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그리파 폰 네테스하임 Heinrich Cornelius Agrippa von Nette..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1530년경 〈예술과 과학의 허영과 불확실성에 관하여〉를 출간하여 비학과 그밖의 모든 학문을 통렬하게 비난함으로써 카를 5세를 격분시켰다. 그결과 르네상스 시대의 회의론을 부활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그는 투옥되고 이단자라는 오명을 썼다. 결국 그는 모든 형태의 과학적 지식을...
    출생 :
    1486. 9. 14, 쾰른
    사망 :
    1535. 2. 18, 프랑스 그르노블
    국적 :
    신성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하인리히 Heinrich, ハインリヒ
    하인리히는 독일의 남자 이름이다. 독일왕 하인리히 1세 매사냥꾼 왕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2세 하인리히 3세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5세 하인리히 6세 하인리히 7세 독일 귀족 하인리히 3세 사자공 시칠리아 왕 엔리코 7세 하인리히 뵐 독일 작가 하인리히 하이네 독일 시인, 작가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 독일...
    도서 위키백과
  • 조프루아 5세 당주 백작 Geoffrey Plantagenet, Count ..
    시조이다. 1129년에 앙주 백작, 뚜렌느 백작, 멘 백작 작위를 세습했고, 1144년에는 노르망디 공국을 정복해 노르망디 공작이 되었다. 헨리 1세의 딸이자 하인리히 5세의 미망인이었던 마틸다와의 결혼하여 헨리 2세, 낭뜨 백작 조프루아, 푸아투 백작 기욤 10세를 낳았다. 앙주의 풀크 5세와 멘 백작의 딸 아렝뷔르가...
    도서 위키백과
  • 잘리어 왕조 Salian dynasty
    파문·폐위하자 하인리히는 카노사에서 교황에게 굴복했다(1077. 1). 하인리히 4세는 독일 제후들의 반란을 여러 차례 겪었는데 마지막 반란은 하인리히 5세로 그의 뒤를 계승한 그의 아들이 1105년에 일으킨 것이었다. 하인리히 5세는 재위 기간(1106~25)에 교황청과 평화를 유지했다. 잘리어 왕조는 하인리히 5세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하인리히 7세 (독일) Henry (VII) of Germany, ハインリヒ..
    하인리히가 미성년자 기간에 권한을 줄이도록 명시한 몇몇 규제들을 두었고, 한편 황제의 굳고한 적인 우라흐가의 슈바벤 백작 에게노 5세의 지위를 높였는데, 그는 하인리히의 가장 중요한 조언자가 되었다. 1232년에, 프리드리히는 교황과 타협을 했고, 법령을 공식화했으며, 하인리히가 치비달레에서 충성을 맹세...
    도서 위키백과
  • 로타르 2세(3세) Lothar II(Ⅲ)
    가장 막강한 귀족이자 북부 독일에서 가장 부유한 제후가 되었다. 1106년 빌룽 왕조의 마지막 후손 마그누스 공작이 죽자 독일 왕 하인리히 5세는 1104년 그의 아버지 하인리히 4세에 대항했을 때 자신을 도운 대가로 로타르를 작센 공작에 임명했다. 그러나 로타르의 독자적인 태도는 곧 하인리히 5세와 마찰을 빚었다...
    출생 :
    1075. 6월초
    사망 :
    1137. 12. 3/4, 지금의 오스트리아 브라이텐방
    국적 :
    신성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메데오 5세 디 사보이아 백작 Amadeus V, Count of Savo..
    아메데오 5세 디 사보이아는 1285년부터 1323년까지의 사보이아 백작이며, 통치자로서 그의 성공과 지혜로 대백(il Conte Grande)이라는 별명을 지녔었다. 그는 거점으로서 샹베리를 세웠다. 톰마소 2세와 베아트리체 피에스키의 아들이다. 아메데오는 1285년에 아이가 없었던 그의 숙부 필리포 1세의 뒤를 이어...
    도서 위키백과
  • 파스칼 2세 Paschalis II
    받지 않고 베르트라다와 결혼하여 파문당한 뒤 1104년 사면받은 인물)와 평신도의 서임권 문제에 관해 타협했다. 그러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 및 하인리히 5세와 벌인 투쟁은 결말이 나지 않았다. 1106, 1107, 1110년에 협상을 벌이다가 실패로 끝난 뒤 파스칼은 하인리히 5세를 공식적으로 단죄했고, 이에...
    출생 :
    ?, 라벤나 근처 비에다디갈레아타
    사망 :
    1118. 1. 21,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하인리히 (프랑코니아) Henry, Margrave of the Franks..
    그는 아를의 테오발트, 네우스트리아 후작이자 서프랑크 총리 아달하르트와 군사를 이끌고 후고와 교전하였다. 아날레스 연대기에 의하면, 프로방스의 보소 5세의 당파였던 아를의 테오발트는 보소의 프로방스의 왕관을 위해 루이 3세를 상대로 전쟁할 때, 그는 프랑코 니아의 하인리히에 의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도서 위키백과
  • 마틸데 Matilde La Gran Contessa, Matilde di Canossa
    아들인 콘라트를 꾀어 1093년 그의 아버지에 대한 반란을 일으켜 이탈리아 왕위를 차지하도록 부추겼다. 그녀는 마침내 1110년 하인리히 4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하인리히 5세와 평화조약을 맺었다. 그녀는 이 조약의 대가로 자신의 재산 중 봉건관계에 묶여 있지 않은 부분을 그에게 유증하기로 했다. 그러나 그 재산...
    출생 :
    1046, 토스카나 루카
    사망 :
    1115. 7. 24, 로마냐 본데노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 Johann Heinrich Pestalozzi, ..
    손수 손주의 이름을 지어주었다. 요한은 신약성서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에 나오는 위대한 예언자인 세례자 성 요한(세례자 요한)에서, 하인리히는 교회를 보호한 군주 하인리히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의사였던 아버지 요한은 페스탈로치가 5세가 되던 해, 33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페스탈로치는 사회적인 약자에 대한...
    도서 위키백과
  • 잘리에르 왕가
    최고의 재판권과 행정권을 장악했다. 하인리히 4세는 평화령(Landfriede)을 공포하여 치안과 질서 유지에 힘썼으며, 사유 재산의 보호에 노력했다. 그 후 하인리히 5세가 1106년부터 1125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교황으로부터 통치권을 인정받기 위해 교황을 군사적으로 위협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하인리히 5...
    시대 :
    중세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