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공산당재건협의회 일본출판부 朝鮮共産黨再建協議會 日本出版部설립목적 조선공산당재건협의회 일본출판부(朝鮮共産黨再建協議會日本出版部)는 1928년 일제 경찰의 탄압으로 소멸된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을 재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에 대한 일제 경찰의 탄압을 피해 1928년말 중국 상하이(上海)로 밀항했던 고경흠(高景欽)은 1929년 5월 일본에...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위치 :
- 도쿄부 오시마[大島]정
- 설립 :
- 1932년
- 성격 :
- 사상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치정, 김두정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공산당 설립4월 17일, 김재봉 ・ 김찬 ・ 박헌영 등이 마르크스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조선공산당을 만들었다(제1차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은 독립 국가 건설과 노동해방을 요구하며 일본에 맞섰다. 그러나 11월 핵심 인물들이 일본 경찰에 검거되면서 제1차 조선공산당은 와해됐다. 조선공산당의 역정 조선공산당은 그 후 '재건...
- 시대 :
- 1925년 4월 17일
- 국가/대륙 :
- 한국
-
통일조선공산당 ML당, 統一朝鮮共産黨10만세운동 사건으로 화요파 계열의 조선공산당이 와해된 이후 1926년 9월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로 취임한 김철수(金錣洙)는 당을 재정비하여 1926년 11월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동맹(高麗共産同盟)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1926년 12월 6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에서 일월회(一月會) 계열의 안광천(安光泉)이 책임비서로...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설립 :
- 1926년 9월
- 성격 :
- 사회주의그룹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28년 2월
- 설립자 :
- 김철수(金錣洙)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동방노력자공산대학졸업자사건 조선공산당 조직준비위원회 사건, 東方勞力者共産大學卒業者事件조선공산당 조직준비위원회 사건이라고도 한다. 1925년 제1차 조선공산당사건 때 상해로 망명했던 조선공산당 중앙간부 김단야(金丹冶)는 1928년 코민테른의 조선문제에 대한 12월 테제가 작성되자, 이에 근거하여 1928년 10월 일제의 검거로 파괴된 당을 재건하기 위해 1929년 7월 블라디보스토크로 갔다. 그는 그곳...
-
박헌영 朴憲永金在鳳)·윤덕병(尹德炳)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창당대회를 개최하여 마침내 국내 공산당 조직을 창설하게 되었다. 1925년 4월 18일에는 자기 집에서 고려공산청년회를 결성하고 책임비서직을 맡아 본격적인 조직활동을 전개하였으나, 그 해 11월 30일처 주세죽과 함께 제1차 조선공산당사건으로 일본경찰에 잡혀 복역...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0년
- 사망 :
- 1956년 7월 19일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본관 :
- 영해(寧海)
-
-
조선공산당 부산시당 朝鮮共産黨 釜山市黨[설립 목적] 조선공산당의 지역 조직으로, 박헌영(朴憲永)이 ‘8월 테제’에서 제시한 조선공산당의 재건 목표에 맞게 ‘진보적 민주주의’, 즉,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실현할 ‘혁명적 민주주의 인민 정부’를 건설하기 위하여 조직되었다. [변천] 1945년 9월 11일 조선공산당이 서울에서 재건되면서, 같은 달 조선...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김해숙 (조선공산당)조선 시대 말기의 조선공산당의 당원이었었다. 1937년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1947년 사살될때까지 10년간의 당원으로 몸담았다. 1937년 경성부에서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였으며, 1943년에 소련의 연해주를 처음으로 방문한 이후 일제강점기 시대의 평안남도의 평양을 거쳐 평남 진남포의 오빠 부부가 사는 집으로 귀...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