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동명장전 海東名將傳6권 3책. 목활자본. 1794년(정조 18)에 완성하였다. 간행 경위는 알 수 없으나 현재 전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1816년(순조 16)에 간행한 것이다. 1911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중간하였다. 저자의 서문에 나타난 편찬 의도는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국토를 지킨 훌륭한 장수들의 분전한 기록을 널리 전해 경종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심의린 송운(松雲), 沈宜麟한문을 배웠으며, 교동보통학교를 거쳐 1917년 한성고등보통학교 사범부를 나와 교육자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또한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 조선어연구회(현재 한글학회) 등에 참여하여 평생을 한글연구에 바쳤다. 생애 및 활동사항 한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다음 모교인 교동보통학교...
- 시대 :
- 근대, 현대
- 출생 :
- 1894년
- 사망 :
- 1951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국어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본관 :
- 청송(靑松)
-
경세유표 經世遺表과정에서 44권 15책으로 편집되었다. 규장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사본이 남아 있다. 1911년 처음으로 간행되었으나 상·중의 2책에 그쳤다. 1914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이건방(李建芳)이 서문을 쓴 증보판을 간행하였다. 이후 1934∼1938년 사이,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여유당전서 與猶堂全書≫ 154...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약용(丁若鏞)
- 창작/발표시기 :
- 1817년(순조 17)
- 성격 :
- 정책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4권 15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최남선 최창흥(崔昌興), 崔南善소년(少年)』을 출판하였다. 1910년 3월 안창호(安昌浩)가 설립한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의 평사원 겸 변론과장을 지냈고, 같은 해 10월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를 설립해 조선의 고서(古書)를 발간하고, 조선어 사전을 편찬하고자 하였다. 한일강제병합 이후에도 1912년 『붉은 저고리』, 1913년 『아이들보이...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김두봉 백연(白淵), 金枓奉학교에 다녔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3년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에 가입하였으며 이듬해에 배재학교를 중퇴하였다. 당시 최남선(崔南善)이 주재하고 있던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 참여하여 소년잡지 『청춘』을 편집하는 일에 종사하기도 하였고, 조완구(趙琬九)와 함께 민족종교인 대종교(大倧敎)에 관계하였다...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89년
- 사망 :
- 미상
- 경력 :
- 북조선노동당 위원장, 김일성대학 총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한글학자, 정치인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정음 正音못하였다. 그러나 기관지 ≪정음≫을 꾸준히 발간하여 37호로 폐간하기까지 약 10년 동안이나 국어연구와 그 보급에 이바지하였고, 출간되지는 않았지만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주시경, 권덕규, 이규영 등이 편찬하기 시작한 ≪조선어사전≫의 원고를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를 거쳐 인수하여 계속한 점 등 민족...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194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우리말 큰사전〉 머리말우리 문화 향상의 밑천을 장만하고자, 우리가 우리 손으로, 조선말 사전의 편찬 사업을 처음으로 계획한 것은 융희(서기 1919)년부터의 일이었으니, 당시 조선광문회에서 이 일을 착수하여, 수년 동안 재료 작성에 힘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러나, 사정으로 인하여 아깝게도 열매를 맺지 못하였고, 십여 년 뒤에 계명...
- 시기 :
- 194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