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슬기국 고둥국다슬기 삶은 물과 부추, 대파를 넣어 끓인다. 4. 3에 다슬기살, 들깻가루, 쌀가루를 넣고 저으면서 끓인 다음 국간장으로 간을 한다. 참고사항 ·다슬기는 물고둥이라고 하는 민물고둥을 말한다. ·으깬 호박잎, 숙주, 고사리, 감자, 머위줄기 등의 채소와 다진 풋고추, 붉은 고추를 넣기도 한다. ·된장을 이용하기도...
- 분류 :
- 부식류 > 국 및 탕류 > 맑은국 > 어패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나트륨 소듐작은 그릇에 담긴 일본 미소국(된장국의 일종, 평균 국 무게 150g)의 소금 함량은 1.5g 정도다. 국을 통한 소금 섭취를 줄이려면 하루 한 끼는 국 대신 숭늉이나...소금 섭취를 줄이는 방법이다. 찌개 한 그릇엔 소금이 1.5∼4.4g이나 들어 있다. 찌개를 조리할 때 소금 대신 버섯 ・ 호박 ・ 양파 ・ 마늘 ・ 고추...
-
찌개하며, 국과 찌개의 구분이 좀더 일찍부터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찌개는 생선찌개·두부찌개·명란젓찌개 등과 같이 재료에 따라 분류하거나, 새우젓찌개·고추장찌개·된장찌개 등 조미료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새우젓찌개는 새우젓으로 간을 하여 끓인 찌개이며, 재료로는 두부·무·명란젓 등이 잘 어울린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향토음식 鄕土飮食같이 호박·감자·옥수수·밀가루·팥 등을 섞어서 만든 구수하고 양이 많은 음식이 많다. 곡류음식에서는 오곡밥·찰밥을 즐긴다. 국수는 맑은 장국국수보다 칼국수를 제물에 끓인 것 같은 제물국수와 메밀칼싹두기 같은 국물이 걸쭉하고 구수한 음식이 많아 관서지방의 동치미냉면과는 대조적인 입맛을 즐기고 있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
호박지찌개소금에 절였다가 고춧가루·파·마늘·생강·젓갈 등으로 양념하여 담근다. 호박지는 김장 때 담그는 것이 적기이므로 김장 때 쓰고 남은 무·배추를 이용하여...음식이다. 황해도에서는 여름철에 푸른 호박과 열무로 김치를 담갔다가 고기나 조개를 넣고 찌개나 국을 끓이기도 한다. 이 때 간은 된장으로 맞춘다. 참고문헌
- 성격 :
- 음식, 국, 탕, 찌개
- 유형 :
- 물품
- 재질 :
- 호박, 무, 배추, 젓갈
- 용도 :
- 부식용
- 분야 :
- 생활/식생활
-
장아찌농경국으로 발달한 우리나라는 식생활 풍습에도 농경민족으로서의 특성이 현저하다. 우리의 일상식은 곡류가 주식이며, 그 밖의 것은 부식으로 구성되어 주식과 부식이 뚜렷한 특성을 이루고 있다. 계절적인 분별이 뚜렷한 기후적 배경과 지역적·풍토적 다양성은 우리 음식에서 저장식품을 발달시켰다. 즉, 각 가정...
- 성격 :
- 음식, 염장식품
- 유형 :
- 물품
- 용도 :
- 반찬용, 부식용
- 분야 :
- 생활/식생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