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한비자 유세하는 일은 쉽지 않다긴박한 사회 상황에 당면하여 통치자가 인의도덕에 의존하여 무기력한 정치를 편다면, 그것은 마치 고삐나 채찍도 없이 사나운 말을 모는 것과 같아 매우 위험...냉혹한 법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이 한비자의 주장이다. 법가의 논법으로 유가 사상을 받아들인 한비자는 스승인 순자가 성악설을 기초로 예치(禮治)를 주장...
- 출생 :
- BC 280
- 사망 :
- BC 233
- 국적 :
- 중국
- 대표작 :
- 《한비자》
-
한비 한비자(韓非子), 韓非신도(愼到)에게서는 절대 권력의 필요성을 수용했다. 그리하여 한비는 모든 정치적 행동과 백성들의 행동 기준이 되는 엄격한 법을 제정하고, 절대 권력을 가진...법, 술, 세로 정리한 것이다. 《한비자》는 한비가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법가 사상을 집대성한 책이다. 《한비자》의 원래 제목은 《한자(韓子)》였으나...
- 출생 :
- BC 280
- 사망 :
- BC 233
-
중국 전통을 확립하다, 제자백가 출현데 치중했다. 유가는 춘추 시대의 증자와 자사, 자하를 거쳐 전국 시대의 맹자(孟子)와 순자(荀子)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맹자가 공자의 인(仁) 사상을 계승하여 정치를 이끄는 데 치중했던 반면, 순자는 예(禮) 사상을 계승하여 후에 법가의 탄생에 영향을 주었다. 법가는 한비자(韓非子)가 신불해(申不害)와 신도...
- 시대 :
- BC 770
-
충효사상 忠孝思想服人)”는 논리로 전제 군주에 의한 국가 통제적 노선을 정당화해 나갔다. 한비자는 사람을 통치하는 세 가지 수단으로 법률적 통제(法)와 위세(勢)와 통치 기술...그 후 진(秦) · 한(漢) 이래 통일 제국의 정치 현실은 한편으로 유교의 인도주의 사상을 이념적으로 표방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법가적이며 전제적...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중국의 전통 문화를 집대성하다, 유가 학파 창시위하는 정치를 펼치지 못한다면 군주 방벌도 가능하다고 했다. 이는 역성혁명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혁신적 사고였다. 맹자가 공자의 인 사상을 계승했다면, 전국 시대 순자는 공자의 예를 중시한 자하파를 이었다. 그러나 순자는 자유와 자하에 대한 비판도 서슴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사상은 유가를...
- 시대 :
- BC 520 혹은 497경
-
폭력적이고 야만적인 사상, 문화 통제 정책, 분서갱유통일시켰다. 정치, 경제 영역에 걸친 대대적인 대통일 작업을 수행하면서 진 시황은 이를 문화와 사상적인 면에까지 적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즉 춘추전국 시대에 유행하던 유가(儒家), 묵가(墨家), 농가, 도가(道家) 등 다양한 사상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법가(法家)로 통일시킴으로써 황제 전제주의적 통일 국가를...
- 시대 :
- BC 213
-
공자의 정통 후계자, 맹자 자여(子輿), 孟子이어받은 한비자는 인간이 천성적으로 악하기 때문에 상과 벌을 함께 줘야 한다고 하기도 했다. 맹자에서 시작된 인간의 본성에 대한 논의가 대단히 복잡하게...누구나 행하지 못하는 바가 있으나 이를 행하는 것이 의다"라는 것이다. 인과 의에 대한 맹자의 설명은 공자의 사상을 세분화하여 더 깊게 설명한 것이라고...
- 출생 :
- BC 372
- 사망 :
- BC 289
- 본명 :
- 맹가(孟軻)
- 국적 :
- 중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