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리
    대학교(University of surrey)와의 협력 프로그램으로 1989년부터 진행되었고 총 10명의 카이스트 졸업생들이 유학생의 신분으로 우리 1호의 개발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우리 1호 개발의 전 과정이 영국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혹자는 '우리은 남의'이라는 힐난을 하기도 했다. 1992년 8월 11일 남아메리카...
    도서 위키백과
  • 우리 2호 KITSAT-2, KITSAT-2
    아마추어 무전기로 우리 1호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우주에서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자유롭게 교신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은 국제우주정거장으로, 시간과 주파수만 맞추면 핸디 무전기로 언제나 국제우주정거장 우주인들 교신할 수 있다. 우주인 이소연이 아마추어 무선 교신을 하기도 하였다. 전 세계 사람들과의...
    도서 위키백과
  • 우리 3호 KITSAT-3, KITSAT-3
    우리 3호(KITSAT-3)는 대한민국이 발사한 3번째 인공위성이다. 우리 1호, 우리 2호에 이어 1999년 5월 26일 발사되었다. 발사체는 인도의 PSLV-C2이며 크기는 495x604x852mm, 무게 110kg로서, 730km 고도의 원형 태양동기궤도를 선회한다. 자세제어방식은 3축 안정화 방식으로 자기토커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며...
    도서 위키백과
  • 우리 위성 천리안
    1992년에 우리 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우주개발에 첫발을 내디딘 우리나라는 짧은 기간에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며 우주강국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대한민국 정지궤도위성의 관측능력을 알리기 위해 우정사업본부는 천리안위성 1호의 발사 10주년을 맞아 ”우리 위성 천리안” 기념우표를 발행...
    발행일 :
    2021. 1. 26.
    발행량 :
    총 600,000장(전지 50,000장)
    종수 :
    3
    액면가격 :
    380
    디자인 :
    천리안 2A호
    우표번호 :
    3474
    인면 :
    28 × 45
    천공 :
    13¼ x 13½
    전지구성 :
    6 × 2
    용지 :
    평판 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 5도(투명 시변각) / 무광은박
    우표크기 :
    28mm × 45mm
    디자이너 :
    박은경
    인쇄처 :
    POSA(Cartor社)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우리 위성 천리안
    1992년에 우리 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우주개발에 첫발을 내디딘 우리나라는 짧은 기간에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며 우주강국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대한민국 정지궤도위성의 관측능력을 알리기 위해 우정사업본부는 천리안위성 1호의 발사 10주년을 맞아 ”우리 위성 천리안” 기념우표를 발행...
    발행일 :
    2021. 1. 26.
    발행량 :
    총 600,000장(전지 50,000장)
    종수 :
    3
    액면가격 :
    380
    디자인 :
    천리안 2B호
    우표번호 :
    3475
    인면 :
    28 × 45
    천공 :
    13¼ x 13½
    전지구성 :
    6 × 2
    용지 :
    평판 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 5도(투명 시변각) / 무광은박
    우표크기 :
    28mm × 45mm
    디자이너 :
    박은경
    인쇄처 :
    POSA(Cartor社)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우리 위성 천리안
    1992년에 우리 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우주개발에 첫발을 내디딘 우리나라는 짧은 기간에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며 우주강국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대한민국 정지궤도위성의 관측능력을 알리기 위해 우정사업본부는 천리안위성 1호의 발사 10주년을 맞아 ”우리 위성 천리안” 기념우표를 발행...
    발행일 :
    2021. 1. 26.
    발행량 :
    총 600,000장(전지 50,000장)
    종수 :
    3
    액면가격 :
    380
    디자인 :
    천리안 1호
    우표번호 :
    3473
    인면 :
    28 × 45
    천공 :
    13¼ x 13½
    전지구성 :
    6 × 2
    용지 :
    평판 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 5도(투명 시변각) / 무광은박
    우표크기 :
    28mm × 45mm
    디자이너 :
    박은경
    인쇄처 :
    POSA(Cartor社)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어휘에 따른 우리말, 소리와 소음의 차이는
    증가 우리나라 국토부와 환경부는 2014년 5월부터 아파트 층간 소음을 낮 시간 1분 평균 43dB로 제한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화장실이나 부엌의 순간 배수 소음은 제외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1분 등가소음도는 주간 43dB, 야간 38dB, 최고소음도(Lmax)는 주간57dB, 야간 52dB이다. 43dB은 체중 28킬로그램의 어린이가...
    도서 우리말 백과사전 | 태그 국어
  • 나트륨 소듐
    까닭은 우리 국민의 소금 섭취량이 많은 것은 전통 음식인 김치 ・ 국 ・ 찌개 ・ 젓갈 등에 다량의 소금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은 김치를 통해 하루 소금 섭취량의 약 30%를 얻는다. 국 ・ 찌개 ・ 생선(조림 ・ 구이)까지 포함한 네 종류의 음식을 통해 하루 소금 섭취량의 3분의 2를 먹게 된다. 나트륨 줄이기...
  • 인간이 만든 물건 중 가장 멀리 날아간 것은 무엇일까
    한 장의 사진이 있습니다. 바로 〈창백한 푸른 점〉입니다. 지구는 진공상태인 우주에서 유일하게 빛나는 색으로, ‘아름다운 푸른 ’입니다. 우주에서 찍은 지구의 사진을 지금까지 많이 봤습니다. 그런데 보이저 1호가 찍은 〈창백한 푸른 점〉을 설명 없이 보면 도대체 무엇을 찍었는지 알기 힘듭니다. 까만 바탕에...
  • 인공위성 人工衛星, earth satellite
    월등히 앞서 있지만 인공위성 분야에서만큼은 북한이 앞서 있다는 지표다.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은 1992년 8월 11일 발사되어 궤도 진입에 성공한 '우리 1호'지만 영국 서리 대학(University of Surrey)과의 공동 연구로 만든 인공위성이어서 스페이스 클럽 가입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후 남북한은 인공위성의...
  • 종묘제례악 宗廟祭禮樂
    것이다. 우리 나라 사람은 살아서 향악을 듣다가 죽으면 아악을 연주하니 어찌된 까닭인가.” 하여 음악의 모순을 힐문하기도 하였다. ≪세종실록≫ 권 138에 의하면 국초(國初)에 여러 곡이 지어졌으나 모두 한 가지 일을 주장한 것으로, 조종(祖宗) 공덕의 성대함과 초창(草創)의 어려움을 형용하기에 부족하다 하여...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아리랑 1호 KOMPSAT-1, アリラン1号
    발사한 최초의 다목적 실용 인공위성이다. 1999년 12월 21일에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사되었다. 685 km 상공을 돌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98분이다. 우리 1호를 개발한 인공위성 연구개발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당시 열악한 국내의 기술 인력으로는 개발이 불가능하였고 미국의 TRW 사가 기술 이전 조건으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우리별1호 탑재 모습
우리별1호 발사 모습
우리별 1호(Korea Institute of Technology Satellite-1)
더보기