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슬기 고둥국
    다슬기 삶은 물과 부추, 대파를 넣어 끓인다. 4. 3에 다슬기살, 들깻가루, 쌀가루를 넣고 저으면서 끓인 다음 국간장으로 간을 한다. 참고사항 ·다슬기는 물고둥이라고 하는 민물고둥을 말한다. ·으깬 호박잎, 숙주, 고사리, 감자, 머위줄기 등의 채소와 다진 풋고추, 붉은 고추를 넣기도 한다. ·된장을 이용하기도...
    분류 :
    부식류 > 국 및 탕류 > 맑은국 > 어패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된장 Doenjang, テンジャン
    주로 이나 찌개, 쌈장을 만들 때 쓴다. 간장을 만들 때 생긴 건더기를 이용하는 법과 메주에 소금물을 부어 만드는 방법이 있다. 된장의 주재료 중 하나는 메주인데, 메주는 콩으로 만든다. 콩의 원산지는 만주 지역으로, 옛날 고구려의 영역이며, 따라서 된장 또한 콩의 원산지라고 볼 수 있는 고구려에서 발명된 것...
    도서 위키백과
  • 나트륨 소듐
    작은 그릇에 담긴 일본 미소(된장의 일종, 평균 무게 150g)의 소금 함량은 1.5g 정도다. 을 통한 소금 섭취를 줄이려면 하루 한 끼는 대신 숭늉이나...소금 섭취를 줄이는 방법이다. 찌개 한 그릇엔 소금이 1.5∼4.4g이나 들어 있다. 찌개를 조리할 때 소금 대신 버섯 ・ 호박 ・ 양파 ・ 마늘 ・ 고추...
  • 찌개
    하며, 과 찌개의 구분이 좀더 일찍부터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찌개는 생선찌개·두부찌개·명란젓찌개 등과 같이 재료에 따라 분류하거나, 새우젓찌개·고추장찌개·된장찌개 등 조미료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새우젓찌개는 새우젓으로 간을 하여 끓인 찌개이며, 재료로는 두부·무·명란젓 등이 잘 어울린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식생활
  • 향토음식 鄕土飮食
    같이 호박·감자·옥수수·밀가루·팥 등을 섞어서 만든 구수하고 양이 많은 음식이 많다. 곡류음식에서는 오곡밥·찰밥을 즐긴다. 국수는 맑은 장국국수보다 칼국수를 제물에 끓인 것 같은 제물국수와 메밀칼싹두기 같은 국물이 걸쭉하고 구수한 음식이 많아 관서지방의 동치미냉면과는 대조적인 입맛을 즐기고 있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식생활
  • 황해도의 향토음식
    씻긴국수·호박만두·밀낭화·밀다갈버무리 등이 있다. 찬류에는 되비지탕·김칫국·조기매운탕·개구리구이·잡곡전·녹두빈자·행적·청포묵무침·호박짠지·된장떡·갓김치·고수김치·묵장떼 등이 있는데, 특히 누름적은 돼지고기·김치·실파 등을 꼬챙이에 꿰고 밀가루를 묻혀 번철에 지진 요리로 황해도의 넉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호박지찌개
    소금에 절였다가 고춧가루·파·마늘·생강·젓갈 등으로 양념하여 담근다. 호박지는 김장 때 담그는 것이 적기이므로 김장 때 쓰고 남은 무·배추를 이용하여...음식이다. 황해도에서는 여름철에 푸른 호박과 열무로 김치를 담갔다가 고기나 조개를 넣고 찌개나 을 끓이기도 한다. 이 때 간은 된장으로 맞춘다. 참고문헌
    성격 :
    음식, 국, 탕, 찌개
    유형 :
    물품
    재질 :
    호박, 무, 배추, 젓갈
    용도 :
    부식용
    분야 :
    생활/식생활
  • 벽오동 본점
    벽도동 본점은 전남 담양군 창평면에 있다. 호박전, 보쌈, 각종 나물, 양념게장, 홍어무침, 삼치구이, 계란찜, 상추겉절이, 된장 등의 다양한 반찬이 한 상 가득 차려진다. 된장은 맑은 멸치 육수에 구수함이 감도는 맑은 이다. 황석어젓과 갈치속젓에 찍어 먹을 수 있게 나오는 보쌈은 식감이 부드럽다. 광주...
    위치 :
    전라남도 담양군 의병로 41
  • 장아찌
    농경으로 발달한 우리나라는 식생활 풍습에도 농경민족으로서의 특성이 현저하다. 우리의 일상식은 곡류가 주식이며, 그 밖의 것은 부식으로 구성되어 주식과 부식이 뚜렷한 특성을 이루고 있다. 계절적인 분별이 뚜렷한 기후적 배경과 지역적·풍토적 다양성은 우리 음식에서 저장식품을 발달시켰다. 즉, 각 가정...
    성격 :
    음식, 염장식품
    유형 :
    물품
    용도 :
    반찬용, 부식용
    분야 :
    생활/식생활
  • 충청도의 향토음식
    해물을 넣고 맛을 내어 날떡국·밀국수 등을 끓였다. 음식의 맛을 낼 때는 된장을 많이 사용하고 음식은 자연 그대로의 맛을 살렸다. 대표적인 음식으로 주식류...지어 양념장에 비비는 콩나물밥이 유명하다. 찬류에는 굴냉국·넙치아욱·청포묵국·청국장찌개·담북장·상어찜·마른조갯살조림·명태볶음·말린묵볶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다슬기
    다슬기은 다슬기를 삶은 물에 된장과 채소를 넣고 끓인 한국 전통향토음식 중 하나이다. 다슬기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게 끓이는데, 강원도나 충북에서는...더 끓인다. 전북이나 경남에서는 다슬기 삶은 물에 다슬기살과 채 썬 부추, 호박잎, 애호박, 어슷 썬 풋고추 같은 채소를 넣어 소금이나 국간장으로 간을 한...
    도서 위키백과
  • 한국 요리
    고구마·호박·옥수수·땅콩이 전래되었는데, 이 가운데 고추는 한국요리의 맛을 급격하게 바꾸어 놓았다. 고추로 고추장을 담고 여러 가지 양념을 만들어내면서 오늘날 한국 음식의 특징인 매운맛과 선명한 붉은 빛깔을 갖게 된 것이다. 된장, 고추장과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인 김치의 경우 이전부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음식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9건

호박된장국
호박된장국
호박된장국 만드는법 1
호박된장국 만드는법 6
호박된장국 만드는법 5
호박된장국 만드는법 3
호박된장국 만드는법 2
호박된장국 만드는법 4
호박된장국 식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