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도와 전투 Battle of Adowa
    조약 자체를 거부하면서 이탈리아의 강점에 대비해 전투 준비에 들어갔다. 이탈리아군은 전투 초반에 눈부신 승리를 거두긴 했으나 실익은 없었다. 1895년말...이탈리아의 에리트레아 총독인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장군은 1896년 2월 7일 에티오피아군을 목격했으나 이들이 아오와까지 물러가는 동안 아무런 행동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디엔비엔푸전투로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종결
    디엔비엔푸에 대한 총공세를 시작했다. 베트남군의 집요한 포위 공격으로 프랑스군은 1만 6000명의 병력 가운데 5000명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고 5월 7일 항복한다. 이 전투의 패배로 프랑스는 베트남과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철수한다. 그러나 7월 2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극동평화회의에서 베트남은 북위 17도 선을...
    시대 :
    1954년
    국가/대륙 :
    아시아
  • 홍범도 여천, 洪範圖
    들어왔다. 홍범도는 주민을 철수시키고 독립군을 매복시켰다가, 1920년 6월 7일 봉오동 분지에 들어온 일본군 1개 대대를 포위 공격하여 1백 57명을 사살하고...전사 4명, 중상 1명에 지나지 않았다. 이것이 유명한 ‘봉오동 전투’이다. 봉오동 전투에서 참패한 일본군은 대병력을 투입하여 독립군을 ‘토벌’하기 위해...
    출생 :
    1868년 8월 27일, 평남 양덕(陽德)
    사망 :
    1943년 10월 25일
    본관 :
    남양(南陽)
    주요활동 :
    1907년부터 산포수 의병부대를 조직하여 후치령전투, 갑산읍 점령 등을 비롯하여 수십 차례의 전투에서 연전연승. 1913년 독립군 활동 준비단계로 노령 연해주에서 노동회 조직, 3・1운동 직후 가장 먼저 대한독립군을 조직하여 최초의 국내 진입작전에서 승전. 1920년 6월 ‘봉오동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하고 대승. 1920년 10월 ‘청산리독립전쟁’에서 김좌진의 북로군정서 독립군과 함께 대승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독립군
  • 소사전투 素沙戰鬪
    열고, 군사 8,000명을 거느리고 남진했다. 뒤이어 파새도 증원군 2,000명을 거느리고 떠났다. 이때 일본군은 서울 부근의 전의현까지 진출했다. 7일 명군과 일본군의 전투에서 명이 우세했고, 파새가 이끌고 온 명의 원병이 합세하자 일본군은 퇴각했다. 이에 명군은 추격을 감행했으나, 제독 마귀가 너무 깊이 따라가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레판토 전투 Battle of Lepanto
    함대는 그리스의 레판토(그리스어로는 나브팍토스) 부근 파트레 만에 정박중이었다. 200척이 넘는 동맹군 함대는 9월 15일 코르푸 섬을 향해 출범해 10월 7일 4개 전대로 나뉘어 알리 파샤, 무하마드 사울라크(알렉산드리아 총독), 울루지 알리(알지에 태수)가 지휘하는 오스만 함대에 돌격했다. 약 4시간의 전투 끝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티페카누 전투란 무엇인가? 인디언 전쟁
    오늘날 인디애나의 라피엣에서 1811년 11월 7일, 해리슨 장군이 이끄는 미군은 티컴세(Tecumseh, 1768~1813)가 이끄는 쇼니(Shawnee)족 인디언과 일전을 벌였다. 이날 벌어진 전투 이전에, 쇼니족 인디언들은 자신들의 터전인 켄터키의 컴벌랜드 강에서 서부로 조금씩 쫓겨가고 있었다. 오하이오 계곡에 정착한 이들은...
  • 장진호전투 長津湖戰鬪
    되어 시작되었다. 또한 중공군 제60사단은 이미 고토리까지 남하하여 하갈우리에 이르는 보급로를 차단하고 있었다. 하지만 미 제1해병사단의 분전으로 12월 7일 고토리로 모든 병력을 집결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이어 진흥리를 통과한 미 제1해병사단은 12월 11일 함흥지역에 모두 진입함으로써 장진호전투를 마무리...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국방
  • 나일 강 전투 Battle of the Nile
    6월 7일 넬슨과 합류함으로써 넬슨 함대의 전력은 14척으로 보강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프랑스 함대는 영국의 전함을 교묘히 피하여 먼저 몰타로 항진했고 6월초에 영국에게서 이 섬을 빼앗았다. 몰타에서 1주일을 보낸 나폴레옹은 함대를 이끌고 주요목표인 이집트로 향했다. 그러는 사이 넬슨은 툴롱이 텅 빈 것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항일독립전선의 샛별이 된 호가장 전투의 영웅들, 손일봉 ・ 최철호 ・ 박철동 ・ 이정순 孫一..
    화북진출 대오에 합류하였고, 화북지대원이 되어 열심히 활동하다 호가장 전투에서 순국한 것이다. 박철동(朴喆東) 박철동의 출생지는 아직 미상이지만, 1915년...학생이었을 무렵에 충주에서 있었던 학생운동이라면 1930년 2월 7일 충주군 이류면(현 충주시 대소원면)의 대소원공립보통학교 5 ・ 6학년생 30여명이 벌인...
    출생 :
    손일봉 1912년, 의주최철호 1915년, 대전박철동 1915년, 충북이정순 1918년, 벽동
    사망 :
    손일봉 1941년최철호 1941년박철동 1941년이정순 1941년
    포상훈격 :
    손일봉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최철호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박철동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이정순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
  • 호가장전투 胡家庄戰鬪
    7월 7일 조선의용대 화북지대(朝鮮義勇隊 華北支隊)로 개편되었다. 경과 김세광(金世光)이 이끌었던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제2대 대원 20여 명은 하북성 원씨현(元氏縣), 찬황현(贊皇縣) 일대에서 무장 선전 활동을 전개하였다. 제2대 대원들은 1941년 12월 2일 원씨현 경내에서 좌담회를 열었다. 좌담회 후 화북지대 제...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발생 :
    1941년 12월 12일
    성격 :
    항일전투
    유형 :
    사건
    종결 :
    1941년 12월 12일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김세광(金世光), 조열광(趙㤠光), 손일봉(孫一峰), 최철호(崔鐵鎬), 왕현순(王現淳), 박철동(朴喆東), 장례신, 김학철(金學鐵)/조선의용대 화북지대(朝鮮義勇隊 華北支隊)
    관련 장소 :
    중국 하북성 호가장
  • 이손초 전투 Battles of the Isonzo
    10번째 전투에서 카도르나는 2군데를 공격하여 쿠크 봉우리를 점령하고, 남쪽을 지키고 있는 전위 부대를 섬멸했다. 8월 18일부터 11번째 공격을 시작한 이탈리아군은 9월 12일까지 천천히 전진하면서 오스트리아군을 밀어붙였다. 독일은 오스트리아 전선이 무너질 것을 우려하여 증원군을 파견했다. 10월 24일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과달카날 전투 Battle of Guadalcanal
    1942년 7월 6일 과달카날 섬에 상륙하여 비행장을 건설하기 시작했고, 8월 7일에는 태평양에서 연합군의 첫번째 주요공격 가운데 하나로 미군 해병대 6,000명이...양측은 모두 해상을 통해 증원군을 보내기 시작했고, 정글에서는 격심한 전투가 잇따라 일어났다. 10월에 일본군 병력은 최고 3만 6,000명에 달했으나 미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