최초로 받아들였고, 충렬왕의 유학 장려로 점차 발전하였다. 인생과 우주의 근원을 형이상학(形而上學)적으로 해명...유학하여 이를 배워 왔으며, 그의 제자 이제현이 그 뒤를 이었다. 고려 말기에는 이숭인(李崇仁)·이색·정몽주·길재 등과 정도전·권근 등이 배출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고려의 정치
    도입되었고 중앙 정부 기구 및 지방 행정 구역을 중국의 것을 참조하여 3성 6부제로 고려의 중앙 관제를 정비하였다. 관료의 육성을 위해 유학이 꾸준히 장려되었으며 이는 고려 후기 신진사대부가 형성되는 발판이 되었다. 고려는 보편 종교라 할 수 있는 불교를 국교로 하고 당시 동아시아의 보편적 사상인 유교를...
    도서 위키백과
  • 고려의 교육
    전공 강예재 - 무술 전공 여택재에서 양정재까지는 유학 전공반이었고, 강예재는 무술 전공반이었다. 즉, 이전의 기술학부가 없어지고, 무예학부가 생긴 것이다...무술 전공 과정을 국가의 최고학부에 설치한 것은 한국 역사 상 고려의 국자감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모습으로 조선의 성균관이 오로지 유학부만이...
    도서 위키백과
  • 성인의 학문 연구에 불가결한 마음가짐인 것이다. (1) 초기의 전개 우리 나라 유학에서 경이 이론적으로 논의되고, 학문과 생활에서의 실천정신으로 강조되기는...즉, 경을 학문적으로 문제삼는 성리학이 중국의 원나라에서 고려 중엽 이래로 전래되기는 하였으나, 그 당시 경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는 없었다. 조선시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유학경위 儒學經緯
    설명하고, 불교·기독교 등 이단도 비판했다. 다섯째는 우주술찬으로 중국 고대의 3황5제부터 성왕까지의 행적을 소개하며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과 인물의 청수함을 세계의 타지역과 비교하여 설명했다. 한말·개화기 유학자의 사상세계와 대응방안을 보여주는 글이다. 규장각,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