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수론 象數論
    되며, 번다하게 된 뒤에 수가 있게 된다”고 하여 상과 수를 점복(占卜)과 관련시켜 유기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상 개념의 성립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한 것이 한비자(韓非子)의 「해로(解老)」편이다. 여기에서 한비자는 “사람들이 살아 있는 코끼리[象]를 보는 기회가 희귀하여, 죽은 코끼리의 뼈를 보고 살아 있을...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법가 사상 法家 思想
    전국시대(BC 475~221)에 한비자(韓非子)의 영향을 받아 중국 최초의 통일제국인 진(秦:BC 221~206)의 이념적 토대를 이루었다. 법가는 인간의 실제행동에 따라 정치제도를 만들어야 하며,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고 앞을 내다볼 줄 모르는 존재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백성이 통치자의 미덕을 인정한다고 해서 사회적 화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대 , 중국 , 동양철학
  • 법가 法家, Legalism
    전국시대(BC 475~221)에 한비자(韓非子)의 영향을 받아 중국 최초의 통일제국인 진(BC 221~206)의 이념적 토대를 이루었다. 법가는 인간의 실제행동에 따라 정치제도를 만들어야 하며,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고 앞을 내다볼 줄 모르는 존재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백성이 통치자의 미덕을 인정한다고 해서 사회적 화합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제자백가 諸子百家, Chutzu Paichia
    대표적인 인물로 보통 선진 제자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유가에는 공자·순자, 도가에는 노자·장자(莊子), 묵가에는 묵자(墨子), 법가에는 상앙(商J)·한비자(韓非子), 명가(名家)에는 혜시(惠施)·공손룡 등을 들 수 있다. 당시 관학은 민간에까지 퍼져 있었으며, 또한 제후가 선비를 우대하는 풍습이 성행하고 있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성악설 性惡說
    감화시키고, 법도를 제정하여 사람들을 다스리고, 형벌을 엄중히 하여 사람들의 악행을 금지시켜 온 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다 잘 다스려져 선에 합치하도록 했다. 이것이 성왕의 정치이며 예의의 구현이다"라는 것이다. 이 사상은 백성을 정치적 권력에 의하여 규제하려고 한 이사(李斯)·한비자 등 법가에 계승되었다...
  • 복서 시귀, 卜筮
    권위의 절대성을 잃어버렸다. 더구나 후세에는 사람의 할 일을 다 하고 나서 신의 뜻을 묻는다는 복서의 본뜻이 퇴색되고 오직 행운만을 얻고자 했기 때문에 한비자(韓非子)나 왕충(王充)은 이를 적극적으로 비판했다. 한국에서도 일찍이 상고시대부터 복점을 쳤다. 부여에서는 전쟁이 일어나면 먼저 하늘에 제사를...
  • 신영복, 새 출발점에 선 당신에게
    그려나가는 것이 아니라, 주춧돌부터 위로 그려나가던 노인 목수의 이야기와 신발을 사러 가면서 자신의 실제 발이 아닌, 발을 그린 그림을 더욱 신뢰했던 '한비자'에 나오는 '차치리'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즉 구체적인 삶의 체험으로부터 진리를 얻는 ‘노인 목수’와 이에 반하여 추상적인 관념에만...
    도서 다음백과
  • 비유담 譬喩談│比喩談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원설화도 일종의 비유담이었던 것이 많으며, 그들의 상당수는 ≪맹자≫·≪장자≫·≪열자≫·≪한비자≫ 혹은 불경 등과 같은 경서나 제자백가서에서 유래된 것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비유담의 역사는 매우 오랜 것으로 보이며, 현재 남아 있는 자료로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구비문학
  • 공자가어 孔子家語
    있다. 특징과 영향 학계의 연구에 의하면 왕숙은 <좌전(左傳)>, <맹자(孟子)>, <순자(荀子)>, <예기(禮記)>, <사기(史記)>, <안자(晏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 등 이미 알려진 여러 책에서 공자에 관한 일화와 언행을 모아 공안국(孔安國)의 이름을 빌어 <공자가어>라는 이름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문헌 , 세계문학
  • 지치 자초
    맺으므로 일년초로 재배하기는 쉬우나 다년초로 만들기 위한 재배는 힘들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뿌리는 염료나 약재로 이용한다. 염료로 사용한 것은 『한비자(韓非子)』에 의하면 제나라 때 이미 성행하였던 것 같다. 전한때에 이르면 자색은 권위를 상징하게 되어 왕복이나 높은 신분의 사람이 입는 옷에 사용되게...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공자가어대전 孔子家語大全
    國語)』, 『맹자(孟子)』, 『순자(荀子)』, 『대대례(大戴禮)』, 『예기(禮記)』, 『사기(史記)』, 『설원(說苑)』, 『안자(晏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 등에서 공자에 관한 기록들을 모아 공안국(孔安國)의 이름으로 이 책을 만들었다. 『공자가어』는 전체 10권으로 구성...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기자지 箕子志
    碑)를 설치하기까지, 우리 나라의 기자에 대한 입사(立祠) · 치제(致祭)의 기록을 담고 있다. 논은 공자 · 정자 · 주자 등의 논평을 모은 ‘성현론’과, 한비자(韓非子) · 사마천(司馬遷) · 이백(李白) · 김시습(金時習) 등의 논평을 모은 ‘제자론(諸子論)’으로 분류되어 있다. 기에서는 유종원(柳宗元...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한비자
한비자
한비자(韓非子)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