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약 600속에 5,000~1만 종이 있으며 벼목 중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벼과 식물은 모든 기후에서 잘 자라고 세계 어느 곳에나 분포한다. 벼·기장·옥수수·밀 등의 곡물들은 영양분이 풍부한 씨를 얻기 위해 심고 있다. 벼과 식물들은 야생동물과 가축의 사료가 되며 집을 짓거나 공업적인 목적으로, 또는 토양 침식을 막거나 관상용으로 쓰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벼과는 이삭의 배열에 따라 김의털아과와 기장아과로 나뉘었으나, 최근에는 포아풀아과·기장아과·대나무아과·나바랭이아과·물대아과·벼아과 등 6개의 아과로 나누고 있다. 한국에는 50여 속 150여 종이 자라고 있는데, 이중 벼·보리·호밀·조·수수·옥수수·피·기장·율무 등을 곡식으로 널리 심고 있다. 잔디·강아지풀·뚝새풀·김의털·솔새·조릿대 등도 흔하다.
약 600속(屬)에 5,000~1만 종(種)이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벼목 중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과이다.
벼과 식물은 모든 기후에서 잘 자라고 세계 어느 곳에나 분포한다.
가늘고 긴 잎은 줄기를 둘러싸는 잎집을 만드는데 잎집은 보통 갈라지면서 가장자리가 겹친다. 줄기는 둥글거나 납작하고 마디 사이는 비어 있으며 곧게 자라거나 아랫부분에서 구부러지는데, 땅 위에 누워 마디에서 새로운 식물체를 만들거나 지면 바로 아래에서 자란다. 각 마디 윗부분에서 세포분열이 일어나 줄기가 길어지게 된다. 꽃은 작고 꽃잎과 꽃받침잎이 없으며 2개의 포(苞) 사이에 있고, 모여서 이삭을 이룬다. 씨에는 기름·녹말·단백질이 들어 있다. 수염뿌리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는데, 다년생 식물들은 땅속이나 땅 표면에 뻗어 있는 줄기와 함께 토양 침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벼·기장·옥수수·밀 등과 같은 곡물들은 영양분이 풍부한 씨를 얻기 위해 심고 있다. 벼과 식물들은 야생동물과 가축의 사료가 되고, 집을 짓거나 공업적인 목적으로, 또한 토양 침식을 막거나 관상용으로 쓰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식물학자들은 벼과를 이삭의 배열에 따라 2개의 아과(亞科), 즉 김의털아과(Festucoideae)와 기장아과(Panicoideae)로 나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부적·현미경적 특징에 의해 포아풀아과(Pooideae)·기장아과(Panicoideae)·대나무아과(Bambusoideae)·나바랭이아과(Chloridoideae)·물대아과(Arundinoideae)·벼아과(Oryzoideae) 등 6개의 아과로 나누고 있다. 각 분류 체계는 다시 여러 개의 족(族)으로 나뉜다. 한국에는 50여 속 150여 종이 자라고 있는데 이중 벼·보리를 비롯하여 호밀·조·수수·옥수수·피·기장·율무 등을 곡식으로 널리 심고 있으며, 잔디·강아지풀·뚝새풀·김의털·겨이삭·솔새·조릿대 등이 흔히 자라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