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야사의 시대 구분가야사는 전기가야와 후기가야로 나뉜다. 313년 고구려의 한사군 축출에서 400년 고구려 광개토왕의 가야 공략까지를 전환기로, 그 앞의 시기를 전기가야(前期加耶), 그 뒤의 시기를 후기가야(後期加耶)로 구분한다. 전기가야는 부산의 동래, 경남의 김해·창원·마산·함안·고성·사천 등에 이르는 남해안 지역에서...
-
고대 키이우 시기의 러시아 문학 고대 키예프 시기의 러시아 문학고대 러시아 문학의 첫번째 시기인 11~13세기초의 시기를 키이우 시기라 하는데 그뒤 몽골 민족인 타타르족이 침입한 데서 몽골 전기(前期)라 부르기도 한다. 문학활동의 중심지는 키이우였지만 북부와 남부의 다른 도시에서도 키이우와는 상관없이 별도의 작품들이 씌어졌다. 북부와 남부 문학에서 사용된 언어도 근본...
-
-
정선 아우라지 유적 旌善 아우라지 遺蹟석관형에서는 인골이 출토되었고 석곽형에서는 홍도, 석촉이 확인되었다. 내용 아우라지유적에서 중심이 되는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조기(早期)와 전기(前期)로 구분된다. 조기 주거지는 길이 11m 이상, 폭이 8m 이상의 대형 주거지로 5동이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장방형으로 조양강과 직교하는 북서-남동향...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부산북정패총 釜山北亭貝塚검토한 결과, 이 유적에는 시기를 달리하는 2개의 패총이 공존하고 있었다. 즉 Ⅰ지구는 융기문토기, 압인문토기를 중심으로 하는 신석기시대 조기(早期)∼전기(前期)의 패총이, Ⅱ지구는 5세기대로 추정되는 삼국시대의 패총이 있었다. 이 중 신석기시대의 패총은 극히 불량하였다. 그러나 신석기시대의 토기가 패총의...
- 시대 :
- 선사/석기, 고대/삼국/가야
- 건립시기 :
- 신석기시대(서쪽 제Ⅰ지구), 가야시대(동쪽 제Ⅱ지구)
- 성격 :
- 조개더미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북정마을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역사/고대사
-
김제철 金齊哲내용 충청북도 청주 출신. 전기(前期) 8명창의 한 사람이다. 중년 이후 경상남도 함양에서 살았다. 「심청가」를 특히 잘하였고, ‘심청이 탄생하는 대목’이 그의 더늠이라고 한다. 가야금병창과 비슷한 온화하고 명랑한 석화제로 소리를 하였다 하여 가중처사(歌中處士)라는 별명을 얻었다. 신재효(申在孝)는 「광대가...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명창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박창로 朴昌魯驥)와 함께 홍주의병진의 항전근거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대흥의 임존산성(任存山城)을 수축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관찰사 이승우(李勝宇)의 변심으로 전기(前期) 홍주의병진은 곧 와해되었다. 그 뒤 을사조약의 강제 체결로 국권이 상실되자 재기항쟁을 결심하고 안병찬·채광묵 등과 1906년 3월 중순 대흥에서...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46년(헌종 12)
- 사망 :
- 1918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의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