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라마누자의 철학
    샹카라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그의 경전 해석을 논박했다. 베단타학파의 다른 옹호자들처럼 라마누자는 어떠한 베단타학파라도 '출발점'을 〈우파니샤드〉와 〈우파니샤드〉의 주요내용을 간략히 설명하고 있는 〈브라마 수트라〉 및 크리슈나 신과 그의 벗인 아르주나의 대화인 〈바가바드기타〉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불이일원론 不二一元論, Advaita
    산스크리트로 '不二論', '일원론'이라는 뜻이다. 추종자들은 이 학파의 주요교리가 이미 〈우파니샤드 Upanisad〉에 충분이 나타나 있고 〈베단타 수트라 Vedanta-sutras〉로 체계화되었다고 하지만, 역사적으로 후기 〈망두키아 우파니샤드 Mandukya Upanisad〉에 대해서 시적 형식으로 주석을 단 〈망두키아 카리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베단타 철학
    베단타는 원래 '베다(veda)의 끝 혹은 결론(anta)'을 의미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우파니샤드》를 지칭한다. 이 학파는 《우파니샤드》와 함께 기원전 2세기경에 편찬된 바다르야나의 《브라흐마수트라》 혹은 《베단타수트라》와 《바가바드기타》를 근본경전으로 삼는다. 베단타 학파는 미맘사 학파와 함께 베다에...
    시대 :
    굽타 왕조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제한불이일원론 制限不二一元論, Visistadvaita
    였는데, 그는 〈브라마수트라 Brahmasūtra〉의 주석 〈슈리바시아 Śrῑbhāṣya〉('아름다운 주석')·〈바가바드기타 Bhagavadgῑtā〉의 주석을 썼으며 또한 〈우파니샤드 Upaniṣad〉에 대한 논서인 〈베다르타상그라하 Vedārthasaṃgraha〉('베다의 의미에 대한 요약')를 썼다. 라마누자는 베단타의 사상가 중에서 최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시바파 Saivism
    수많은 형태의 대중적 종파들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시바 신앙이 비(非)아리안계의 남근 숭배에서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다. 확실한 증거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우파니샤드 Upaniṣad〉 이후에 베다의 신 루드라('포효하는 신')가 시바('상서로운 신')의 모습과 혼합되었음이 분명하다.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Om
    이것을 자유롭게 사용한다. 6세기부터 이 소리를 상징한 문자가 필사본이나 비문의 첫머리를 장식하게 되었다.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한 문헌인 우파니샤드에 이 음절에 관한 내용이 있으며, 만두키아(Māndūkya) 우파니샤드에서는 거의 전적으로 이 주제만을 다루고 있다. 이것은 요가 수행에서도 이용되고 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힌두교 , 종교
  • 아랑야카 Aranyaka
    가르침을 받는 학생들과 같은 '입문자들'만이 공부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랑야카에는 의례의 은유적인 의미를 비밀스럽게 설명하고, 제의를 실제로 밖으로 드러나게 행하기보다는 제의의 내적이며 명상적인 의미를 논의하고 있다. 내용상 더 사변적인 철학부분은 때때로 우파니샤드로 분류되기도 한다.→ 우파니샤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베단타 철학파
    그의 스승인 고빈다의 스승으로, 베다에서 불이론(advaita)을 발견했던 사람으로 칭송하고 있으며, 샹카라 자신은 가우다파다의 주요저작인 망두키아 우파니샤드 송에 대해서 주석을 달았다. 가우다파다 송은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부는 우파니샤드 자체에 대한 설명이며, 제2부는 세계의 허망을 수립하고, 제3부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상카라 Sankara
    베단타 철학파의 가장 유명한 대표자이다. 오늘날 인도 사상의 주요흐름은 그의 학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는 〈브라마 수트라 Brahma-sūtra〉와 주요 〈우파니샤드 Upaniṣads〉에 대한 주석서를 써서 유일하고 영원불변한 실재인 브라만에 대한 믿음을 확고히 하고 다양성과 차별성은 환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출생 :
    700(?)
    사망 :
    750(?), 케다르나트
    국적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불교 쇠퇴의 원인
    벗어나 슈라마니즘으로 대표되는, 명상이나 요가를 통한 깨달음의 가능성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우파니샤드》가 탄생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파니샤드》는 종래의 제식주의를 비판 혹은 수정하면서 한편으로는 슈라마니즘으로 대변되는 비정통 사상의 요소를 접합시킨 독특한 형태를...
    시대 :
    비베다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인도철학의 일반적 고찰
    인간심성이 신들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신화 만들기의 내면적·심리적 흐름들이 심원한 우주론적 관념에 도달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힌두교). 〈우파니샤드 Upaniṣads〉(인도의 철학적 문헌)는 극단적인 일원론(絶對的不二論, 즉 물질과 정신의 본질적 동일성)으로 이어지는 보편적이며 정신적인 실재의 최초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윤회설의 성립
    하듯이, 제사를 바르게 실행하는 것이 곧 선업을 쌓는 길이며 제사를 실행하고 그 의의를 아는 것이 불사를 얻는 길이라고 믿었다. 인도의 윤회설은 〈우파니샤드〉에서 어느 정도 구체적인 모습으로 형성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오화이도설이다. 먼저 '오화설'은 제사에서 사용되는 제화와 관련지어 인간이 다시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우파니샤드(Upanishad)
우파니샤드 (Upanishad)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