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가 정통 이념으로 자리 잡은 성리학, 신유학 정립10세부터 유학 경전을 읽었으며, 19세에 진사에 급제하였다. 22세에 이부(吏部) 임관시험에 합격하여 동안현 주부(문서처리담당직)로 임명되었으며, 동안현의 학교 행정도 담당했다. 이후 71세로 생을 마칠 때까지 대부분 실권 없는 관직에서 50여 년간 후진들의 교육에 힘썼으며,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 악록서원...
- 시대 :
- 1162년
-
유교문화와 교육제도설치해 서적 간행을 활성시켰으며, 궁중에는 도서관 겸 학문연구소를 두었다. 지방에서는 향교가 지방 관리와 서민 자제 교육을 담당했다. 이처럼 고려의 유학이 나날이 발전하자 송나라에서는 자국에 없는 서적을 요청하기도 했다. 12세기 문인 진화는 “송은 이미 쇠퇴하고, 북방 오랑캐는 아직 미개하니 앉아서...
- 시대 :
- 918년~1392년
-
철학 哲學, philosophy한다. 또한 예종(睿宗)이 궁중에서 한안인(韓安仁)에게 『도덕경』을 강론하게 했다는 것으로 보아, 사상적 연구는 지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3.2.3. 고려의 유학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주도적 지위를 유지했지만, 정치제도나 정치원리에서의 유교의 영향력도 상당히 컸다. 고려 초의 유학자 최승로(崔承老)는 상소문...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
유학경위 儒學經緯내용 1책. 활자본. 1896년에 학부도서(學部圖書)에서 출간하였다. 권두에 이경직(李庚稙)과 김택영(金澤榮)의 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그리고 양의사상팔괘도(兩儀四象八卦圖)를 수록한 이기론(理氣論)과 천지형체론·인도론·학술·우주술찬(宇宙述贊) 등이 수록되어 있다...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신기선
- 창작/발표시기 :
- 1896년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학부도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
경 敬성인의 학문 연구에 불가결한 마음가짐인 것이다. (1) 초기의 전개 우리 나라 유학에서 경이 이론적으로 논의되고, 학문과 생활에서의 실천정신으로 강조되기는...즉, 경을 학문적으로 문제삼는 성리학이 중국의 원나라에서 고려 중엽 이래로 전래되기는 하였으나, 그 당시 경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는 없었다. 조선시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