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엽제에도 살아남은 대나무, 비결은?대나무 자신들이 살아 남아 숲을 이뤄야 할 곳에서, 잡초들이 감히 발도 들여놓지 못하게 하기 위한 그들만의 생존본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식품 보관엔 조릿대 잎 하나. 동물이 죽더라도 죽림(竹林) 속에서는 잘 썩지 않는다. 또 고기를 낚았을 때 다래끼 바닥에 조릿대 잎을 깔아두면 비린내를 없앨 수 있고, 물고기를...
-
으름난초 개천마제주도 일원에서 나는 다년생 기생식물이다. 생육환경은 수림이 우거진 숲 속의 부엽질이 풍부하고 부엽 아래에는 썩은 낙엽수목이 있으며, 낙엽수나 조릿대 군락 속의 습도가 풍부하고 반그늘 혹은 햇살이 오후에 많이 들어오지 않는 곳에서 자란다. 키는 50~100㎝이고, 잎은 뒷면이 부풀고 마르면 가죽같이 되며...
- 학명 :
- Galeola septentrionalis Reichb. f.
- 분포지역 :
- 충남 태안군과 전라북도 진안, 전라남도 보성, 영암군, 제주도 일원
- 종류 :
- 부생란류
- 개화기 :
- 6~7월
-
직립외대버섯아재비㎜로 가늘고 길며 약간 비틀리고 하얀 균사덩어리가 군데군데 붙어 있고 긴 세로줄이 있다. 포자는 11-13×7.1-8.5㎛로 대형이고 연낭상체와 측낭상체는 없으나 자루의 균사에는 꺽쇠(고리)가 있다. 조릿대 속에 무리 지어 여름에 발생한다. 내장산에서 채집하였다. 분포는 한국(내장산),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자생한다.
- 분류 :
- 외대버섯과(RHODOPHYLLACEAE) > 외대버섯속(Entoloma(=Rhodophyllus))
- 서식지 :
- 조릿대속
- 학명 :
- Entoloma strictius var. strictius
- 분포지역 :
- 한국(내장산), 유럽, 북아메리카
- 발생시기 :
- 여름
- 군락형태 :
- 군생.
-
흰배꼽외대버섯아재비자루는 원통형이고 위쪽에는 미세 가루가 분포하나 다른 곳은 밋밋하다. 포자는 6-7.5㎝×2.5-4㎜로 중형이고 연낭상체는 있으나 측낭상체는 없다. 여름에 조릿대 속의 낙엽의 흙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이 종류에 유사한 것으로 균모가 볼록하여 종 모양인 비단 외대버섯이 있다. 전북 장수에서 채집하였다. 분포는...
- 분류 :
- 외대버섯과(RHODOPHYLLACEAE) > 외대버섯속(Entoloma(=Rhodophyllus))
- 서식지 :
- 조릿대속의 낙엽의 흙
- 학명 :
- Entoloma clbatum
- 발생시기 :
- 여름
- 군락형태 :
- 단생,군생.
-
이삭외대버섯주름살이고 가장자리는 톱니 꼴이다. 버섯 자루는 6-9㎝×2-3.5㎜로 길고 약간 비틀리며 적갈색의 인편이 있다. 포자는 11-13.5×10-13㎛로 대형이고 정사각형의 모양이고 연낭상체와 측낭상체는 없다. 여름에 조릿대 속의 흙에 단생한다. 내장산에서 채집하였다. 분포는 한국(내장산),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자생한다.
- 분류 :
- 외대버섯과(RHODOPHYLLACEAE) > 외대버섯속(Entoloma(=Rhodophyllus))
- 서식지 :
- 조릿대속의 흙
- 학명 :
- Entoloma spadix
- 발생시기 :
- 여름
- 군락형태 :
- 단생.
-
진빨간꽃버섯 피빛꽃갓버섯2.5-6cm이고 굵기는 5-13mm로 매끄럽고 균모와 같은 색이데 때로는 편평해지기도 한다. 포자의 크기는 7.5-10.5×4-5㎛이고 타원형이다. 식용한다. 발생은 봄에서 가을에 걸쳐서 풀밭, 조릿대 숲, 숲속의 흙에 군생한다. 특히 3-4월에 많이 난다. 분포는 한국의 만덕산을 비롯하여 북반구 일대 및 호주 등에 분포한다...
- 분류 :
- 벚꽃버섯과(Hygrophoraceae) > 꽃버섯속(Hygrocybe)
- 서식지 :
- 풀밭, 조릿대밭, 숲 속의 땅
- 학명 :
- Hygrocybe coccinea
- 국내분포 :
- 가야산
- 발생시기 :
- 봄(3-4월)부터 가을까지
- 이용 :
- 식용
- 군락형태 :
- 군생
-
낙엽활엽수림 落葉闊葉樹林나무속 등 낙엽활엽수가 자랐으며, 신생대에 우위를 점하는 식생이 되었다. 낙엽활엽수는 연평균 기온이 5~14℃이고, 6℃ 이상의 기온이 6개월 이상 유지되는 온대 기후에서 잘 자라며, 한반도에서는 전역에 흔하다. 주요 나무는 신갈나무 · 떡갈나무 · 졸참나무 · 버드나무 · 단풍나무 · 고로쇠나무 · 물푸레나무...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나무에도 꽃이 필까것을 속이 빈 것이 흔들어대니 누구를, 또 무엇을 탓해야 할까요. 세상사가 그처럼 보일 때가 많지요. 그럴 땐 공중에 뿌리를 둔 것처럼 흔들리면서 바람이 잠잠할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요. 비록 송두리째 흔들려도 끝내 꺾이지 않고 뽑히지 않으면, 그러다 보면 언젠가 꼭 한번은 꽃 피는 날이 옵니다. 그런데 혹시...
-
-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冬柏나무 숲보고 있다. 산기슭 바로 밑에는 잡목이 자라고 그 위에 동백나무의 숲이 형성되었으며, 그 위에는 다시 낙엽활엽수림이 있다. 동백나무가 무성한 숲속에는 다른 식물종이 들어가지 못하고 있으나, 사찰 경내에서 흔히 가꾸고 있는 석산(石蒜: 수선과에 속하는 다년초)이 무성하고, 송악 · 차나무 · 조릿대 · 맥문동...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식물
-
식생 植生나무속과 전나무속도 조금씩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기후가 다소 한랭화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4,500년 전경에는 일시적으로 현저하게 한랭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역사적 사실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인간의 농경 활동이 개시되어 삼림파괴가 일어난 증거가 나타난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