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인지 조선 초기의 문신
    예종 즉위) 남이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이 되었고, 성종 즉위를 전후하여 원상(院相)에 임명되고 경연영사(經筵領事)가 되었다. 1471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봉되었다. 1478년 성종이 그를 왕사(王師)로 선발하자 대간들이 그의 재산을 문제삼아 이의를 제기했다. 성종은 대간의 의견을...
    출생 :
    1396(태조 5)
    사망 :
    1478(성종 9)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하동(河東)
    시호 :
    문성(文成)
    호 :
    학역재(學易齋)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양성지 梁誠之
    건의하는 10조의 상소문을 올려 학문의 발전을 꾀하도록 했다. 1469년(예종 1) 지중추부사·홍문관제학·지춘추관사를 겸직했으며, 공조판서를 거쳐 1471년 좌리공신 3등으로 남원군에 봉해졌다. 1477년 대사헌에 재임했다가 지춘추관사가 되었으며, 1481년 홍문관대제학으로 승진했는데 이해 문신정시(文臣庭試)에 장원...
    출생 :
    1415(태종 15)
    사망 :
    1482(성종 13)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씨의 관조 전철리(全撤里)는 전섭의 29세손이며 성산전씨 성산군계의 관조인 전흥의 증손이 된다. 고려 충렬왕 때 등과하여 형부전서에 이르렀고 충선왕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책록되면서 함창군(咸昌君)에 봉해졌는데 그 후손들이 그를 관조로 하여 성산전씨에서 분적했다고 한다. 죽산전씨는 전섭의 28세손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성씨
  • 서거정 조선 초기의 문신
    올랐으며, 1464년 조선 최초로 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었다. 6조(曹)의 판서를 두루 지내고, 1470년(성종 1)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으며 이듬해 좌리공신(佐理功臣)이 되고 달성군(達城君)에 책봉되었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45년간 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의 여섯 임금을 모셨으며...
    출생 :
    1420(세종 2)
    사망 :
    1488(성종 19)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달성(達城, 지금의 대구광역시)
    시호 :
    문충(文忠)
    호 :
    사가정(四佳亭)
  • 이석형 李石亨
    도왔다. 그뒤 대사헌·호조참판 등을 거쳐 팔도체찰사로 호패법(號牌法)의 시행을 감독했다. 1468년 세조가 죽은 후 고부 겸 청시승습사(告訃兼請諡承襲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70년(성종 1) 판중추부사가 되고, 이듬해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으로 연성부원군에 봉해졌다. 저서로 〈저헌집〉이 있다. 시호는 문강...
    출생 :
    1415(태종 15)
    사망 :
    1477(성종 8)
    국적 :
    조선, 한국
  • 한명회 조선 초기의 문신
    炳幾定難翊戴功臣)의 호를 받았다. 1469년(예종 1) 영의정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임했다. 성종 즉위 후 병조판서가 되었고, 1471년(성종 2)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같은 해 대궐의 동·서쪽에 군영을 설치할 것을 청하고 직접 서영(西營)을 거느렸으며, 흥학(興學)의 중요함...
    출생 :
    1415(태종 15)
    사망 :
    1487(성종 18)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청주(淸州)
    시호 :
    충성(忠成)
    호 :
    압구(狎鷗), 압구정(狎鷗亭), 사우당(四友堂)
  • 노사신 자반, 盧思愼
    봉해졌다. 1469년 우참찬·좌참찬·우찬성을 지냈으며, 1470년(성종 1)에는 좌찬성으로 이조판서를 겸했다. 1471년 임금을 잘 보좌하고 정치를 잘했다는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76년 영돈녕부사가 되었고, 1482년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에 봉해졌다. 1485년 영중추부사로서 진휼사 겸 호조판서...
    출생 :
    1427(세종 9)
    사망 :
    1498(연산군 4)
    국적 :
    조선, 한국
  • 김수온 문량, 金守溫
    지냈다. 1458년 정조부사(正朝副使)로 명에 다녀왔다. 1464년 노사신(盧思愼) 등과 함께 세조의 명으로 〈금강경 金剛經〉을 번역했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으로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에 봉해졌으며, 1475년에는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시와 문장에 뛰어나 1456년 명의 사신 진감(陳鑑)을 맞이하여...
    출생 :
    1410(태종 10)
    사망 :
    1481(성종 1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이승소 李承召
    언해본 初學字會諺解本〉을 지어 바쳤다. 1459년 사은사의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이조참의·예문관제학·충청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고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졌으며, 예조판서 겸 지경연사를 지냈다. 이때 경연에서 사서의 간행·보급 및 교육의 강화와 불교 탄압...
    출생 :
    1422(세종 4)
    사망 :
    1484(성종 15)
    국적 :
    조선, 한국
  • 김국광 관경, 金國光
    2등에 책훈되고 광산군에 봉해졌다. 1469년 예종이 즉위하자 신숙주 등과 함께 원상이 되어 국정을 맡았다. 그뒤 우의정·좌의정을 지내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 1등이 되고 부원군에 봉해졌다. 1477년 영중추부사를 거쳐 이듬해 우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아우와 사위의 부정사건에 대한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했다...
    출생 :
    1415년(태종 15)
    사망 :
    1480년(성종 11)
    국적 :
    조선, 한국
  • 김순명 거이, 金順命
    지냈다. 1467년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도총사 구성군 준의 종사관으로 출정해 공을 세워 적개공신 2등이 되었다. 1471년(성종 2) 성종을 옹립한 공으로 좌리공신 4등이 되었다. 그뒤 전라도관찰사, 형조·호조·병조·예조의 참판을 지냈다. 1479년 청릉군에 봉해졌다. 1483년 황해도관찰사로서 내수사 노를 죽인 죄로...
    출생 :
    1435년(세종 17)
    사망 :
    1487년(성종 18)
    국적 :
    조선, 한국
  • 한계희 韓繼禧
    그해 10월 유자광의 모함을 계기로 이들을 제거하는 데 앞장섰다. 다음해 그 공으로 익대공신 3등에 책록되고 서평군(西平君)에 봉해졌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에 책록되었고, 1478년에 좌찬성이 되었다. 문명이 높아 세조의 명으로 최항(崔恒)·노사신 등과 함께 〈경국대전〉·〈동국통감〉의 편찬...
    출생 :
    1423년(세종 5)
    사망 :
    1482년(성종 13)
    국적 :
    조선,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6건

이숙기 좌리공신교서
김길통 좌리공신교서
전북 익산 좌리공신상훈교서[이숭원] 3-3
김길통 좌리공신교서
전북 익산 좌리공신상훈교서[이숭원] 3-3
연안이씨 종중 문적 - 이숭원 좌리공신교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